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광역시에 있는 생산 활동 기반 시설, 부산광역시 산업의 육성·발전의 바탕이 되는 공공시설 혹은 사회적 기반. 산업 시설은 산업 기반 시설이라고도 하며, 기업의 생산 활동을 위해서 필요한 사회적 기반 시설, 즉 산업 용지(産業用地)·도로·항만·용수(用水)·교량·철도·공항·발전 시설 등을 의미한다. 산업 기반 시설은 사회 간접 자본의 한 부분이며, 생활 기반 시설[상하수...
산업·금융 단지
-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산업 단지. 산업 단지는 공장, 지식 산업 관련 시설, 문화 산업 관련 시설, 정보 통신 산업 관련 시설, 재활용 산업 관련 시설, 자원 비축 시설, 물류 시설 및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과 이와 관련된 교육·연구·업무·지원·정보 처리·유통 시설 및 이들 시설의 기능 향상을 위하여 주거·문화·환경·공원 녹지·의료·관광·체육·복지 시설 등을 집...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에 조성되고 있는 일반 산업 단지. 강서 보고 일반 산업 단지는 이미 조성된 부산 과학 일반 산업 단지와 연계하여 산업 시설의 집적 개발 유도와 입주를 희망하는 현실적인 수요를 바탕으로 산업 시설 용지를 적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조성 중이다. 2008년 11월 10일에 보고지사테크가 투자 의향서를 제출하였다. 2009년 5월 11일에 산업...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거화 일반 산업 단지[부산 진해 경제 자유 구역]는 무계목강관(無繼目鋼管)[Seamless pipe, 이음매가 없는 강철 파이프]을 생산하는 친환경적이고 첨단화된 철강 가공 공장 부지 조성으로 국제 경쟁력 제고와 부산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8년 11월 거화특수강이 투자 의향서를 부산진해...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기룡 일반 산업 단지(奇龍一般産業團地)는 부산 지역의 기존 산업 용지 확보 및 고용 증대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조성된 산업 단지이다. 실수요자인 대선주조가 직접 개발 및 입주함으로써 관내 기업의 역외 유출을 방지하고 아울러 향토 기업 육성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설립되었다. 20...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부산 지역의 기존 산업 시설 현대화와 부족한 공업 용지 확보, 그리고 지역의 균형적 발전 도모를 위하여 실수요자가 직접 시행하여 개발하였다. 녹산 국가 산업 단지 내 본사 및 제1·2공장을 운영 중인 우석STS의 용지난 해결을 위해 실수요자 개발 후 입주토록 한 산업 단지로, 관내 기업의 역외 유출을 방...
-
2002년 부산광역시 강서구와 경상남도 진해시 용원동 일대에 설립된 국가 산업 단지. 녹산 국가 산업 단지는 부산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산업 기반을 강화할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89년 10월 20일 명지·녹산 산업 기지 개발 구역으로 지정되어, 1999년 8월 31일 1단계 조성 사업이, 2000년 7월 18일 2단계 조성 사업이, 2002년 4월 30일 3단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오리에 조성되고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대우 일반 산업 단지(大宇一般産業團地)는 실수요자가 직접 시행 개발을 하여 관내 기업의 역외 유출을 방지하고 아울러 향토 기업 육성으로 부산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조성 중이다. 지역의 대표적인 자동차 제조업체 대우버스를 유치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 산업 육성, 그리고 고용...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명례리에 조성되고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명례 일반 산업 단지(鳴禮一般産業團地)는 부산 지역의 부족한 산업 용지 확보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산업의 육성, 그리고 고용 증대를 통한 지속적인 도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하여 조성 중이다. 개발 방식은 실수요자가 직접 시행 개발하여 관내 기업의 역외 유출을 방지하고, 아울러 향토 기업을 육...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송정동,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에 있는 국가 산업 단지. 부산 대도시권의 광역적 정비 및 도시 환경 개선과 환경 보존의 조화에 의한 국토확장, 르노삼성자동차 공장과 신항만 개발 등과 연계한 부산의 신물류 및 산업 기반 강화 중심 산업 단지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1989년 10월 20일에 명지 녹산 국가 산업 단지(鳴旨菉山國家産業...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조성된 복합 금융 단지. 문현 금융 단지는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일대의 112만 943.8㎡ 부지에 조성된 동북아 해양파생특화 금융 중심지이다. 부산국제금융센터[63층]를 비롯 기술보증기금, 한국은행 부산본부, 부산은행 본점 등의 특화금융센터와 상업시설 등이 조성되어 있는 복합금융단지이다.문현 금융 단지 지역은 전포천과 동천에서 흘...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구랑동·미음동·범방동에 조성되고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미음 지구 산업 단지[부산 진해 경제 자유 구역]는 국제적 기업 활동의 중심 거점으로 육성하여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첨단 생산 시설을 유치하여 산업 구조 고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조성하고 있다. 2003년 10월 30일에 경제 자유 구역으로 지정 고시되었으며, 2007년 5월 3...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일대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지사 과학 단지 혹은 지사 산업 단지라고도 불리는 부산 과학 일반 산업 단지는 1991년 12월 21일 부산 과학 산업 지방 공업 단지로 지정되면서 단지 조성이 시작되었다. 부산 지역을 21세기 기술 입국 실현을 위한 산업·연구·교육 기능이 복합된 기술 집적 도시로 건설하고자 조성하였다. 부산...
-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녹산동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부산 신항만 배후 국제 산업 물류 도시[1단계] 일반 산업 단지[부산 진해 경제 자유 구역]의 조성 목적은 첫째, 부산 신항 배후의 입지적 특성을 활용하여 조선 기자재, 기계 장비, 신재생 에너지, 철강, 복합 물류 등의 기능을 갖춘 산업 단지의 조성이다. 둘째, 국제 산업 물류 도시 조성으로 국가 경쟁...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일원의 비법정 공업 단지. 사상 공단이라고도 불리는 사상 공업 단지(沙上工業團地)는 도시 계획법의 전용 및 준공업 지역으로, 지정된 곳에 공장이 하나둘 이전하여 30여 년에 걸쳐 형성된 비법정 공업 단지이다. 처음부터 계획적으로 조성된 단지가 아니라 도시 외곽 지역의 일반 시가지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공업 지역과 주거 지역, 상업 지역이...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조성되고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산양 일반 산업 단지(山洋一般産業團地)는 실수요 중심의 산업 시설 용지를 적기에 공급함으로써 부산 지역 기업 역외 이전을 방지하고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하고 있다. 2008년 11월 10일에 투자 의향서가 제출되었으며, 2009년 5월 18일에 산업 단지 계획이 승인 신청되었다. 200...
-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생곡 산업 단지[부산 진해 경제 자유 구역]는 부산 지역에 첨단 산업 중심의 산업 단지를 조성하여 증가하는 산업 용지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인근 미음 지구, 화전 지구와 함께 경제 자유 구역의 중심 산업 벨트를 형성할 목적으로 조성 중이다. 2009년 7월 31일에 생곡 산업 단지[부산 진해 경제 자유...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재송동 일대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센텀 시티 일반 산업 단지는 부산 지역이 지식 정보[IT]·영상, 국제 비지니스, 상업, 주거, 관광 엔터테인먼트, 전시 컨벤션의 다양한 기능을 갖춘 첨단 미래 도시로 발전하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첨단 정보, 업무 거점 도시 기반을 구축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 및 고부가 가치 산업 중심의 지역 산업...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장림동·다대동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신평·장림 일반 산업 단지(新平·長林一般産業團地)는 부산 지역 도심권에 산재한 이전 대상 업체를 유치하기 위하여 조성된 산업 단지이다. 부산 지역 서남쪽 20㎞ 지점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장림동·다대동 일대 임야, 농경지 및 낙동강 하구언 매립지에 총면적 260만 2000㎡의 산업 단지를 1...
-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신호 일반 산업 단지[부산 진해 경제 자유 구역]는 지역 도시 공간 구조 정비 개편으로 도시 기능 활성화를 통한 산업 기반 강화를 목적으로 조성된 부산 지역의 일반 산업 단지이다.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사업비 7,040억 원을 투입하여 부산 서측 14㎞ 지점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 일원에 조성하였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반룡리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장안 일반 산업 단지(長安一般産業團地)는 지방 사업 육성과 고용 증대를 통한 지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하여 조성된 부산 지역의 일반 산업 단지이다. 3244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조성되었다. 2004년 2월 26일에 부산광역시 기장군과 부산도시공사가 장안 일...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방곡리·예림리에 있는 농공 단지. 정관 농공 단지(鼎冠農工團地)는 부산 농촌 지역 유휴 인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농촌 생활 개선 및 소득 증대를 도모하고자 1987년부터 1988년까지 조성되었다. 1987년 2월 25일에 정관 농공 단지로 지정되었다. 1987년 7월 2일에 정관 농공 단지 실시 계획이 승인되었으며, 1988년 1...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정관 일반 산업 단지(鼎冠一般産業團地)는 부산 지역에 부족한 산업 기반 확보를 위해 2001부터 2010년까지 1601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조성되었다. 2001년 10월 25일에 일반 산업 단지로 지정되었고, 2003년 6월 5일에 정관 일반 산업 단지 조성 실시 계획이 승인되었다. 2003년 8월...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에 있는 외국인 투자 산업 단지. 부산 지역에 선진 외국 기업 유치를 통한 R&D[Research and Development]와 첨단 생산 기능을 연계, 부품 소재 산업 집약지로 육성하기 위하여 지사 외국인 투자 지역[부산 과학 일반 산업 단지]을 조성하였다. 첨단 고도 기술 등 선진 기술을 보유한 외국인 투자 기업의 유치를 촉진하고...
-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신호동·녹산동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부산 지역의 신호 산업 단지[삼성자동차 부지]와 연계한 기계 및 부품, 첨단 생산 용도의 산업 단지 조성 및 단지 일부에 외국인 투자 촉진을 위하여 조성하였으며, 외국인 투자 지역으로 일부 지정되어 있다. 사업비 7645억 원을 투입하여 2005년부터 2010년까지 화전 지구 산업 단지[부산...
-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과 해운대구 석대동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회동·석대 도시 첨단 산업 단지(回東·石坮都市尖端産業團地)는 부산 지역의 부족한 산업 용지 확보로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조성 중이다. 2008년 8월 27일에 도시 첨단 산업 단지로 지정되었다. 2010년 5월 26일에 산업 단지 계획이 승인되었다[부산광역시 고시 제2010-181호]....
항만 시설
-
부산광역시에 선박들이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는 장소. 부산광역시에는 항만 운송업, 보험업, 창고업 등 관련 기업이 집중되어 있다. 우수한 지정학적 입지와 자연 조건으로 부산항은 세계적 컨테이너 처리 항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선사의 이윤 추구 강화, 항만 배후지의 확장, 중국 항만의 성장, 항만 기능의 고도화로 세계 항만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부산광역시는 항...
-
부산광역시에 있는 수출입품 운송 선박의 입출항 항구. 부산항은 우리나라 제1의 항구로서, 1426년(세종 8)에 부산포로 개항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폐쇄되었으며, 1876년 2월 27일 강화도 조약의 체결로 정식 무역항으로 개항하였다. 부산항은 우리나라 최대의 항구로서 해방 이후 국내외 다른 항구에 비해 규모가 컸고, 큰 배가 접안할 수...
