콘텐츠목차

3선 개헌 반대 투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015
한자 三選改憲反對鬪爭
영어의미역 Struggle for Anti-constitutional Amendment for Reelection for the Third Term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차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주화 운동
관련인물/단체 동아대학교|부산대학교
발생|시작 시기/일시 1969년 7월 7일연표보기 - 동아대학교 학생 시위
종결 시기/일시 1969년 10월 17일연표보기 - 3선 개헌 국민 투표
발단 시기/일시 1969년 1월 8일 - 공화당, 3선 개헌 검토 발표
전개 시기/일시 1969년 7월 8일~9월 17일 - 부산 지역 학생 시위
발생|시작 장소 동아대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지도보기

[정의]

1969년 박정희(朴正熙)의 3선 개헌을 반대하는 부산 지역 학생 시민의 투쟁.

[역사적 배경]

1961년 5·16 군사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정부에게 1967년 제6대 대통령 선거와 제7대 국회 의원 선거는 공화당 집권 4년에 대한 평가의 의미를 띠고 있었다. 1967년 5월 11일에 치러진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 후보는 재선에 성공하였다. 이에 공화당은 6월 8일에 실시된 제7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광범위한 선거 부정을 저질렀다. 이는 개헌선인 3분의 2가 넘는 의석을 확보하여, 대통령의 3선 도전을 금지하는 헌법을 개헌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제7대 총선을 ‘관권 개입, 대리 공개 투표에 의한 계획적 전면 부정 선거’로 단정한 신민당은 6·8 선거 직후부터 6개월간 선거 무효화 투쟁을 벌였다. 이윽고 중앙정보부는 언론과 국민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부정 선거 규탄 시위가 한창이던 7월 8일부터 18일까지 ‘동백림 거점 간첩단 사건’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7월 16일 ‘신민당 6·8총선 무효화 투쟁위 집행위원회’의 장준하(張俊河)와 부완혁(夫琓爀)을 이 사건과 관련하여 연행하였다.

이후 6·8 부정 선거 반대 투쟁은 여름방학이 끝나고 2학기에 들어서도 계속되었으나, 대중적 투쟁은 더 이상 전개되지 못하였다. 이후 공화당은 본격적인 개헌에 앞서 당내의 반대 세력인 김종필(金鍾泌)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1968년 5월 국민 복지회 사건을 조작하였고, 이에 반발하여 김종필이 5월 30일 정계 은퇴를 선언함으로써 연말부터 개헌 논의가 시작되었다.

공화당 내 남은 개헌 반대파들이 소위 ‘4·8 항명 파동’을 일으키며 저항했지만, 이들이 박정희에 의해 제명되면서 개헌 작업은 탄력을 받기 시작하였다. 7월 25일 박정희는 개헌 국민 투표의 결과를 정권에 대한 신임 문제와 연결하는 담화를 발표했고, 개헌안은 8월 7일 국회에 제출되었다.

[경과]

1969년 6월 5일 야당인 신민당과 재야인사를 중심으로 하는 ‘3선개헌반대 범국민투쟁준비위원회’가 구성되어, 진보적 종교인인 김재준 목사를 위원장에 선출하였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3선 개헌 반대 투쟁을 시작한 것은 대학생들이었다. 6월 12일 서울대학교 법대, 6월 17일 서울대학교 문리대를 시작으로 성토대회, 시위가 각 대학으로 번져갔다.

7월 7일 부산의 동아대학교 학생 1,000여 명은 학기말 시험을 보이콧하고 교내에서 3선 개헌 반대 연좌데모를 벌였다. 이후 교문을 나서 두 갈래로 나누어진 학생들의 일대는 용두산 공원사월 민주 혁명 희생자 위령탑에서 경찰과 대치하였고, 일대는 동주여자상업고등학교[현 동주여자고등학교] 앞에서 시위를 시도하였다.

7월 8일에는 부산대학교 학생 500여 명이 교내에서 성토대회를 벌였고, 부산수산대학[현 부경대학교] 학생들도 성토대회를 열었다. 이러한 투쟁에 대해 문교부는 주동 학생의 처벌을 위협하였고 대학은 7월 8일부터 사실상 방학에 들어갔다. 그러자 부산대학교 학생들은 8일 상오 10시 30분경 200여 명이 교문 밖에서 경찰과 대치, 투석전을 벌였고 50여 명은 도서관에서 농성을 하였다.

또 부산수산대학 학생 200여 명도 휴교령에 항의, 강당에서 농성을 벌였다. 이로 인해 방학 기간 중 부산대학교 학생 5명이 정학 처분을 받았다. 학생들의 시위 이후 7월 17일에 ‘3선개헌반대 범국민투쟁준비위원회’가 본격적으로 가동되어 발기인대회가 열리고 8월 16일부터 전국에 걸쳐 반대 유세가 전개되었다. 학생들은 8월말 개강하자 또 다시 개헌 반대 시위를 이어갔다. 전국적으로 시위가 번져가는 가운데 9월 5일에는 부산대학교 법대에서 시위와 성토대회가 벌어졌다.

하지만 결국 1969년 9월 14일 본회의장에서 농성 중인 신민당 의원들을 피해, 국회 제3별관에서 공화당은 단독으로 개헌안을 날치기로 처리하였다. 개헌안이 통과되자 각 지역의 대학생과 고등학생까지 반대 운동을 벌였다. 9월 17일에는 부산의 부산상업고등학교[현 개성고등학교] 학생 500여 명이 3선 개헌 무효를 주장하며 시내에서 시위를 벌였다. 이날 부산상업고등학교 학생들은 단체 영화 관람을 하기 위해 시내로 나온 기회를 이용하여, 학생회가 주동이 되어 시위를 벌였다.

[결과]

부산상업고등학교의 3선 개헌 반대 시위를 주동한 학생들은 학교로부터 징계를 받았다. 학생들의 시위가 계속되자 다시 휴교가 시작되어 9월 19일 현재 전국 9개 고교와 38개 대학이 휴교하였다. 이후에도 박정희 정부는 개헌안과 함께 통과시킨 국민투표법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일부 학생을 구속하기 시작하였다. 국민투표법에는 정당의 연설회 외에는 투표와 관련한 모든 집회가 불법으로 규정되었다. 이로써 학생들의 반대 투쟁이 실질적으로 봉쇄되었다. 이런 가운데 1969년 10월 17일 시행된 국민 투표에서 개헌안은 77.1%의 투표율과 65.1%의 찬성으로 통과되었다.

[의의와 평가]

박정희의 3선 연임을 위한 3선 개헌은 10월 유신으로 가는 징검다리가 되었다. 따라서 3선 개헌 반대 투쟁은 박정희 정권의 장기 집권을 저지하기 위한 반독재 민주화 운동이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