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9434 |
---|---|
한자 | 釜山大學校 무지개門 및 舊 守衛室 |
이칭/별칭 | 부산대학교 구 정문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 부산대학교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원영 |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학교에 있는 구 정문인 아치형의 조형물과 구 수위실 건물.
[개설]
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은 1957년 부산대학교 개교 10주년을 맞이하여 4월 20일 무지개문(虹門, 부산대학교 구 정문)을 준공하였다. 1950년대 말과 1960년대 중반에 걸쳐 부산대학교 구 본관을 비롯한 많은 대학교 건물을 설계한 한국의 대표적인 건축가 김중업(金重業)의 작품이다.
[변천]
부산대학교 무지개문은 1957년 4월 20일 준공한 이후 지금까지 변형이 거의 없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구 수위실 건물은 2011년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일부 평면이 증축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형태 및 구조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형태]
부산대학교가 위치한 금정산의 지형과 조화를 이룬 무지개문은 일반적인 교문과는 다른 독창적인 형태를 갖고 있는데, 근대건축가 Eero Sarrinen이 1959년 설계한 기념비적인 Gateway Arch(Jefferson National Expansion Memorial)보다 2년 앞서 준공된 아치(Arch) 형식의 조형물이다. 무지개문의 아치 형태는 원만(圓滿)과 자비(慈悲)를 상징하고 있으며,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해와 달이 상승하듯 인류와 국가의 새 문화를 창조하는 인재가 되라는 염원을 담고 있다. 부산대학교 구 수위실은 지면에서 떠있는 구조로 전면을 큰 유리창으로 구성하고 있는 근대 모더니즘 양식의 건축물이다.
[현황]
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은 2014년 10월 30일 국가등록문화재 제64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특히 부산대학교 무지개문은 포물선 아치의 부드러운 곡선과 아름다운 소나무가 빚어내는 뛰어난 전경으로 부산대학교의 상징 조형물로 건축계는 물론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 오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은 광복 이후 건립된 부산지역 초기 교육 시설의 하나로서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건축물이다. 부산대학교를 상징하는 조형물로 건축사 및 문화적 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Eero Sarrinen이 설계한 Gateway Arch보다 2년 앞선 아치 형태의 기념비적인 조형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