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민주주의민족전선 부산시위원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623
한자 民主主義民族戰線釜山市委員會
영어의미역 Busan National Front for Democracy Commission
이칭/별칭 민전 부산위원회
분야 역사/근현대,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철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회단체
설립자 노백용
설립 시기/일시 1946년연표보기 -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6년 1월 31일 - 결성 논의
최초 설립지 부산광역시

[정의]

1946년 부산 지역에서 설립된 민주주의민족전선 소속 위원회.

[설립 목적]

민주주의민족전선 부산시위원회의 강령에 의하면, 민주주의적 요소를 총집결하여 민주주의적 자주 독립 국가를 수립하고, 일제의 잔재 세력과 파쇼·음모 세력들을 배제하며, 경제 부흥과 민족 문화의 재건을 위해 투쟁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1946년 1월 31일 부산 지역의 정당·사회단체 34개 단체 대표자 100여 명이 참여하여 민주주의민족전선 부산시위원회 결성을 논의한 후, 일정한 절차를 거쳐 탄생되었다. 민주주의민족전선 부산시위원회는 조직 결성 후 민주주의민족전선 경남준비위원회가 결성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등 활약하였으나, 미군정의 탄압으로 해체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민주주의민족전선 부산시위원회의 결성 과정에 참여하였던 34개 단체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즉, 인민당 부산시당, 조선공산당 부산시위원회, 부산청년동맹, 부산부인동맹, 부산출판노조, 부산철도노조, 부산운수노조, 조선노조 부산지방평의회, 부산해상노조, 부산자유노조, 부산토건노조, 부산화학노조, 부산조선노조, 부산섬유노조, 부산금속노조, 조선해원동맹 부산지부, 조선공산당 청년동맹 부산시위원회, 부산미술동맹, 부산문학동맹, 조선대중문화건설회, 상공경제회, 부산금융단, 협동조합 부산시기성회, 부산실업자동맹, 부산영화관업자동맹, 동래농민조합, 출옥혁명동지회, 경남기자회, 경남신문사건설위원회, 해방운동자구원회 등이다.

민주주의민족전선 부산시위원회의 부서 및 간부는 위원장 노백용(盧百容), 부위원장 강대홍(姜大洪), 총무부 오재일(吳載一) 외 3명, 조직부 장성업(張成業) 외 4명, 선전부 강병창(姜炳昌) 외 5명, 재정부 최복순(崔福順) 외 2명, 조사부 이재봉(李在鳳) 외 4명으로 구성되었다. 이상의 간부의 면면은 대개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위원회, 그리고 좌익 정당에서 활동한 인물이 대부분이며, 특히 위와 같은 참여 단체의 현황은 당시 부산의 좌익 성향 정치·사회단체가 매우 역동성을 지녔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역량을 바탕으로 민주주의민족전선 부산시위원회는 1946년 2월 7일 개최된 민주주의민족전선 경남준비위원회를 비롯하여 경상남도 지역 각지의 민주주의민족전선 결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 2월 12일에는 부산수산전문학교 강당에서 각 학교, 각 정회, 각 단체 대표 200여 명을 참석시켜 ‘3·1 운동 기념 준비회’ 결성식을 열어, 시내 3·1 운동 준비 단체 내 교섭 위원을 선정하여 행사를 통일하고자 하였다.

이 외에도 민주주의민족전선 부산시위원회는 그때그때의 정세에 따라 미군정에 대한 합법 투쟁, 반합법 투쟁, 비합법 투쟁을 병행하면서, 각종 기념행사와 집회 및 시위를 주도하고, 의식화·조직화 선전 활동을 벌였다. 주요 이슈로는 미소공동위원회의 재개와 성사 투쟁을 기본으로 친일파 청산과 파쇼 세력 타도를 통한 민주개혁과 민중 생존권 쟁취 투쟁 등이었다. 이로 인해 미군정과의 갈등으로 각종 기념집회 등의 행사에서 큰 탄압을 받았으나, 1947년경까지는 그 명맥을 이어갔을 것으로 추측된다.

[의의와 평가]

민주주의민족전선 부산시위원회는 민주주의민족전선 경남위원회에 앞서 결성되어 경상남도 각지의 민주주의민족전선 결성에 다대한 영향을 미친, 당대 좌익 계열 운동 역량을 총망라한 정치·사회단체였다. 따라서 이의 실체 및 활동에 대한 연구는 부산 지역 미군정기 좌익 운동 및 좌우 합작 운동의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