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교련 강화 반대 투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167
한자 敎鍊强化反對鬪爭
영어의미역 Struggle against the Government Plan to Expand Military Drill Courses at School
이칭/별칭 교련 반대 운동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산성로 872[장전동 산3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승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인물/단체 오윤표|김안종|김정길|김재규
발생|시작 시기/일시 1971년 4월 15일연표보기 - 부산대학교 학생 교련 강화 반대 성토대회
종결 시기/일시 1971년 10월 15일연표보기 - 위수령 발동, 교련 반대 데모 중지 대통령 특별 명령
발단 시기/일시 1971년 1월 10일 - ‘교련 교육 시행 세칙’ 발표
전개 시기/일시 1971년 4월 16일, 20일, 21일 - 부산대학교 학생 교련 강화 반대 집회, 시위
전개 시기/일시 1971년 8월 25일 - 부산대학교 총학생회 교련 강화안 철폐의 5개항 건의
전개 시기/일시 1971년 10월 12일 - 동아대학교, 부산수산대학에서 규탄 시위
발생|시작 장소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30지도보기

[정의]

1971년 부산 등지에서 전개된 교련 교육의 강화에 대한 학생들의 저항.

[역사적 배경]

1971년 1월 박정희(朴正熙) 정부는 대학 교련 시간을 연장하고 교관을 현역 장교로 대체하는 등을 골자로 교련 교육 강화 방안을 확정하였다. 이에 3월 9일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의 ‘교련 철폐 투쟁 선언’을 시작으로, 교련 수강 신청 거부와 더불어 ‘교련 강화 반대’, ‘학원의 병영화 반대’, ‘학원 자유 수호’를 외치는 대규모 학생 시위가 전국의 대학으로 확산되었다.

4월 11일에는 부산 지역의 대학이 포함된 전국 11개 대학의 대표 200여 명이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위원장 심재권]을 결성하고 교련 철폐 운동과 공명선거 캠페인을 전개하였다. 교련 반대에서 출발한 시위는 ‘언론 규탄’, ‘부정부패 규탄’, ‘학원 자유 촉구’ 등으로 구호가 다양해지면서 양상도 격렬해졌다. 또한 4월 14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학생의 대통령 경호차에 대한 투석과 이에 대한 보복으로 무장 경관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난입과 무차별 구타 사건이 벌어지면서 4월 중순에 시위의 열기는 절정에 달하였다.

[경과]

부산 지역의 대학가에서도 성토대회 개최, 시국 선언 등의 교련 철폐 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4월 15일 정오 부산대학교 학생 약 500여 명이 교정에서 ‘교련 강화 반대’, ‘언론 부재 규탄’ 등을 쓴 플래카드를 들고 성토대회를 개최하였으며, 16일에는 부산대학교 상대 학생 150여 명이 교련 강화 반대 집회를 열었다. 특히 20일 낮 정오에 100여 명의 부산대학교 의예과 학생들은 교내에서 성토대회를 개최한 후에 가두 진출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교련 시간 줄여라’는 구호와 성토 대회는 부산대학교 내 다른 단과 대학으로도 확산되어 21일에는 부산대학교 법대생 100여 명이 ‘1주 3시간의 교련 시간을 2시간으로 줄여라’, ‘현역 교관을 예비역으로 바꿔라’는 등의 내용을 담은 유인물을 인쇄하여 교내에 배포하며 시위를 벌였다. 4월 27일의 대통령 선거와 5월 28일의 국회 의원 선거를 앞두고 교련 반대 운동은 잠정 중단되었다.

8월에 접어들면서 대학의 자유와 교권을 회복하기 위한 교수들의 대학 자주화 선언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부산에서도 8월 23일 부산대학교, 31일 부산수산대학[현 부경대학교]에서 일어나자, 25일 부산대학교 총학생회에서는 ‘교수들의 대학 자주화 건의를 적극 지지’하고, 교련 강화안의 완전 철폐를 요구하는 5개항의 건의안을 문교당국에 제출하였다.

이후 교련 강화 반대 투쟁은 10월 5일 무장한 군인이 고려대학교에 난입한 사건을 계기로, 10월 12일 부산에서도 동아대학교와 부산수산대학 등에서 ‘부정부패 특권 분자의 처단’과 ‘무장 군인의 학원 난입’을 규탄하는 시위로 확대 전개되었다. 그러나 15일 위수령의 발동과 함께 ‘일체의 교련 반대 데모를 중지하라’는 대통령 특별명령이 발표되고, 17일 ‘국회 해산’과 전국에 ‘비상 계엄’이 선포되면서 교련 강화 반대 투쟁은 막을 내렸다.

[결과]

10월 19일 24개 대학에서 데모 주동 학생 163명이 제적되고, 35개 대학에서 교련을 거부한 학생 등 1만 2781명이 병무 신고 되었으며, 6개 대학에서 74개의 문제 서클이 해체되는 한편 4개 대학에서 13종의 미등록 간행물이 폐간되고, 7개 대학에서 학생 자치 단체[총학생회, 대의원회]의 기능이 무기한으로 정지 되었다. 부산에서는 동아대학교 총학생회장 오윤표[도시계획과 3]와 김안종[공업경영학과 4], 부산대학교 총학생회장 김정길[정외과 4]이 제적되었다. 나아가 부산대학교는 데모 주동 혐의로 학생회 체육부장 김재규[상대 4년]를 자체적으로 제적하였다.

[의의와 평가]

교련 반대 운동은 1969년 3선 개헌 반대 운동의 실패로 인한 침체를 넘어서서 학생 운동이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는 중요한 기점을 형성하였다. 나아가 1970~80년대 부산 지역의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인적, 조직적인 기반을 형성하는 불씨가 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