-
선박이 접안하여 여객과 화물이 오르내릴 수 있도록 만든 부산광역시의 항만 시설. 부산항은 우리나라 최대의 항구로서, 국내외 해상 운송과 육상 운송을 연결하는 여러 부두가 있다. 부두는 선박이 육지에 접안하여 여객 및 화물을 싣고 내리는 시설을 갖춘 구역으로, 안벽과 잔교 등의 선박 계류 시설과 화물 하역 시설, 화물 조작 처리 시설, 화물 보관 창고 등의 보관 시설, 야...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국제 여객 부두. 1963년 1월에 부산직할시로 승격 이후, 경제 개발 계획과 도시 계획들을 다양하게 추진하였는데, 그중 하나가 항만 시설을 확충하는 것이었다. 항만 시설은 일제 하에 설치된 것을 바탕으로 부분적 축항 공사만 시행하고 거의 개발하지 않고 이용하다가 개발 및 확충되기 시작하였다. 항만 시설 확충 사업 중 한 사업은 국제...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있는 공용 부두. 부산은 광역시 승격과 더불어 경제 개발 계획에 따라 고속 도로 개발, 간선 도로 등 육로 및 해로의 상황이 구조적으로 전환되는 시기를 맞았다. 1970년대에 접어들어 연안 지역 관광 개발에 이바지하고자, 부산항 연안 부두를 현대화하고 시설을 확충하여 남해안 연안과 도서 지방 간의 여객 운송을 위한 부산 연안 여객 부두...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일반 부두. 부산항(釜山港)은 북항(北港), 남항(南港)[1974년 부산항에서 분리됨], 감천항(甘川港), 신항(新港)으로 구성되어 있다. 1876년(고종 13) 부산항 개항 당시의 항구가 현재의 북항이다. 북항은 1876년 부산포(釜山浦)라는 명칭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항으로 개항한 부산항이 근대적 무역항으로 개발되는 과...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일반 부두. 부산항(釜山港)은 북항(北港), 남항(南港)[1974년 부산항에서 분리됨], 감천항(甘川港), 신항(新港)으로 구성되어 있다. 1876년(고종 13) 부산항 개항 당시의 항구가 현재의 북항이다. 북항은 1876년 부산포(釜山浦)라는 명칭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항으로 개항한 부산항이 근대적 무역항으로 개발되는 과...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일반 부두. 부산항(釜山港)은 북항(北港), 남항(南港)[1974년 부산항에서 분리됨], 감천항(甘川港), 신항(新港)으로 구성되어 있다. 1876년(고종 13) 부산항 개항 당시의 항구가 현재의 북항이다. 북항은 1876년 부산포(釜山浦)라는 명칭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항으로 개항한 부산항이 근대적 무역항으로 개발되는 과정에서...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일반 부두. 부산항(釜山港)은 북항(北港), 남항(南港)[1974년 부산항에서 분리됨], 감천항(甘川港), 신항(新港)으로 구성되어 있다. 1876년(고종 13) 부산항 개항 당시의 항구가 현재의 북항이다. 북항은 1876년 부산포(釜山浦)라는 명칭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항으로 개항한 부산항이 근대적 무역항으로 개발되는 과정에서...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컨테이너 및 양곡 부두. 부산항(釜山港)은 북항(北港), 남항(南港)[1974년 부산항에서 분리됨], 감천항(甘川港), 신항(新港)으로 구성되어 있다. 1876년(고종 13) 부산항 개항 당시의 항구가 현재의 북항이다. 북항은 1876년 부산포(釜山浦)라는 명칭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항으로 개항한 부산항이 근대적 무역항으로 개발...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컨테이너 전용 부두. 부산항(釜山港)은 북항(北港), 남항(南港)[1974년 부산항에서 분리됨], 감천항(甘川港), 신항(新港)으로 구성되어 있다. 1876년(고종 13) 부산항 개항 당시의 항구가 현재의 북항이다. 북항은 1876년 부산포(釜山浦)라는 명칭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항으로 개항한 부산항이 근대적 무역항으로 개발되는...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에 있는 다목적 일반 부두. 부산항(釜山港)은 북항(北港), 남항(南港)[1974년 부산항에서 분리됨], 감천항(甘川港), 신항(新港)으로 구성되어 있다. 1876년(고종 13) 부산항 개항 당시의 항구가 현재의 북항이다. 북항은 1876년 부산포(釜山浦)라는 명칭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항으로 개항한 부산항이 근대적 무역항으로 개발되는...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 있는 군용 및 일반 공용 부두. 부산항(釜山港)은 북항(北港), 남항(南港)[1974년 부산항에서 분리됨], 감천항(甘川港), 신항(新港)으로 구성되어 있다. 1876년(고종 13) 부산항 개항 당시의 항구가 현재의 북항이다. 북항은 1876년 부산포(釜山浦)라는 명칭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항으로 개항한 부산항이 근대적 무역항으로 개...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부두. 1876년 개항 이후에 일제가 전쟁 수행 및 대륙 침략을 목적으로 시행한 부산 제3기 축항 공사를 통해 부산항 중앙 부두(釜山港中央埠頭)가 건설되었다. 1906년 부두 축조 공사를 시작하였다. 1936년 1월부터 1945년 8월까지 조선총독부가 주관한 부산 제3기 축항 공사를 통해 해면 약 71만 743㎡를 매립하고, 부산항 제3 부...
제언
-
전근대 시기 부산 지역에서 농업용수를 저수하기 위해 축조된 제방과 방죽. 우리 역사에서 농업은 전근대 사회를 통틀어 국정(國政)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리 시설의 개설과 유지·보수는 정책의 우선순위를 차치할 수밖에 없었다. 이 가운데 제언은 벼 재배와 불가분의 관계인만큼 그 등장 시기 역시 수산제, 벽골제로 대표되는 삼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언에 대한...
-
조선 후기 동래부 동평면에 있던 제언. 고성언(古城堰)이란 이름은 조선 시대 동평면(東平面) 지역에 있던 읍성에서 유래하였다. 고성언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동래부 읍지(東萊府邑誌)』[1832]이다. 여기에는 동래부 소속 20곳의 제언(堤堰)이 소재지에 따라 분류되어 있는데, 고성언은 동평면에 축조된 유일한 제언이었다. 고성언은 둘레 약 87m[287척], 수...
-
조선 후기 동래부 동평면 와요리에 있던 제언.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 일대가 조선 시대 행정 구역으로 동래군 동평면 와요리이었기 때문에 이 지역의 제언(堤堰)을 와요언(瓦窯堰·瓦要堰)이라고 하였다. 개칭된 미요언의 명칭 유래는 알 수 없다. 미요언이 설치되어 있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 일대는 백양산 아래로 많은 하천이나 샘물이 있어 제언의 형성지로 적...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교리에 있던 조선 시대의 저수지. 전통 시대 제언(堤堰)은 농경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하천이나 계곡을 막아 쌓아 올린 둑을 말한다. 흔히 저수지라 부른다. 기장군에는 둑이 그리 많지 않다. 기장의 지형은 서쪽은 산이고 동쪽은 바다인데, 해안 쪽은 평평하나 농경지가 좁기 때문이다. 게다가 주민들은 주로 어업을 생업으로 삼았기 때문에 기장은 농업용...
-
조선 후기 동래부 남촌면에 있던 제언. 백화언(白化堰)에 대한 정확한 명칭 유래는 알 수 없다. 다만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지역에 백운포, 백운 고개 등 ‘백’이 들어가는 지명이 많이 있다. 이 지역은 수심이 깊어 운무가 끼어 있어 이런 지명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백화언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동래부 읍지(東萊府邑誌)』[1832] 제언조이며 남촌면(南村面)...
-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있던 조선 시대의 저수지. 사근제(沙斤堤)는 기장의 대표적 수리 시설인 저수지이다. 조선 전기에는 사근제에 관한 기록이 없지만, 조선 후기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박곡제(朴谷堤)·첨엄제 등과 함께 보인다. 따라서 사근제는 조선 전기에서 조선 후기 사이에 다른 제언과 함께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의 『기장읍지(機張邑誌...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에 있던 조선 후기의 저수지. 기장현의 사직단이 있었기 때문에 사직동제(社稷洞堤)라는 이름이 생겨났다. 영조 때 만들어진 『여지도서(輿地圖書)』 기장현 제언(堤堰)조에 사직동제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그 이후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정확한 축조 연대와 폐지 시기는 확인되지 않는다. 사직동제...
-
조선 후기 동래부에 있던 제언. 생천언(生川堰)이란 명칭의 유래는 고려 시대 부산 지역에 존재한 생천 부곡에서 찾을 수 있다. 생천언에 관한 기록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 이후 여러 읍지(邑誌)의 제언조에서 연속적으로 확인된다. 제언의 크기는 둘레 약 129.7m[428척], 길이 약 54.85m[181척], 폭 약 37.88m[125척]로 평균 수...
-
조선 후기 동래부에 있던 제언. 신지언(新池堰)이 있던 곳이 연지리이었는데, 연지언(蓮池堰)이라고 하지 않고 ‘새못’이라는 뜻을 가진 ‘신지언’이라고 칭하였다. 당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화지언이 있어서 새롭게 만들었다는 의미에서 붙인 명칭이다. 신지언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부의 서쪽 13리[약 5.11㎞]에 있는데 길이는 268척(尺...
-
조선 후기 동래부 읍내면에 있던 제언. 조선 시대 제언의 축조는 크게 두 시기로 구분된다. 우선 태종과 세종의 적극적 정책으로 조성된 제언 사업은 『경상도 속찬 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誌)』를 통해 확인된다. 경상도 지역에만 721개의 제언이 축조되고 동래부에도 6곳에 설치되었다. 한편 건국 초의 제언 수축은 18세기 말에 이르면 절정에 달한다. “전국에 제언이 설치되지 않는 곳이 없...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저수지. 제언(堤堰), 즉 저수지는 삼국 시대에 만들어진 이후 조선 시대에 이르러 더욱 활발하게 축조된 수리 시설이다. 제언의 수는 조선 전기 지리지에 각 군현에 1개 또는 2개 정도이었다가, 조선 후기에 이르러 각 군현마다 5~6개 정도로 늘어났다. 제석곡제(祭石谷堤)[제석동 제언]가 있는 계곡의 이름이 제석골인데, 마...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제언. 1826년 동래현 북쪽 20리[686m] 지점에 있는 척박한 밭에 물을 대는 제언(堤堰)[수자원 관리를 위해 하천이나 계류 등을 막은 구조물] 시설인 조정언이 조성되었다. 지역 주민들이 기부와 노동력을 제공하여 완성된 조정언 조성과 관련하여 조정언 비를 세웠다. 당시 이 지역은 땅에 습기가 없는 돌밭[石田]이었다. 이에...
-
조선 후기 동래부 동면에 있던 제언. 주로언(周老堰)은 『동래부지(東萊邑誌)』[1740] 제언조에 기록될 정도로 부산부의 대표적인 제언(堤堰)이었다. 19세기 전반은 전국적으로 사점(私占) 등으로 제언 축조가 활발해지는데 부산 지역도 9곳에서 20곳으로 늘어났다. 이때 주로언이 만들어졌다. 장산 일대 골짜기 비탈면을 이용해 단기간에 쌓아 올린 임시 제방으로 보인다. 둘레...
-
조선 후기 동래부 동면 일대에 있던 제언. 조선 시대 제언(堤堰)의 축조는 크게 두 시기로 구분된다. 우선 태종과 세종의 적극적 정책으로 조성된 제언은 『경상도 속찬 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誌)』를 통해 확인된다. 이 시기 경상도에만 721곳의 제언이 축조되었으며, 동래부에도 6곳이 수축되었다. 이러한 건국 초의 제언 수축은 18세기 말에 이르면 절정에 달한다. “전국에 제언이 없는...
