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060
한자 龜浦驛列車顚覆事故
영어의미역 Train Overturn Accident at Gupo Stati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병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건 사고
관련인물/단체 한국전력공사|열차 기관사
발생|시작 시기/일시 1993년 3월 28일연표보기 - 발생
발생|시작 장소 구포역 인근 - 부산광역시 북구 물금~구포역 사이[서울 기점 427.1㎞지점]

[정의]

1993년 3월 28일 부산의 구포역 인근에서 일어난 열차 탈선 전복 사고.

[경과]

1993년 3월 28일 부산 구포역 인근 철로 아래서 삼성종합건설은 철도청과 사전에 아무런 협의도 없이 케이블 매설을 위한 발파 작업을 실시하였다. 사고현장은 한국 전력이 고압 전력 케이블[지중선]의 매설을 위해 열차 운행 선로의 노반 밑을 관통하는 지하 전력구 공사를 하던 곳으로 공사는 삼성종합건설이 맡아 한진건설에 하청을 준 상태였다.

발파 작업의 충격으로 선로를 받치고 있던 노반[흙더미]이 길이 30m, 폭 23m, 깊이 9m 만큼 매몰되었다. 그 결과 기차선로는 커다란 구덩이 위에 레일만 걸쳐져 있는 상태가 되었던 것이다. 그 위를 오후 5시 30분께 서울발 부산행 제117호 무궁화 열차가 구포역 전방 700m 지점에 있는 매몰 현장을 시속 85㎞로 달렸던 것이다. 이 때문에 선로 노반이 침하되어 있는 것을 발견한 열차 기관사가 약 100m 전방에서 비상 제동을 걸었으나, 제동 거리가 미치지 못해 열차 5량이 탈선, 전복되고 말았다. 푹 꺼진 웅덩이에 기관차와 발전차, 객차 2량이 빠지고 객차 1량은 탈선했던 것이다.

[결과]

지반이 내려앉은 사고 지점에 기관차와 발전차, 객차 2량이 거꾸로 처박혀 머리 부분이 흙 속에 파묻히고 전복된 채 휴지 조각을 짓이긴 듯이 찌그러졌다. 특히 발전차 바로 뒤에 붙어 있던 6호 객차는 먼저 탈선한 발전차의 뒷부분과 부딪치면서 절반가량이 완전히 찌그러졌고 그 부분에 타고 있던 승객 수십 명이 모두 사망하였다. 결국 이 사고로 승무원과 승객 78명이 숨지고 중상자가 54명, 경상자가 144명에 이르렀다. 이외에도 기관차와 발전차 및 객차가 크게 부서지고 레일과 침목이 파손되고, 노반 35m가 유실되는 등 31억 원에 달하는 재산 피해를 냈다.

[의의 및 평가]

「철도법」 제76조에 따르면 철도 경계선으로부터 30m 범위 안에서 열차 운행에 지장을 주는 각종 공사를 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공사가 필요한 경우 관련 행정 기관의 승인을 받은 뒤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런 기본적 수칙만 지켰어도 어이없는 사고가 일어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7.10.17 [경과] 수정 1993년 3월 28일 부산 구포역 인근 철로 아래서 한국전력공사는 철도청과 사전에 아무런 협의도 없이 케이블 매설을 위한 발파 작업을 실시하였다. 이 작업은 고압 전력 케이블[지중선]의 매설을 위해 열차 운행 선로의 노반 밑을 관통하는 지하 전력구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었다. -> 1993년 3월 28일 부산 구포역 인근 철로 아래서 삼성종합건설은 철도청과 사전에 아무런 협의도 없이 케이블 매설을 위한 발파 작업을 실시하였다. 사고현장은 한국 전력이 고압 전력 케이블[지중선]의 매설을 위해 열차 운행 선로의 노반 밑을 관통하는 지하 전력구 공사를 하던 곳으로 공사는 삼성종합건설이 맡아 한진건설에 하청을 준 상태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