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971 |
---|---|
한자 | 國際俱樂部事件 |
영어의미역 | Scandal of Kukje Club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하유식 |
[정의]
부산의 국제구락부에서 개최되던 반독재 호헌 구국 선언 대회가 괴한들의 습격을 받아 중단되고 다수의 인사들이 연행된 사건.
[역사적 배경]
1950년 5·30 선거에서 야당이 압승함으로써 국회의 간접 선거에 의한 이승만(李承晩)의 재선은 어려워졌다. 이에 정부는 1951년 11월 30일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을 국회에 제출하였다. 개헌안은 국회에서 1952년 1월 18일에 부결되었다. 정부는 국회 해산을 요구하는 관제 민의 운동을 주도하여 국회를 위협하였고, 5월 25일에는 부산과 경상남도, 전라남도, 전라북도의 23개 시군에 계엄령을 선포하였다. 이어 이승만 정부는 내각제를 주장하는 야당 의원 50여 명을 헌병대에 연행하고, 12명은 국제 공산당 관련 혐의로 구속하는 등 일련의 정치 파동을 일으켰다. 이승만은 부산 정치 파동에 대한 국제 비난 여론이 비등하자 국회 해산을 보류한다고 발언하였다.
[경과]
1952년 6월 20일 오후 3시경 부산시 남포동 경양 식당 국제구락부에 정치인들과 재야인사들이 모였다. 여기서 이시영(李始榮), 김창숙(金昌淑), 이동하 등 원로 정치인들과 서상일(徐相日), 조병옥(趙炳玉), 김성수(金性洙) 등 야당 및 재야인사들은 ‘반독재 호헌 구국 선언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 대회는 이승만 독재에 반대하는 범야권 세력이 결집한 정치 집회였다. 대회가 개최되고 선언문을 읽을 무렵 수십 명의 정체불명의 폭도들이 대회장에 들이닥쳤다. 대회장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으로 변했고 부상자들이 속출하였다. 계엄사령부는 야권 인사 30여 명을 체포하여 수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정세 속에서 신라회(新羅會)를 주도한 장택상(張澤相)은 대통령 직선제 정부안과 내각 책임제 국회안을 각각 발췌한 ‘발췌 개헌안’을 마련하였다. 1952년 7월 4일 경찰과 군인들이 국회 의사당을 포위한 가운데 ‘발췌 개헌안’에 대한 찬반 투표가 진행되었다. 이 투표에서 개헌안은 출석 의원 166명 중 찬성 163명, 반대 0명, 기권 3명으로 통과되었다. 이어 7월 28일에 부산, 경상남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일원에 내려졌던 비상계엄이 해제되었다.
[결과]
서울고등검찰청에서는 이 사건 관련자 30명에 대한 기소 여부를 고심하였다. 정부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강압적으로 봉쇄하고 탄압한 정치 사건이기 때문에, 기소를 하고 재판 절차에 들어가게 되면 정부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어질 것이 분명하였다. 검찰은 그것을 감당하기가 어려웠다. 결국 서울고등검찰청은 계엄사령부에서 이송된 지 25일 만에 국제구락부 사건 관련자 전원에 대하여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국제구락부 사건으로 구속된 인사들은 모두 8월 14일에 광복절 특사로 풀려났다.
[의의와 평가]
임시 수도 부산에서 벌어진 국제구락부 사건은 사건 관련자 전원에 대한 불기소 처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승만이 독재 권력의 집권을 연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으킨 반민주적 정치 폭거이다. 헌법 수호와 독재 반대라는 정당한 민주적 정치 행위를 폭력적으로 탄압하였다는 점에서 이승만 정권의 비민주성과 폭력성을 엿볼 수 있다. 이후 이승만 정권의 독재 폭력 정치는 굳어져 갔고 장기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