-
조선 후기 동래부 읍성 안에 있던 제언. 지동(池洞)이란 이름은 1754년(영조 30) 동래부 읍내면 지동리라는 행정명에서 따온 것이다. 지동언(池洞堰)은 조선 후기 축조된 제언 중 유일하게 읍성 안에 조성된 제언이다. 18세기 편찬된 『동래부지(東萊邑誌)』에 따르면 규모는 둘레 약 96.67m[319척], 길이 약 41.82m[138척], 폭 약 31.82m...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신평리와 칠암리에 있던 조선 후기의 저수지. 칠암제(漆巖堤)[첨엄제]는 기장의 대표적인 수리 시설인 저수지이다. 조선 전기에는 칠암제에 관한 기록이 없지만, 조선 후기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박곡제(朴谷堤)·사근제(沙斤堤) 등과 함께 보인다. 따라서 칠암제는 조선 전기에서 조선 후기 사이에 다른 제언과 함께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
조선 후기 동래부 서면에 있던 최대 규모의 제언. 화지리라는 이름에서 보면 화지언(和池堰)은 화지(和池)라는 연못에 인공 제방을 쌓아 올리면서 지역의 경관으로 자리 잡은 듯하다. 초량의 화지산과 화지사 역시 화지언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화지언은 동래부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면서 최대 규모를 자랑하던 제언(堤堰)이다. 『경상도 속찬 지리지...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에 있던 부산 최초의 현대식 저수지. 구덕 저수지라고도 불리는 구덕 수원지(九德水源地)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현대적 상수도 시설이다. 구덕 수원지는 일본 전관 거류지(日本專管居留地)에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원래 초량 왜관[용두산 공원 일대로 전관 거류지가 됨] 내에는 우물 두 곳이 있었는데, 개항 이...
-
부산광역시 금정구 오륜동에 있는 수원지. 회동 수원지(回東水源池)는 인공 저수지로, 수영강 상류의 하폭이 좁은 지점에 축조된 중력식 콘크리트 댐이다. 오륜대 저수지 혹은 회동 저수지라고도 불린다. 회동 수원지는 1930년대 후반 가뭄으로 물 부족이 발생하자, 양수 시설 확충을 위해 1938년 12월 수영강 보조 수원지에 양수 기관을 설치하고 취수를...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과 강서구 명지동 사이를 잇는 낙동강 하구의 방조제. 낙동강 하구둑은 낙동강의 하구를 가로막은 둑으로 1983년 9월에 착공하여 1987년 11월에 준공된 콘크리트 중력댐이다. 시공은 현대건설이 맡았고, 총 공사비는 1896억 원이 들어갔다. 안정적 용수 확보 등 순기능도 있었지만, 동양 최대의 철새 도래지인 낙동강 하구의 환경 파괴를...
기타 시설
-
런던 금속 거래소에 의해 거래되는 원자재를 보관·유통할 수 있도록 지정된 부산광역시에 있는 창고. 런던 금속 거래소[London Metal Exchange: LME]는 1877년 영국 런던에 설립된 세계 최대의 금속 선물 거래소이다. 하루 거래 대금이 100억 달러에 이르며 시카고 상품 거래소[CBOT]와 함께 세계 원자재 시장의 양대 산맥이다. 1882년부터...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있는 소상공인 관련 교육장. 2006년 5월 22일 소상공인진흥원이 개원하였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부산전용교육장은 소상공인 전용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소상공인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2009년 6월 16일 소상공인진흥원 부산소상공인혁신아카데미[전용 교육장]라는 이름으로 개소하였다. 2014년 1월 1일 소상공인진흥원과 시장경...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과 범천동에 있는 철도 차량 정비를 담당하는 한국철도공사 시설. 한국철도공사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은 부산항으로부터 시작되는 경부선 철도를 운행하는 철도 차량의 부속 생산과 정비를 위해 1904년 2월 초량 기계 공장으로 건립되었다. 1963년 9월 철도청 부산 공작창, 1984년 2월 철도청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 1996년 3월...
백화점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2가에 있던 백화점. 미화당 백화점은 유통업을 목적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1. 설립~1980년대 1949년 12월에 미화당 백화점이 4층 목조 건물로 지어져 임대 위주로 운영되었다. 1956년에 콘크리트 별관을 준공하였는데, 당시 부산 지역에서 최고층 빌딩으로 용두산 공원과 연결되어 새로운 명물로 인기를 끌었다. 설립 20년 만인 196...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백화점. 신세계 백화점 센텀 시티점은 해양 도시 부산에 지역민은 물론, 국내 및 아시아, 세계 곳곳으로부터 모여든 관광객들에게 최고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2009년 3월 개점하였다. 2009년 6월 기존 세계 최대 백화점인 미국 뉴욕 메이시 백화점을 제치고 기네스월드레코드로부터 세계 최대 백화점으로 공식 인증을 받았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던 백화점. 1962년 태화백화점 본관 자리에 태화 극장을 개관했다. 당시 태화 극장은 서울의 마포 극장을 제외하고는 한강 이남에서 가장 수입이 좋은 극장으로 꼽힐 만큼 호황을 누렸다. 1974년 독자적인 사업을 모색하던 중 정부의 유통 근대화 5개년 계획 발표에 따라 부산 지역 최초의 슈퍼마켓인 태화슈퍼마켓을 열었다. 슈퍼 연쇄화 사업이...
쇼핑센터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에 있는 쇼핑센터. 신세계 사이먼 부산 프리미엄 아울렛은 수도권의 교외형 명품 아울렛(Outlets) 매장의 성공을 바탕으로 동부산권과 울산광역시·경상남도 지역 고객 수요를 흡수하고, 동부산 관광 단지와 연계된 위치적 이점을 바탕으로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하고자 설립되었다. 신세계 사이먼 부산 프리미엄 아울렛의 개점은 지역 내 일자...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쇼핑센터. 주식회사인 부산서부버스터미널 설립 이후에 부산 서부 버스 터미널 준공과 함께 상가 건물형 시장인 고려 쇼핑센터가 문을 열었다. 1985년 3월 29일 고려 쇼핑센터가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2002년 4월에 인터에프에서 임차 계약을 통해 애플 아울렛으로 개칭하였다. 2003년 8월에 별관[1,650㎡]을 개장하였다. 2009년 1...
-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동 2가에 있는 선박에서 사용하는 물품의 유통을 위한 시설. 부산항 국제 선용품 유통 센터는 부산 지역 소규모 선용품 업체들을 한데 모아 공동 구매, 운송 창구 일원화 등 유통 구조를 개선해 부산항을 고부가 가치 물류 허브 항만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7년 3월 산업통상자원부 고시로 부산항 자유 무역 지역이 추가 지정되었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부산상공회의소 전자상거래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쇼핑몰. 부산광역시와 부산상공회의소 전자상거래지원센터가 지역 전통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05년에 인터넷 쇼핑몰을 개설하였다. 2005년 11월 24일부터 11월 27일까지 부산광역시에서 열린 ‘2005 전국 재래시장 박람회’에서 ‘부산 e장터’가 시연되었다. 2006년...
시장
-
부산광역시에서 재화 및 서비스가 거래되고 가격이 결정되는 장소. 시장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모여서 재화 및 서비스의 소비와 교환을 행사하는 장소나 메커니즘으로 정의된다. 행정 당국의 감독을 받는 공적 시장과 달리 통제를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상거래 행위를 할 수 있는 사적 시장의 등장이 현재 시장의 전신이며, 특정 장소에 위치한 시장을 구체적 시장, 특정한 장소에 제약받...
-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전통 방식으로 상품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 「재래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제2조]에 따르면, 재래시장은 등록 시장이나 인정 시장과 같이 허가된 시장으로 1980년대 이전에 개설된, 재개발이나 근대화가 요구되는 시장을 뜻한다. 그리고 「유통 산업 발전법」 제8조에 따르면 대규모 점포로 등록된 시장을 지칭한다. 장시(場市)라고 칭해지는 시...
-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에 개설되었던 공공 단체 운영의 상설 일용품 시장. 일제 강점기에 공설 시장은 다음 세 가지 의미로 사용되었다. ① 사설 시장과 달리 공공 단체 또는 그에 준하는 기관이 운영하는 시장 ② 일정 수 이상의 상인이 하나의 시장 건물에서 매일 식량을 비롯한 일용품을 판매하는 상설 일용품 시장 ③ 1차 대전 후의 물가 폭등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가 설치한 상설 시장으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전통 시장. 1982년 1월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주택 복합형 건물인 가남 맨션을 준공하고 건물 1층에 점포를 임대하여 시장이 형성되었다. 1982년 4월 22일 가남 종합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1990년대 이후 쇠퇴하여 2002년 동일 상권 내 홈플러스 가야점으로 인한 상권 축소, 시설 노후화 등으로 상권이 위축되었다. 대지 면적 1...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벽산건설이 가락 타운 아파트를 건설하면서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가락 쇼핑[현 가락 타운 상가 시장]이 개장하였다. 1992년 8월에 상가 건물이 준공되었다. 1992년 8월 24일에 시장으로 등록하고, 1992년 9월 10일에 가락 쇼핑으로 개장하였다. 2010년 2월에 가락...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벽산건설이 가야 벽산 아파트를 준공하면서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가야 벽산 상가가 개장되었다. 1990년 6월 5일 가야 벽산 상가가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상가 건물형의 소형 시장으로 대지 면적 약 1,272㎡의 규모이다.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점포 수는 82개소이다. 편의 시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1936년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가야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1년 8월 27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가야 시장은 상가 주택 복합형의 소형 시장으로 1,130.9㎡의 규모이다. 총 점포 수는 53개소이며 참기름, 고추 등을 취급하는 상회, 철물점, 신발 가게, 횟집, 음식점...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감전 제일 상가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7년 5월 12일 시장으로 등록되어 개장하였다. 감전 제일 상가 시장은 상가 건물형의 소형 시장으로 매장 면적 488㎡의 규모이다. 총 39개소의 점포가 있으며 주요 판매 상품은 생선 및 잡화이다. 편의 시설로 화...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감천항과 가까워 상권이 형성되기 좋은 위치로 주변에 주거 지역이 형성되자,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매매하여 감천 시장(甘川市場)이 개설되었다. 1975년 8월 26일에 상가 건물이 준공되었고, 1975년 9월 15일에 감천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설되었다. 2005년부터 200...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전통 시장. 개금 골목 시장은 1970년대에 몇 개의 부식 가게가 모여 영업을 해오다 자연스럽게 주변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으로 형성되었다. 1975년에 개금 골목 시장이 개장하였다. 2005년 4월 28일에 전통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2005년에 환경 개선 사업 착공식을 기점으로 2007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시장 내 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전통 시장. 6·25 전쟁 이후, 부산진구 개금동에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기 시작하였고 이들의 소비를 충족시키기 위해 시장이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났다. 부산진구 개금동에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매매하여 개금 큰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8년 6월 10일에 개금 큰 시장이 등록 및 개장되었다. 2007년에 환경...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거성 시장(巨星市場)이 위치한 연제구 거제동 주변은 1950년대부터 주거 밀집 지역으로 변화되기 시작하였고, 지역 주민의 소비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시장이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났다. 1979년 7월 24일에 거성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설되었다. 2012년에 부산광역시 연제구청의 지원을 받아 소방·전기 공사...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전통 시장.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은 주택이 밀집한 지역으로 1960년대부터 지금의 거제 시장 위치에 지역 주민을 영업 대상으로 하는 좌판, 노점 등이 생겨났다. 이후 1970년에 거제 시장 부지에 2층 철근 콘크리트 건물을 짓고 시장을 개설하였다. 1970년 5월 14일에 거제 시장(巨堤市場)으로 등록하였다. 1970년대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귀금속 시장. 1980년대 초 부산 지역의 귀금속 상가들이 부산진구 범천동 일대로 모여들어 귀금속 시장이 형성되었다. 1995년에 골드 테마 거리가 개설되었다. 1995년에 부산귀금속유통업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2005년 12월 7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2006년 12월에 부산광역시가 귀금속 특화 전문 시장으로 지정하였다....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전통 시장. 주변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점포들로 이루어진 광안 공설 시장이 1955년에 개설되었다. 1996년 5월에 재난 위험 시설[D급, 긴급히 보수·보강해야 하거나 사용 및 거주 제한을 요할 정도의 재난 발생 위험이 높은 시설]로 지정되어 시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2008년 6월에 광안 공설 시장이 철거되었다...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광안리 해수욕장 주변에 횟집들이 모여 시장이 형성되었다. 수영구 민락동 지금의 시장 위치에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광안 어패류 시장(廣安魚貝類市場)이 개장하였다. 1989년 8월 15일에 광안 어패류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장하였다. 