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901 |
---|---|
한자 | 釜山靑年團體代表者會議 |
영어의미역 | Youth Group Representatives ' Meeting in Busan |
분야 | 역사/근현대,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철규 |
[정의]
1945년 11월 부산 지역에서 설립된 청년 단체.
[설립 목적]
부산청년단체대표자회의는 해방 후 부산 지역에서 청년 단체들이 우후죽순처럼 건설되자, 이들의 연대와 제휴를 통해 자주 독립이란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설립하였다.
[변천]
1945년 11월 13일 오전 11시 부산 대청정(大廳町) 일본기독교회에서 부산청년동맹과 부산청년동맹의 8개 지부, 그리고 기타 10개 청년 단체의 대표자가 회합하여 ‘부산청년단체대표자회의’를 결성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청년단체대표자회의에 참가한 단체의 구체적인 명단은 다음과 같다. 즉, 청년동맹본부, 부산청년동맹 적기지부, 부산청년동맹 초량지부, 부산청년동맹 부산진지부, 부산청년동맹 아미지부, 부산청년동맹 성지지부, 부산청년동맹 서부지부, 부산청년동맹 남부지부, 부산청년동맹 절영도지부, 부산진청년동맹본부, 민주노동당 청년부, 자유대중당 청년부, 유학생동지회, 조선건국청년동지회, 속진동맹본부, 속진동맹 영선지부, 민주청년당, 학병동맹 경남지부, 서정청년단 등이다. 또 이들은 당일 “대동단결하여 완전한 자주 독립을 위한 청년의 임무를 다하고, 청년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며, 민족 반역자를 제외한 진보적 민주주의 통일 정권 확립에 노력한다.”는 강령을 채택하였는데, 이를 통해 그 성격과 활동의 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청년단체대표자회의의 사례에서 보듯 단편적인 내용뿐인 사료의 한계로 해방 직후 부산에서 조직된 각종 청년·학생들의 조직화 정도나 구체적인 활동과 성격에 대해서 자세히 알 수는 없다. 하지만 초기에는 일본군의 퇴각으로 인한 치안 공백을 자율적으로 맡아왔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군정 당국은 일제하의 경찰 조직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전직 군인을 우대하는 등으로 경찰력을 보강하는 반면, 자치적으로 치안 활동을 맡아왔던 각종 단체를 해산시켜 버렸다.
이에 따라 이들 가운데 일부 단체들은 활동 방향을 전환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낮게는 문맹 퇴치, 계몽 활동에서부터 높게는 친일파, 민족 반역자를 처단하고 진보적 민주주의의 수립에 힘을 쏟았다. 그리고 이들 청년, 학생 조직들은 1945년 12월을 기점으로 점차 지역 청년 조직으로 확대 개편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활동도 점차 정치적 현안과 직접적으로 결합되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