광안 어패류 시장의 대지 면적...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전통 시장. 주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시장이 형성되었으며, 1974년 시장 건물 준공 후 광안 종합 시장이 개장하였다. 1974년 8월 15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대지 면적 1,060㎡, 매장 면적 546㎡이며 총 46개소의 점포가 있다. 주로 취급하는 품목은 생식품과 양념류이다. 편의 시설로 화장실[1동 4칸]이 있다. 2012년 1...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재래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구남 시장이 개장하였다. 1980년 1월 19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구남 시장은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으로 2층 건물의 1층에 형성되어 있다. 대지 면적 993㎡, 매장 면적 502㎡의 규모이다. 총 30개소의 점포가 있으며, 편의 시설로 화장실[1동 1칸]이 있다....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대림산업이 건설한 구덕 대림 아파트와 연계된 상가로,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구덕 대림 상가가 개장되었다. 1992년 9월 1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구덕 대림 상가는 상가 건물형 소형 시장으로 4층 건물에 대지 면적 1,293㎡ 규모이다. 총 38개소의 점포가 있으며, 편의 시설로 화장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조선 시대 후기 지금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의 동래 시장 자리에 오시게 시장[오일장]이 있었다. 오시게[烏시게]는 마을 이름인 ‘까막 고개’[까마귀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도심의 확대로 부산직할시가 오시게 시장을 폐지하기로 하자 1982년에 금정구 구서동 일대로 상인들이 옮겨와 장을 열었다. 1994...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전통 시장. 구포 시장(龜浦市場)은 구포장이라고 불리던 조선 후기 오일장인 장시(場市)로부터 발달해 왔다. 구포 지역은 교통의 요지이자 물화의 집산지였다. 경상북도의 낙동강 상류까지 연결되어 다양한 생산물이 교환되는 상품 거래의 중심지로 상업이 일찍부터 발달되었다. 1871년에 간행된 『영남 읍지(嶺南邑誌)』에 구포장이 기록되어...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전문 축산물 도매 시장. 북구 구포동 현 시장 위치에 동원산업[도축장]이 들어서면서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0년에 구포 축산물 도매 시장(龜浦畜産物都賣市場)이 개설되었다. 2006년 3월 15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2011년 2월 25일에 시설 현대화 사업 준공식을 개최하였다. 구포 축산물 도매 시장의 대지...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서 열리는 조선 후기에 개설된 오일장. 장시는 상인들과 일반인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물화의 교역장이다. 지방의 장시는 월 6회씩 5일 간격으로 개시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장시의 발달은 국지적인 시장권 형성과 함께 각도를 넘어서서 전국적으로 지역 간 물화 유통의 발달을 가져왔다. 구포는 낙동강 하류 수로의 변화에 따라 구포~사상~하단을 연결하는 흐름이...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국제종합건설이 국제 백양 아파트를 준공하면서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국제 상가가 개장하였다. 1995년 7월 13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국제 상가는 대지 면적 1,929㎡, 매장 면적 3,169㎡ 규모의 상가 건물형 소형 시장으로 지하 1층, 지상 5층으로 되어 있다. 총 점포 수...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4가 일대에 있는 시장. 6·25 전쟁 이후 미군의 원조 물자 및 많은 밀수품들이 부산 지역으로 유입되었다. 또한 일본인이 떠나면서 남긴 기성품 및 군용품, 징용이나 징병을 갔던 한국인들의 물품 등을 교환하는 국제 시장(國際市場)이 1945년에 형성되었다. 국제 시장은 도떼기시장 이라고도 불리며 이는 모아서 한꺼번에 매매한다는 의미로 추정된다. 1...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2층 건물을 준공하여 1층에 점포를 임대하여 금강 시장이 개장하였다. 1976년 4월 2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금강 시장은 상가 건물형의 소형 시장으로 대지 면적 1,486㎡, 매장 면적 757㎡의 규모이다. 총 점포 수는 50개소이며, 주요 판매 상품은 농수산물이다. 편의 시설로 화장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금사 시장 아파트를 준공하고 건물 1층에 시장 점포를 매매·임대하여 금사 제일 상가 시장이 개장하였다. 1979년 6월 15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금사 제일 상가 시장은 소형 시장으로, 3층 건물의 1층에 형성되어 있다. 대지 면적 978㎡, 매장 면적 698㎡의 규모로 총 31개소의...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시장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임대하여 금성 상가 시장이 개장하였다. 1976년 11월 29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금성 상가 시장은 상가 주택 복합형의 소형 시장으로, 2층 건물의 1층에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대지 면적 866㎡, 매장 면적 428㎡의 규모이며 16개소의 점포가 있다....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건물을 준공하여 1층에 시장 점포를 매매·임대하여 금정 상가 시장이 개장하였다. 1975년 12월 9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금정 상가 시장은 상가 건물형의 소형 시장으로 2층 건물의 1층에 형성되어 있다. 대지 면적 1,805㎡, 매장 면적 1,057㎡으로 총 36개소의 점포가 있다. 주요...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에 있는 전통 시장. 인근 지역 농수산물을 거래하는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서부리의 오일장으로 1944년에 개장하였다. 기장 시장(機張市場)은 1960년에 상설 시장이 되었다. 1964년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로 이전하였다. 1984년 8월 25일에 시장으로 등록하였다. 2010년 9월 9일에 수산물 경매 위판장이 개장되...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상설 시장. 주거지 조성을 위해 매립한 부지에 아파트가 들어서고 좌판 시장이 형성되었다. 그곳에 건물을 준공하여 남천 해변 시장(南川海邊市場)이 개장하였다. 1979년에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앞바다 34만 3854㎡의 매립이 착공되었다. 1983년 7월 6일에 매립이 준공되고, 1984년에 좌판 시장이 형성되었다. 1987년에 상가 건...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1가에 있는 건어물 도매 시장. 남포동 건어물 도매 시장이 입지한 장소는 1931년 남항 매축으로 선착장이 생기면서 조성된 곳이다. 영도 대교가 개통되었던 1934년 11월 이곳을 중심으로 한 어업연합회로 출발해 상가가 조성되었다. 해방 이후 부산어업협동조합[현 부산수산업협동조합]이 설립되었고, 1968년 7월 10일에 인근에 부산어업협...
-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동 1가·영선동 1가·영선동 2가 일원에 있는 전통 시장. 6·25 전쟁 후, 1960년 영도구에 남항 시장(南港市場)이 도로를 중심으로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되었다. 2007년 4월 25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2011년 5월 16일에 남항 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 준공식을 가졌다. 2012년 9월부터 12월까지 골목 문화 살롱[문화 행사]을...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회 전문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다대 씨 파크를 개장하였다. 1996년 11월 7일에 다대 씨 파크가 시장으로 등록, 개장하였다. 다대 씨 파크의 대지 면적은 2,647㎡, 매장 면적은 9,912㎡이다. 1층에는 활어 판매장, 2층과 3층에는 30여 개의 점포[횟집]가 있으며, 4층과 5층에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전통 시장. 일본에서 돌아온 귀향민과 북한에서 온 피난민이 모여 살던 부산진구 당감동의 ‘이북 동네’를 중심으로 당감 시장(堂甘市場)이 개설되었다. 당감 시장의 상권이 확대되면서 당감 골목 시장이 1973년에 개장하였다. 2006년 10월 31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2011년에 시장경영진흥원의 경영 현대화 사업 대상...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전통 시장. 8·15 광복 직후, 당감초등학교 주변과 부산진구 당감동 일대에 일본에서 귀향한 사람들이 정착하였고, 6·25 전쟁 이후 실향민이 정착하였다. 이 지역을 중심으로 당감 시장(堂甘市場)이 생겨났다. 당감 시장 상권이 확대되면서 당감 새 시장이 형성되었다. 2007년 1월 23일에 전통 시장 인정을 받았다. 당감 새...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전통 시장.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 1동·당감 3동 일대의 ‘이북 동네’는 광복 이후, 일본에서 돌아온 귀향민과 6·25 전쟁 이후 북한에서 온 피난민이 모여 살던 곳이다. 이곳을 중심으로 생겨난 것이 당감 시장(堂甘市場)이다. 일제 강점기 담강 시장에는 인근의 철도 차량 정비 시설인 초량 기계 공장[현 한국철도공사 부산 철...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2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당리 시장(堂里市場)이 형성되었다. 1980년 9월 13일에 시장으로 등록하고 개장하였다. 당리 시장의 대지 면적은 1,974㎡, 건물 연면적은 1,144㎡, 매장 면적은 807㎡이며, 지상 1층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총 점포 수는 58...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2가에 있는 도매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대덕 도매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9년 6월 8일에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대덕 도매 시장의 대지 면적은 595㎡, 매장 면적은 214㎡이며, 2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여성 의류 전문 매장으로 1층에는 의류 점포가 대부분이며, 2층은 현재 비어 있다. 총...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1가에 있는 전통 시장. 1930년대에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동 지역 주민들에게 먹거리를 공급하기 위하여 자연 발생적으로 시장이 형성되었다. 이것이 현재 대신 시장(大新市場)의 모태가 되었다. 그 후 1979년에 시장 건물을 짓게 되고, 인근의 노점과 자영업자들이 가세하면서 대신 시장은 시장으로서의 모습을 점차 갖춰가게 되었다. 1979년 8월 1...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전통 시장. 자연스럽게 형성된 남구 대연동 시장 자리에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대연 시장(大淵市場)이 개설되었다. 1970년 11월 21일에 대연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장하였다. 1996년에 청과물 등을 판매하던 가건물 점포 쪽에서 전기 누전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시장 건물에 있던 점포 9개와 건물 입...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정기 시장.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수산물을 거래하는 정기 시장[4·9일]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1940년 덕두 시장이 개설되었다. 자연 마을인 덕두 마을에서 열리는 시장으로 일제 강점기 하상(河上) 교역 시장으로 번성하였다. 덕두 시장은 대지 면적 1,834㎡, 매장 면적 413㎡ 규모이다. 낙동강 하구의 김해 평야에 위치한 지...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주상 복합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덕천 시장이 개장하였다. 1980년 2월 20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덕천 시장은 대지 면적 1,624㎡, 매장 면적 1,333㎡ 규모이다. 야채, 건어물, 고추 등 생필품을 취급하는 상점들과 옷 가게, 기름집, 식당, 횟집, 금방, 구두 수선집, 가구점, 꽃집,...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1가에 있는 전통 시장. 6·25 전쟁 이후에 동대신 1동 골목 시장이 자연스럽게 생겨났다. 1973년에 동대신 1동 골목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5년 9월 12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동대신 1동 골목 시장의 대지 면적은 4,073㎡, 매장 면적은 1,575㎡이다. 총 65개의 점포가 있으며, 주 판매 상품은 잡화, 농수산물...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전통 시장. 동래 시장(東萊市場)의 기원은 조선 시대 읍내장이다. 동래 지역의 시장에 대한 기록은 1770년(영조 46)에 편찬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에서 처음 언급된다. 시장이 형성된 것은 그 이전부터로 생각된다. 1924년 공설 시장으로 지정 받았으며, 1930년 목조 건물이 세워졌다. 1937년에 동래 공설 시장으...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주거 밀집 지역에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동방 시장이 개장하였다. 1977년 11월 28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동방 시장은 대지 면적 998㎡, 매장 면적 596㎡ 규모의 1층 철근 콘크리트 건물이다. 총 점포 수는 30개소이며 채소, 과일, 잡곡, 식육, 잡화 등 각종 생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컴퓨터 도매 시장. 삼화고무에서 주식회사 삼화종합시장을 설립한 후, 건물을 준공하여 점포 분양을 통해 삼화 종합 시장을 건립하였다. 1977년 11월에 삼화 종합 시장으로 개장하였다. 1978년 5월에 동아 종합 시장(東亞綜合市場)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 6월에 가야 컴퓨터 도매 상가가 조성되었다. 동아 종합 시...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도소매 상가 건물형 시장. 르네시떼(renecite)는 점포를 임대·매매하여 의류를 전문으로 하는 유통 복합 도소매 상가로서 소비자들에게 편리한 쇼핑의 즐거움을 주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르네시떼는 불어로 다시 새롭게 태어난다는 의미의 르네(rene)와 유통 복합체를 의미하는 시떼(cite)의 합성어이다. 1999년 1월 8일 르...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산업용품 전문 시장. 부산 지역 공구 상가 상인 조합이 결성한 양지로부터 거양개발[현 포스코건설]이 수주하여 마트 월드(Mart World)가 조성되었다. 1994년 5월 7일에 착공하였다. 1994년 10월 22일에 분양을 시작하고, 1997년 8월 15일에 준공되었다. 1997년 9월 5일에 마트 월드가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주상 복합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주상 복합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만덕 시장(萬德市場)이 형성되었다. 1976년 9월 6일에 만덕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장하였다. 2003년부터 건물 외벽 도색과 소방·전기 시설 교체 등 시설 현대화 사업을 진행하였다. 만덕 시장의 대지 면적은 1,420㎡, 매장 면적은 6...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4가에 있는 전통 시장. 6·25 전쟁 후에 구호품, 미군 군용품, 밀수입된 온갖 상품들이 유통되는 시장이 부산에 형성되었다. 국제 시장과 함께 ‘도떼기시장’으로 불린다. 만물의 거리는 1960년대에 개설된 상가 건물형 상설 시장이다. 2005년 8월 30일에 전통 시장 인정을 받았다. 2008년에 국제 시장, 대덕 시장, 만물의 거리, 부평 시장...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삼성건설이 망미 삼성 아파트를 건설하면서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망미 삼성 상가 시장이 형성되었다. 1992년 1월 4일 시장으로 등록하고 개장하였다. 망미 삼성 상가 시장은 대지 면적 576㎡, 매장 면적 1,061㎡ 규모이며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총 25개소의...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망미 새 상가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7년 12월 9일 시장으로 등록하고 개장하였다. 망미 새 상가 시장은 대지 면적 1,420㎡, 매장 면적 592㎡ 규모이다. 총 53개소의 점포가 있으며 식당과 채소, 과일, 건어물 등 각종 생필품과 의류, 잡화 등...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망미 종합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8년 1월 23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망미 종합 시장은 대지 면적 1,651㎡, 매장 면적 704㎡ 규모이다. 2층 건물 두 동이 있고 그 가운데에 노점 형태의 상점들이 들어서 있다. 건물 1층에는 식당, 철물점, 정...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전통 시장. 수영구 망미동 주거 지역에 교통이 편리한 현 위치에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망미 중앙 시장(望美中央市場)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1980년에 망미 중앙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6년 3월 14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망미 중앙 시장의 대지 면적은 6,267㎡, 매장 면적은 3,696㎡이며, 주...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주거 밀집 지역 인근에 주상 복합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명장 시장이 형성되었다. 1980년 8월 14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2011년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전통 상업 보존 구역으로 지정하였다. 명장 시장은 대지 면적 2,505㎡, 매장 면적 774㎡ 규모이며, 3층 주상 복합 건...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김해 평야에서 생산되는 각종 농산물과 낙동강 하구 및 남해 바다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을 거래하는 난전들이 모여 자연스럽게 명지 시장(鳴旨市場)이 형성되었다. 1945년 3월 3일에 명지 시장이 개설되었다. 1970년 2월 10일에 현 건물이 세워지고 주식회사 명지시장이 설립되었다. 2006년 5월 2일에 전통...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상설 시장. 남구의 자연 마을인 못골의 도로를 따라 인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못골 골목 시장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1965년에 못골 골목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9년 1월 16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못골 골목 시장의 대지 면적은 1만 1781㎡, 매장 면적은 1만 3576㎡이며, 상설 시장이다. 주...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전통 시장.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장옥형(場屋形) 시장이 건설되고 문전 시장(門田市場)이 개장하였다. 1972년 6월 7일에 문전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문전 시장의 대지 면적은 2,805㎡, 매장 면적은 659㎡이며, 지상 1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 취급 물품은 잡곡, 부식, 철물, 그릇 등이며 총 55개의 점포...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주상 복합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문현 새 시장이 형성되었다. 1980년 1월 10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총 3층 규모의 문현 새 시장은 원래 지하 1층, 지상 2층의 건물이었는데 지하 1층 앞으로 도로가 나면서 지하 1층이 지상 1층이 되어, 현재는 3층 건물이 되었다. 대지 면적 940㎡,...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있는 전통 시장.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이 골목에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민락 골목 시장이 1983년에 개설되었다. 2008년 5월 15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민락 골목 시장의 대지 면적은 3,589㎡, 매장 면적은 2,315㎡이며, 총 85개의 점포가 있다. 채소, 과일, 생선 등 1차 식품과 부식 가게, 공산품을 취...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있는 어패류 특화 시장. 수영구 민락동 앞바다 일부를 매립하기 전, 선착장과 방파제 주변에서 활어를 횟감으로 판매한 것이 시초가 되어 대형 횟집들이 밀집하게 되었다. 현 시장 위치에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민락 씨 랜드가 형성되었다. 1998년에 민락 씨 랜드가 개설되었다. 2009년 10월 30일에...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있는 어패류 특화 시장. 횟집이 밀집되기 시작하면서 부동산 개발업자가 시장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민락 어패류 시장(民樂魚貝類市場)이 형성되었다. 1989년 10월 20일에 민락 어패류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2006년에 시설 현대화 사업을 실시하였다. 민락 어패류 시장의 대지 면적은 988㎡, 매장 면적은 1,212㎡...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있는 어패류 특화 시장. 수영구 민락동 앞바다 일부를 매립하기 전, 민락동 선착장과 방파제 주변에서 이곳을 찾는 손님에게 활어를 횟감으로 판매한 것이 시초이다. 횟집이 밀집해 있는 현 시장 위치에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민락 회 타운 시장이 형성되었다. 1990년에 민락 회 타운 시장이 개설되었다. 2...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반도건설이 학장 반도 보라 타운을 준공하면서 상가 건물이 건설되었다. 준공 후 점포 분양을 하면서 반도 프라자 상가를 개설하였다. 1994년 10월 7일에 시장 등록을 마쳤고, 115개의 점포들이 입점하면서 상가를 형성하였다. 2012년 7월에 상가 건물 외부 청소 및 내부 공용 부분 도장 작업을 실시하였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1968년에 해운대구 반송동에 시내의 수재민과 철도 주변 철거민들이 이주하여 주택 밀집 지역으로 발전하였다. 반송 지구 정책 이주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점포들이 모여 반송 2동 시장(盤松二洞市場)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1970년에 반송 2동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6년 10월 23일에 전통 시장으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주택 밀집 지역인 해운대구 반송동에 점포들이 모여들면서 자연스럽게 반송 골목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4년에 반송 골목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6년 7월 6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받았다. 2007년 4월에 부산광역시에서 정한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전통 시장으로 선정되었다. 2008년에 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이...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주상 복합 건물형 시장. 반송 시장(盤松市場)이 위치하고 있는 해운대구 반송동은 1968년 부산직할시 정책 이주 지역으로 시내의 수재민과 철도 연변 철거민들이 이주하여 마을이 형성되면서 주택 밀집 지역으로 발전하였다. 행정자치부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대한민국 지역 혁신 박람회를 통해 반송 마을을 ‘살기 좋은 마을’의 대표적 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1972년 부산의 정책 이주 사업으로 철거민이 반여 지구로 집단 이주하여 주택 밀집 지역이 형성되었다. 주거 밀집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점포가 골목에 모여들어 자연스럽게 반여 3동 골목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5년에 반여 3동 골목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8년 4월 22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받았다. 2010...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1972년부터 1975년까지 정책 이주 사업으로 철거민이 해운대구 반여동으로 이주하면서 주택 밀집 지역이 형성되자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자연스럽게 반여 시장(盤如市場)이 형성되었다. 1979년 3월 7일에 반여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 되었다. 반여 시장의 대지 면적은 5,822㎡, 매장 면적은 945㎡이며,...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3가에 있는 종합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보수 종합 시장(寶水綜合市場)이 형성되었다. 1978년에 보수 종합 시장이 개장하였다. 1981년 6월 11일에 보수종합시장번영회가 법인 등록하였다. 보수 종합 시장의 대지 면적은 3,158㎡, 매장 면적은 4,725㎡이며, 지하 1층·지상 3층 건물로 이루...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전통 시장. 복이 있는 덕포 시장이 위치하고 있는 사상구 덕포동은 백양산[642m] 기슭에서 가장 경치가 좋은 지역으로, 동쪽과 북쪽은 모라동, 서쪽은 삼락동, 남쪽은 괘법동과 접해 있다. 덕포(德浦)의 ‘덕’은 언덕이라는 뜻이므로, 덕포는 언덕에 있는 포구를 의미한다. 복이 있는 덕포 시장은 옛날에는 큰 포구가 위치하고 있어...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주상 복합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주상 복합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부곡 상가 시장(釜谷商街市場)이 형성되었다. 1978년에 부곡 상가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5년 5월 21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2008년에 시장 현대화 사업을 실시하였다. 부곡 상가 시장의 대지 면적은 2,122㎡, 매장 면적은 1,68...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농산물 도매 시장. 동부산권 농산물 유통 및 거래 활성화를 위하여 건립되었다. 1994년 7월에 동부권 농산물 도매 시장 건설 계획을 수립하였고, 1995년 3월에 개발 제한 구역 내 허가 승인을 받았다. 1996년 12월에 부산광역시 반여 농산물 도매 시장 공사를 착공하였고, 2000년 8월에 관리 사업소를 개소하였다. 2000년 11...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수산물 유통 시장. 부산광역시는 수산 잠재력과 가능성을 일깨워 세계적인 해양 수산 도시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감천항에 동북아시아 최대의 국제 수산물 물류 무역 기지를 조성하였고, 2008년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을 개장하였다.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은 국내 최초·최대 규모의 공영 수산물 전문 도매...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1가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1968년 3월에 부산상공회의소가 부산 시장 현대화 사업 계획에 따라 동광 시장을 철거하고, 건물을 준공하여 전통 시장인 동광 시장이 부산 최초의 백화점 형태의 시장인 부산 데파트로 변화하였다. 데파트는 디파트먼트 스토어(Department Store)의 일본식 표현이다. 1969년 11월에 개장하였다. 197...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범한이 부산 지역의 상공인의 편의를 위하여 산업용 자재를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부산 산업 용재 유통 상가(釜山産業用材流通商街)를 개설하였다. 1995년에 범한이 부산 산업 용재 유통 상가로 시장 등록하고 개설하였다. 2007년에 화장실 환경 개선 사업, 2011년에 노후·불량 전기 시설물 공사 등의 시설...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전통 시장. 1950년대 이후 부산 지역에서 농·수·축산물을 취급하는 최대 도매 시장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부전 시장과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동에 있는 새벽 시장이었다. 1982년에 부산직할시 정책에 따라 부전 시장과 새벽 시장 상인들이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으로 옮겨오면서 부산 새벽 시장이 개설되었다. 1982년 11월 5...
-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에 있는 농산물 도매 시장. 부산 엄궁 농산물 도매 시장은 농산물의 유통 구조를 개선하고 공정한 거래를 확립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개장하였다. 농수산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하여 1986년 6월 10일에 시장 건립에 대한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1989년 12월 30일에 건설 공사에 착공하였다. 1993년 2월에...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전통 도매 시장. 6·25 전쟁 때 북한에서 피난을 온 보따리 상인들이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모여 들면서 시장이 형성되었다. 이곳 상인들이 1968년 12월에 부산 자유 상가를 설립하고, 1969년 9월에 단층 건물의 준공 허가를 얻어 시장을 개장하였다. 1975년 12월 23일에 부산 자유 시장으로 시장 등록을 하였으며, 신발, 의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전자 제품 종합 시장. 부산 지역에 저렴하고 품질 좋은 가전제품을 공급·유통하고자 부산역 전시장으로 개설되었다. 1968년 8월 29일에 부산역 전시장 개설 허가를 받고 개장하였다. 1979년 12월 12일에 부산 종합 시장 창립 총회를 가지고, 1979년 12월 31일에 부산역 전시장을 폐업하였다. 1980년 1월 29일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상설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옛 군부대 차량 재생 창고 자리에 지상 2층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임대하여 부산 중앙 시장(釜山中央市場)이 형성되었다. 1967년 8월 22일에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1969년에 무허가 주거지인 옥상 마을[부산 중앙 시장 건물 옥상 주거지]이 상가 옥상에 형성되었다. 1982년에 무허가 건물의 양성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전통 시장. 부산 평화 시장은 1940년 일제 강점기 때, 조선방직 부근에서 정기 시장인 오일장이 선 것이 그 유래가 되었다. 그 후 오일장과 난전 등으로 시장의 명맥을 이어오다가 1969년 6월에 시장 건물을 완공하여, 1970년 1월 10일 시장 등록을 하고, 4월 8일에 개장하였다. 1970년 초 의류 전문 시장으로 변화...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산지 어시장. 부산공동어시장은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대로 202[남부민동 691-3번지]에서 부산 지역 수산물의 품질 고급화와 적정 가격 유지, 물류 원활화를 통한 수산물 유통의 선진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설치된 어시장이다. 부산공동어시장은 수산물 위탁 판매 사업, 이용 가공 사업[냉동·냉장·제빙], 생산 어업인...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전통 시장. 시장이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된 동구 범일동에 상가를 준공하여 점포를 매매·임대하여 부산진 남문 시장(釜山鎭南門市場)이 1969년 12월 2일에 개장하였다. 1974년 9월 27일에 부산진 남문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2008년 10월에 전국 우수 시장 박람회에서 중소기업청장상을 수상하였다. 부산진 남문 시장은 지...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전통 시장. 조선 시대 부산 지역 진성 서문 밖에서 매달 4일과 9일 열렸던 부산장에서 유래되었다. 관련 기록으로 조선 시대 1770년(영조 46)에 편찬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에 ‘부산 진성 서문 밖에 있는 미국과 건어물 집산지로 4일장과 9일장을 열었다’고 나와 있다. 1913년 9월에 약 132㎡와 약 198㎡ 규모의 두 동의...
-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에서 운영된 가축 거래 시장. 부산진 우시장은 부산부 범일정[현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서 1908년 한국척식주식회사에 의해 개설되었다. 1914년 축산조합의 설립과 함께 축산조합으로 이관되었고, 1916년 축산조합의 해산에 의해 부산부 직영이 되었다. 1924년 부산부에서는 사용료의 반액을 부산선우중매조합(釜山鮮牛仲買組合)에 교부하고 만 10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전통 시장. 6·25 전쟁 이후 보따리장수들이 부산 근교에서 생산된 농·수산물을 싣고 와 동해 남부선 부전역에서 짐을 풀고 행상을 벌인 것이 부전 상가(釜田商街)의 시초가 되었다. 1950년에 부전 상가가 개설되었다. 2005년 4월 26일에 전통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2006년 8월에 부전 마켓 타운[부전 시장, 부전 종합 상가, 서면...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전통 시장. 부전 시장(釜田市場)은 6·25 전쟁 이후에 전국 각지에서 몰려 온 피난민들이 터를 잡으면서 형성되었다. 1970년 10월 1일에 부전역상가아파트라는 법인체가 구성되었다. 1973년에 상가 건물을 착공하여, 1974년에 준공하였다. 1975년에 개장하였으며, 1975년 11월 20일에 시장으로 등록하였다. 2006...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인삼 전문 시장. 6·25 전쟁 시기 부산진구 부전동에 형성된 시장에 부전 시장 건물이 준공되면서 건물 2층에 인삼 제품을 취급하는 점포들이 모여 부전 인삼 시장(釜田人蔘市場)이 개설되었다. 1973년에 부전 시장 건물이 착공되어 1974년 준공되었다. 1978년 1월 24일에 시장으로 등록하고 부전 인삼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6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종합 시장. 6·25 전쟁 이후, 부산 근교에서 생산된 농·수산물을 싣고 온 보따리장수들이 동해 남부선 부전역에서 짐을 풀고 행상을 벌인 것이 그 시초이다. 이후 채소류, 과일, 건어물을 위탁 판매 및 직접 판매하는 부전 종합 상가(釜田綜合商街)가 형성되었다. 1996년에 상가 주택 건물형 시장인 부전 종합 상가가 개설되었다. 2006년...
-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 2가에 있는 전통 시장. 일제 강점기 도시 발달에 따라 일상생활 용품을 공급하는 공설 시장으로 부평정 시장(富平町市場)이 1910년에 개설되었다. 1914년에 발포된 「시장 규칙」에 따른 최초의 공설 시장이었다. 공설 시장이란 20인 이상의 영업자가 한 곳에서 주로 곡물 및 식료품을 매매하는 장소를 말한다. 8·15 광복 후 미군 전시 통제 물자가...
-
1915년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에 설립되었던 공설 시장. 부영(府營) 판매품, 식량품, 일용 잡화를 10~25% 정도 할인하여 판매함으로써 일본인 주민을 구제할 목적으로 부산부가 일반 시장을 공설 시장으로 바꾸어 건립하였다. 부평동 시장의 전신은 1910년 6월 부평정에 일한 시장(日韓市場)이라는 명칭으로 개설된 개인 시장이었다. 1915년 9월 시설 등을 개선하여 부...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의 시장. 주변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자 1978년 2월 4일 시장으로 등록하고 북부산 시장이 개장하였다. 북부산 시장은 상가 주택 복합형의 소형 시장으로 대지 면적 1,191㎡, 매장 면적 599㎡의 규모이다. 49개소의 점포가 있으며 주요 판매 상품은 잡화이다. 편의 시설로 화장...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정기 시장. 1933년 지역에서 생산된 농수산물을 거래하는 정기 시장[5일장]인 사덕 시장이 개설되었다. 사덕 시장은 대지 면적 1,510㎡, 매장 면적 464㎡이다. 주요 판매 상품은 농수산물과 의복류이다. 장옥(長屋) 4동에 51개소의 점포가 있으며, 편의 시설로 화장실[1동 7칸]이 있다. 2012년 현재, 총 48명이 종...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사하 상가 아파트를 건립하고 점포를 매매하면서 사하 시장(沙下市場)이 형성되었다. 1977년 8월 17일에 사하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 개장되었다. 2012년 5월에 상인 조직인 사하시장번영회가 구성되었다. 사하 시장의 대지 면적은 1,573㎡, 매장 면적은 1,284㎡이며, 상가 주택...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삼익 비치 A 상가 시장은 도심형 시장으로 삼익 비치 아파트 입주민의 편의를 위해 건립되었다. 1980년 7월 22일에 삼익 비치 A 상가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장하였다. 삼익 비치 A 상가 시장의 대지 면적은 2,410㎡, 매장 면적은 4,676㎡이며, 상가 건물형 시장이다. 점포 수는 83...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삼익 비치 B 상가 시장은 도심형 시장으로 삼익 비치 아파트 입주민의 편의를 위해 건립되었다. 1981년 8월 29일에 삼익 비치 B 상가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장하였다. 삼익 비치 B 상가 시장의 대지 면적은 1,857㎡이고, 매장 면적은 2,369㎡이며, 상가 건물형 시장이다. 총 점포 수...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삼익 시장이 위치한 수영구 남천동 일대에 주거 지역이 형성되면서 지역 주민의 소비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연발생적으로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8년 8월 10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삼익 시장의 대지 면적은 998㎡, 매장 면적은 561㎡ 규모이고, 상가 건물형 시장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총 점포...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새 구서 종합 시장은 주변에 주거 시설이 들어서고 학교가 설립되면서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하면서 형성되었다. 1981년 5월 14일에 새 구서 종합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 개장하였다. 2008년에 새 구서 종합 시장 재건축 정비 사업 관리 처분 계획이 인가되어 진행 중에 있다....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새 구포 종합 상가 시장은 주변에 주거 지역이 형성되고 병원, 학교가 설립되면서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하면서 형성되었다. 1982년 3월 3일에 새 구포 종합 상가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장하였다. 2007년에 부산광역시의 전통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환경 개선 사업 대상에 선...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전통 시장. 1970년대에 동양고무, 진양고무, 태화고무 등의 공장 근로자를 중심으로 부암동과 당감동 일대에 인구가 집중 유입되면서 주거지가 형성되었다. 이에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하여 새 당감 시장이 개장되었다. 1981년 1월 21일에 새 당감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장하였다. 2011년에 부산광역시...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에 있는 전통 시장. 부산역과 인접한 위치에 있어 6·25 전쟁 전후로 피난민과 화교 등의 인구가 집중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권을 형성하면서 1950년에 새영주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5년 7월 18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2008년에 환경 개선 사업을 실시하였다. 새영주 시장의 대지 면적은 3,691㎡, 매장 면적은...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2가에 있는 전통 시장. 6·25 전쟁 이후 서구 대신동 주변에 주거 시설이 들어서면서 시장이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되어 1970년에 서대신동 골목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6년 1월 18일에 서대신동 골목 시장이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2012년 4월에 고객 쉼터가 개장되었다. 2012년 10월에 시설 현대화 사업이 실시되었다. 서...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서동 시장(書洞市場)이 위치한 금정구 서동 지역은 1968년부터 부산 지역 도심의 철거민들이 이주해 오면서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1960년대 이후 금사 공업 지역이 형성되면서, 노동자의 주거 지역이 형성되었다. 이에 따른 지역 주민의 증가로 시장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1981년 7월 31일에 서...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전통 시장. 서동 향토 시장(書洞鄕土市場)이 위치한 지역은 1960년대에 부산 지역 도심의 철거민들의 이주, 금사 공업 지역의 형성 등으로 인구가 증가하였다. 지역 인구의 증가로 시장이 자연스럽게 발생하였다. 1980년대 초반 서동 향토 시장이 형성되었다. 2010년 9월 17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서동 향토...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전통 시장. 1960년대 초 상인들이 부산시에 보증금을 내고 임시 건물을 지어 장사를 한 것이 서면 시장(西面市場)의 모태이다. 그 후 임시 건물을 철거하고, 현재의 4층 건물을 지어 시장을 개설하였다. 1970년 1월 시장 건물을 준공하고, 1972년 2월 25일 시장 등록을 완료하였다. 1990년대 초까지 번창하였으나 1995년에 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종합 시장. 부산진구 부전동과 전포동 일대에 6·25 전쟁 이후 피난민들이 터를 잡으면서 시장이 형성되었다. 시장 위치에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매매하여 서면 종합 시장(西面綜合市場)이 형성되었다. 1980년 9월 5일에 서면 종합 시장이 시장 등록을 하였다. 1980년 10월 30일에 서면 종합 시장을 개장하였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기계 부품 전문 시장. 서면 중앙 시장(西面中央市場)이 있는 지역은 1970년대 부산 지역의 공업 중심지 중 하나였다. 이런 이유로 기계 부품, 중고 부품 등을 판매하는 점포들이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났으며, 서면 중앙 시장은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하여 형성되었다. 1981년 6월 17일에 서면 중앙...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전통 시장. 1970년대 초부터 시장 인근에 자영업자나 노점 등이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나 상권을 형성하면서 서원 시장(瑞元市場)도 생겨나게 되었다. 이후 1층 건물을 지어 시장을 개설하였다. 1977년 12월 16일에 시장 건물을 준공하고, 1977년 12월 29일에 시장이 등록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를 거치면서 부산광역시 동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종합 시장. 현재 성곡 종합 시장(聖谷綜合市場)이 있는 곳의 주변은 주거 지역으로 점점 인구가 증가하였다. 이에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하여 성곡 종합 시장이 개장하였다. 1978년 9월 8일에 성곡 종합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개장하였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소규모 환경 개선 사업을 시행하였다....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하여 주변의 주민들과 인근의 광안리 해수욕장을 찾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세흥 시장(世興市場)이 개장되었다. 1978년 12월 23일에 세흥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장하였다. 2009년에 세흥 시장 앞길이 보행 위주 테마 거리로 조성되었다. 세흥 시장의...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전통 시장. 송도 해수욕장 개발 이후 관광객이 증가하자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하여 송남 시장(松南市場)이 형성되었다. 1978년 2월 27일에 송남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 개장하였다. 송남 시장의 대지 면적은 1,251㎡, 매장 면적은 882㎡이다. 지상 4층·지하 1층 상가 건물형 시장으...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송정리에 있는 정기 시장. 조선 후기 정기 오일장이었던 송정장이 송정 시장(松亭市場)의 기원으로 유추된다. 송정장이 있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송정리는 조선 시대 동래에서 한양으로 통하는 길목으로 주막과 작은 가게들이 자연스럽게 형성된 곳이다. 일제 강점기 때 편찬된 『동래안내』에 의하면 송정장은 기장장과 함께 보통 시장으로 매월 5일과 10...
-
일제 강점기부터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송정리에서 열리고 있는 오일장. 송정장(松亭場)이 위치한 기장군 철마면 송정리는 1831년(순조 31) 간행된 『기장현 읍지(機張縣邑誌)』와 1904년(고종 41) 『경상남도 기장군 가호안(慶尙南道機張郡家戶案)』에 기장현 하서면 입석방(立石坊)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 뒤 1914년 3월 1일 지방 제도 개편에 따라 동래군 철마면...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에 있는 전통 시장. 수안 인정 시장(壽安人情市場)이 위치한 지역은 조선 시대 읍내장이 섰던 곳이다. 수안 인정 시장은 동래 읍내장에서 유래된 동래 시장의 상권이 주변 골목으로 확대되면서 자연스럽게 생겨났다. 수안 인정 시장은 동래 시장과 인접한 골목에 있는 점포들이 모여 2007년 3월 26일에 시장으로 등록하였다. 수안 인...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하여 수양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5년 11월 20일 시장으로 등록하고 개장하였다. 수양 시장은 대지 면적 1,774㎡, 매장 면적 1,354㎡이며, 지상 2층의 상가 건물형 시장이다. 총 점포 수는 25개소이다. 편의 시설로 주차장[40면]과 화장실[2동...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주택 복합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하여 수영 건설 시장(水營建設市場)이 형성되었다. 1979년 3월 15일에 수영 건설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장하였다. 수영 건설 시장의 대지 면적은 1,703㎡, 매장 면적은 950㎡이며 상가 건물형 시장이다. 총 점포 수는 38개이며, 주 판...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수영 교차로[수영 로터리] 인근에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하여 수영 로타리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8년 8월 10일에 수영 로타리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 개장하였다. 2012년 6월 22일부터 26일까지 제1회 수영 로타리 상가 거리 축제에 참가하였다. 수영 로타리 시장...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수영 팔도 상가 시장(水營八道商街市場)은 조선 시대 좌수영장(左水營場)을 유래로 한다. 1832년에 간행된 『동래부 읍지(東萊府邑誌)』에 따르면 좌수영장은 매월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에 선 정기 시장이다. 경상 좌수영[조선 시대 경상 좌도 수군 진영]과 수영강을 끼고 있는 편리...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주상 복합형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하여 수정 시장(水晶市場)이 형성되었다. 1979년 12월 24일에 수정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2012년에 전통 시장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차양막을 설치하였다. 수정 시장의 대지 면적은 1,955㎡, 매장 면적은 960㎡이며, 상가 건물형으로 이...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전통 시장. 6·25 전쟁 이후 부산진역을 통해 전국 각지의 보따리상들이 모이면서 상권을 형성하여 1960년에 수정 재래시장(水晶在來市場)이 개설되었다. 2008년 11월 13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수정 재래시장의 대지 면적은 4,115㎡, 매장 면적은 3,207㎡이며, 상가 주택 복합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59개의 점포...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5가에 있는 수산물 종합 시장. 신동아 수산물 종합 시장(新東亞水産物綜合市場)이 있는 중구 남포동 5가는 시장, 백화점, 영화관 등이 밀집해 있는 상업 중심 지역이다. 신동아 수산물 종합 시장은 부동산 개발업자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형성된 시장이다. 1986년 8월 22일에 신동아 수산물 종합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었고, 1...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전통 시장. 신정 시장(新亭市場)은 1970년대부터 부산직할시 동래구 사직동 지역에 주거지가 형성되면서 시장에 대한 수요가 생겨났고, 그에 따라 부동산 개발업자가 인위적으로 시장 건물을 지어 점포 분양을 하면서 개설되었다. 1977년에 시장 건물을 준공하고, 1977년 3월 15일에 시장 등록을 완료하였다. 신정 시장...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6가에 있는 전통 시장. 1980년 상업 중심 지역에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신천지 시장(新天地市場)이 개장하였다. 1983년 1월 8일에 시장 등록을 하였다. 2008년에 부산광역시 중구청과 시장 환경 개선 사업 지원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2012년에 시장 상인들의 금리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부산광역시 중구청...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1959년 태풍 사라호로 피해를 입은 서구 남부민동, 영도구 남항동의 피난민 약 550세대 3천여 명이 1960년에 이곳으로 이사하면서 본격적으로 사하구 신평동이 형성되었다. 또한 1968년 3월 서구 충무동 바닷가 주변 판잣집이 철거되면서 약 1,630세대 가량이 이주하였으며, 신평·장림 일반 산업 단지가 형성되...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주상 복합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주상 복합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신평 종합 시장(新平綜合市場)이 형성되었다. 1981년 1월 15일에 신평 종합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장하였다. 신평 종합 시장의 대지 면적은 1,149㎡, 매장 면적은 882㎡이며, 주상 복합 건물 1층에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총 26...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3가에 있는 전통 시장. 6·25 전쟁 시기인 1950년에 피난민들이 중구 신창동 3가에서 자리를 잡고 장사를 시작하여 국제 시장이 형성되었다. 당시 미군의 군용 물자와 함께 밀수입된 온갖 상품들이 거래되었기 때문에 국제 시장은 일명 ‘도떼기시장’으로 불린다. 국제 시장 주변으로 특정 품목을 판매하는 상점들이 밀집되었는데, 이 중 전통 공예품 및...
-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2가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주변 주거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상점이 골목길에 모여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0년에 주택가 골목길에 아미동 골목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6년 1월 18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아미동 골목 시장의 대지 면적은 3,362㎡, 매장 면적은 1,719㎡이며, 소형 시장이다. 총 점포 수는 5...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시장 건물 준공 후, 점포 분양을 통해 안락 상가 시장(安樂商家市場)이 개설되었다. 1979년 11월 1일에 상가 건물형 시장인 안락 상가 시장이 시장 등록되었다. 2008년부터 매달 3일·8일·13일·18일·23일·28일, 즉 매월 여섯 차례에 걸쳐 안락 상가 시장 주변 주거지 전용 주차장에서 오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1950년대 말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시장이 형성되었다. 시장 설립 이후에 철근 콘크리트 건물을 신축하여 점포를 분양하였다. 건물 입주 점포 외에도 주변에 시장이 들어서 있다. 1961년 3월에 양정 시장(楊亭市場)이 설립되었다. 1971년에 지상 2층 건물을 신축하였다. 1994년에 지하 2층·지상 5층의 건물을...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에덴 시장은 주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채소, 정육 등을 팔기 위해 형성되었다.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에덴 시장이 개설되었다. 1980년 10월 6일에 에덴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장하였다. 2000년대 동일 상권 내에 대형 마트가 들어서 침체를 겪고 있다. 에...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전통 시장. 연동 시장(蓮洞市場)은 자연 발생적인 전통 시장과는 달리 부동산 개발업자가 인위적으로 시장 건물을 지어 점포 분양을 하면서 시장이 개설되었다. 시장 건물은 1978년에 완공되었고, 1978년 5월 16일에 시장 등록을 하였다. 연동 시장은 1978년 개장한 후에 1970년대와 1980년대를 거치면서 지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연미 새 시장은 연제구 연산동과 수영구 망미동 접경지에 위치하여 ‘연미’라는 명칭을 얻었다. 1970년대에 노점들이 모여 시장이 형성되었다가 시장 주위에 연미 새 아파트가 건설되면서 건물 1층에 150여 개의 점포로 이루어진 시장이 개장되었다. 1975년에 연미 새 아파트 건물 1층에 연미 새 시장이 개설되었...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1978년 연산 로타리 종합 시장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8년 9월 4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연산 로타리 종합 시장은 대지 면적 943㎡, 매장 면적 535㎡의 규모를 가진 소형 시장으로 음식점 및 잡화점이 영업 중에 있다. 총 점포 수는 73개소이며, 편...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전통 시장. 1960년대 후반부터 주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1970년 1월 25일 연산 시장으로 등록하고 개장하였다. 대지 면적 1,258㎡, 매장 면적 678㎡ 규모를 가진 소형 시장이다. 총 점포 수는 92개소이며, 주요 취급 품목은 농수산물과 잡화 등이다. 국밥집 등 음식점이 영업을 하고 있으며...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전통 시장. 연일 시장(蓮一市場)은 자연 발생적인 골목형 시장이 아니라 건물 내부에 시장이 있는 상가 건물형으로 부동산 개발업자가 인위적으로 시장 건물을 지어 점포 분양을 하면서 개설된 시장이다. 시장 건물은 1978년에 완공되었고, 시장 등록은 1978년 8월 19일에 완료하였다. 연일 시장이 있는 연제구 연산동 일...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주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으로 부동산 개발업자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연천 시장(連天 市場)이 형성되었다. 1980년 9월 5일에 연천 시장으로 시장 등록을 하였다. 1980년 10월 연천 시장이 개장할 당시에 55개의 점포, 825㎡ 규모였는데, 1980년대 말에는 109개 점포, 약 4,950㎡...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1970년대 말 상권이 형성되어 1978년에 시장 건물을 준공하여 점포를 임대해 영남 종합 시장(嶺南綜合市場)이 형성되었다. 1978년 9월 14일에 영남 종합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영남 종합 시장의 대지 면적은 1,401㎡, 매장 면적은 2,265㎡이며 소형 시장이다. 총 점포 수는 33개이며, 층별...
-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 2가·봉래동 3가 일원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일제 강점기 영도 봉래 시장(影島蓬萊市場)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1970년에 상가 건물을 준공하여 영도 봉래 시장이 개설되었다. 1980년 1월에 부산 대교(釜山大橋)가 준공되고 도로가 만들어져 시장 일부가 도로에 편입되었다. 2005년 3월 18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으며, 2006...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에 있는 전통 시장. 영주 시장(瀛州市場)은 건물 내부에 시장이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으로 부동산 개발업자가 인위적으로 시장 건물을 지어 점포 분양을 하면서 개설되었다. 시장 건물은 1973년에 완공되었고, 시장 등록은 1977년 2월 24일에 완료하였다. 영주 시장은 부산역 건너편에 있는 중구 영주동 일대에 주택가가 밀집...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는 축산물 시장. 영해 종합 시장은 사상구 지역에 축산물을 공급하는 시장으로, 건물을 준공한 후 점포를 임대하여 개장하였다. 1995년 6월 29일 영해 종합 시장이 등록되었다. 2011년 6월 27일부터 7월 26일까지 도시 가스 배관 공사를 통해 압력 조정기를 신설하고, 노후된 가스 배관을 교체하였다. 대지 면적 3,980㎡,...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주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가구점 등이 모여 시장이 형성되었으며, 부동산 개발업자가 건물을 준공하여 점포를 임대하였다. 1978년 6월 13일 시장으로 등록하고 개장하였다. 온천 로터리 종합 시장은 대지 면적 3,088㎡, 매장 면적 1,906㎡의 규모이다. 우송 맨션 1층에 자리 잡고 있으며 2~5층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전통 시장. 동래 온천(東萊溫泉)을 중심으로 형성된 상권에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온천 시장(溫泉市場)이 형성되었다. 1967년 7월 16일에 목조 건물을 준공, 농축산물이 주로 거래되면서 온천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1년에 온천 시장 상가 건물을 준공하면서 본격적인 시장의 모습을 갖췄다. 1971년 6월 23일에 시...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상가 주택 건물형 시장. 온천 시장의 상권이 확대되면서 주변 지역에 점포가 모여 온천 인정 시장(溫泉認定市場)이 형성되었다. 2005년에 온천 인정 시장이 개설되었으며, 2005년 3월 24일에 시장으로 인정받았다. 온천 인정 시장은 상가 주택 건물형 시장으로 대지 면적은 1만 1299㎡, 매장 면적은 7,828㎡이다...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남구 용호동 이면 도로(裏面道路)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시장이 형성되었다. 이후 상인회를 구성하여 용호 2동 골목 시장으로 등록하였다. 1973년에 용호 2동 골목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9년 9월 28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용호 2동 골목 시장의 대지 면적은 7,705㎡, 매장 면적...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전통 시장. 남구 용호동 이면 도로(裏面道路)에 시장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면서 용호 삼성 시장이 개설되었다. 1977년 10월 31일에 용호 삼성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개장하였다. 상가 건물형인 용호 삼성 시장의 대지 면적은 1,146㎡이다. 전체 점포 수는 35개로 채소, 청과, 잡화 등이 거래되고 있다. 고객 편의 시설로 화...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전통 시장. 용호 시장(龍湖市場)은 주변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한 지역 밀착형 시장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1973년부터 시장이 형성되어, 1975년 10월 27일에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2006년 12월에 시설 현대화 사업을 완료하였다. 상가 건물형인 용호 시장의 대지 면적은 3,307㎡, 매장 면적은 3,708㎡이다. 총...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1970년대 형성된 생활 밀착형 시장에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우동 종합 상가 시장(佑洞綜合商家市場)이 개설되었다. 1978년 7월 26일에 우동 종합 상가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고 52개의 점포로 개설되었다. 우동 종합 상가 시장의 대지 면적은 1,722㎡, 매장 면적은 839㎡이며 소형 시장...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우신종합건설이 우신 모라[모라 우신 아파트]를 준공하면서 상가 건물을 함께 준공하였다. 이후 점포를 분양하면서 우신 프라자를 개장하였다. 1992년 6월 18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대지 면적 3,172㎡, 매장 면적 8,280㎡의 규모를 가진 중형 시장이다. 총 점포 수는 118개소이며, 상가 내 입점한 상...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1952년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점포들이 주택 골목길에 모여 우암 골목 시장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1980년 10월에 시장 위치에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분양하여 지하 1층·지상 1층 규모의 상가 건물형 시장을 개장하였다. 2005년 8월 1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우암 골목 시장의...
-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 2가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부평 시장과 깡통 시장에서 영업하던 상인들이 모여 월드 밸리 건물을 준공하였다. 건물 내 점포를 임대하여 시장이 형성되었다. 1995년에 시장 건물을 준공하고, 1995년 2월 27일에 시장 등록을 하였다. 월드 밸리는 1층부터 4층까지는 상가이고, 그 위층은 헬스장과 주거 공간으로 구성된...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4가에 있는 어패류 종합 시장. 부산어업협동조합[현 부산광역시 수산업협동조합]이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지역에 건물을 짓고 위탁 판매 사업을 시작함으로써 시장이 형성되었다. 남항에서 출어하는 영세 어선들의 어획물들이 부산 어협 위탁 판매장 주변에서 거래되면서 전통 재래시장을 이루었다. 부산 지역 보수천 하구의 자갈이 많은 장소에 시장이...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전통 시장. 장림 시장(長林市場)이 위치하고 있는 현재의 시장 자리에는 1960년대부터 인근에서 생산되던 채소나 과일, 생선 등을 판매하는 좌판이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나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 건물을 지어 장림 시장을 개설하였다. 1976년에 시장 건물을 완공하였고, 1976년 2월 28일에 시장 등록을 하고 개장하였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인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된 시장 위치에 부동산 개발업자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장성 시장이 개장되었다. 1978년 3월 25일 시장으로 등록하였다. 대지 면적은 870㎡이다. 총 점포 수는 29개소로 채소 가게, 과일 가게, 식육점, 잡화점 등 생활필수품을 파는 상점들이 대부분이다. 편...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상설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장전 상가 시장(長箭商家市場)이 개장되었다. 1974년 9월 29일에 장전 상가 시장으로 등록하고 개장하였다. 장전 상가 시장은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으로 장전 상가 아파트 1층에 형성되어 있다. 총 점포 수는 49개이며, 주로 입점해 있는 상점들은 식육점, 식...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재송 시장(栽松市場)이 형성되었다. 1982년 9월에 서해 재송 아파트가 준공되고, 1층에서 시장이 개장하였다. 1982년 12월 30일에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상가 주변으로 노점상이 형성되면서 시장이 확대되었다. 2005년에 전통 시장 환경 개선 사업으로 천장...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전통 시장. 1965년에 조성된 전포동 어린이 놀이터 안쪽 골목으로 1960년대 후반부터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2년에 전포 놀이터 시장이 공식 개설되었다. 1980년대에 주변의 공장[대우자동차, 경남모직, 대양고무, 우성 타이어 등]들로 인해 상권이 활발하였다. 2006년 9월 1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전포 놀이터...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전통 시장. 정이 있는 구포 시장의 기원은 조선 시대의 구포 감동장(甘同場)[3일장·8일장]이다. 낙동강 수로를 이용한 상권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제방 건설로 1932년에 현재 위치인 북구 구포동으로 옮겨졌다. 구포장이 문헌 기록에 처음 등장한 것은 1871년에 간행된 『영남 읍지(嶺南邑誌)』이다. 1972년에 구포 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주택 복합형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임대하여 종합 새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8년 7월 26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대지 면적은 1,003㎡, 매장 면적은 697㎡이며 지하 1층, 지상 2층 건물의 소형 시장이다. 총 점포 수는 70개소이며, 편의 시설로 화장실[1동 2칸]이 있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전통 시장.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해운대 신시가지가 형성되면서 지역 주민을 위한 시장이 필요하였다. 이에 건물을 준공하여 좌동 재래시장(左洞在來市場)을 개설하였다. 1998년 9월 18일에 1층 건물 14개동을 건축 준공하여 좌동 재래시장이 개설되었다. 주변 상권의 급속한 팽창으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를 대표하는 전통 시장으...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에 있는 정기 시장. 좌천 시장(佐川市場)은 조선 시대에 4일과 9일에 열렸던 좌천장(左川場)에서 유래되었다. 1883년경 편찬된 『경상도 읍지(慶尙道邑誌)』에 의하면 좌천 시장의 유래인 좌천장이 4일과 9일에 열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행정 지명에 따라 좌천 시장이라 불리게 되었다. 1963년에 공설 시장으로 개장하였다....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현대 무지개 아파트를 준공하면서 부동산 개발업자가 상가 건물을 준공, 점포를 임대·매매하여 주례 현대 무지개 상가가 개장하였다. 1996년 9월 20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대지 면적 2,839㎡, 매장 면적 5,111㎡의 규모이다. 총 점포 수는 102개소이며, 편의 시설로 주차장[36면]과 화장실[2동 1...
-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교동에 있었던 공설 시장. 중앙 도매 시장은 물자 배급 기관을 정리하여 도시에 식량품을 원활히 공급하고, 거래 조직의 개선, 배급 과정의 합리화, 가격 결정의 공정화를 통해 생산자의 정당한 이익을 옹호함과 동시에 소비 대중의 경제생활에 공헌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1934년 6월 공사를 시작하여 1935년 3월 말 준공하고 동년 6월 15일...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주식회사 합성이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하여 창곡 종합 시장이 개장하였다. 1981년 7월 1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대지 면적은 2,984㎡, 매장 면적은 2,470㎡ 규모이며, 지하 1층, 지상 4층의 건물이다. 과일, 채소, 잡화 등을 취급하며 50개소의 점포가 있다. 편의 시설로 주차장[25...
-
부산광역시 중구 창선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광복 이후 형성된 국제 시장 내에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임대·매매하여 창선 상가(昌善商街)가 건립되었다. 1948년 국제 시장 내 공구·철물 점포들이 형성되었다. 1978년에 창선 상가 건물을 준공하고, 1978년 4월 28일에 시장으로 등록하였다. 2005년 6월에 건물 외벽 리모델링 공사, 아케이드 공사를 완공...
-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영도구 청학동 현 시장 위치의 도로를 중심으로 주변에 자연 발생적으로 청학 시장(靑鶴市場)이 형성되었다. 건물형과 골목형이 결합되어 있다. 1971년에 청학 시장이 시장 도로를 중심으로 들어섰는데, 특화된 상품이 없으며 주로 인근의 주민들이 이용하는 시장이었다. 천막 시장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도시화에 따...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일제 강점기 동구 초량동에 보따리 상인들이 하나둘 모여 형성한 시장에 시장 건물을 완공하고 초량 시장(草梁市場)을 개설하였다. 1975년에 지하 1층·지상 5층의 상가 건물형 중형 시장으로 개설되었다. 2006년 10월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받았다. 초량 시장은 상가 건물형 시장으로 대지 면적이 1,626㎡, 매...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전통 시장. 일제 강점기에 부산 지역의 중심이었던 동구 초량동에 상인들이 모여 자연 발생적으로 시장이 생겨났다. 그 자리에서 1960년에 초량 전통 시장(草梁傳統市場)으로 개설되었다. 2009년 5월 20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을 받았다. 2012년 8월 8일에 초량 전통 시장 상인 회관[동구 초량중로 80번길 6-1]이 준공되었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주택 밀집 지역인 부산진구 초읍동에 1980년 부동산 개발업자가 시장 건물을 지어 점포 분양을 하면서 초읍 시장(草邑市場)이 개설되었다. 초읍 시장은 1980년 9월 5일에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초읍 시장은 상가 건물형 시장으로 대지 면적은 2,933㎡, 총 점포 수는 58개이다. 고객 편의 시설로 주차장[...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시장 건물을 준공 후 점포 분양을 하면서 충렬 상가 시장(忠烈商家市場)을 개설하였다. 1983년 1월 22일에 충렬 상가 시장 건물이 준공되었다. 1983년 11월 5일에 시장으로 등록하고, 1983년 11월 8일에 충렬 상가 시장을 개설하였다. 2012년 3월에 해운대구 반여동에 홈 플러스 반여점이...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주택 밀집 지역인 서구 남부민동에 시장 건물이 준공되어 점포 분양을 하면서 충무 시장(忠武 市場)이 1983년에 개설되었다. 1983년 10월 11일에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충무 시장의 대지 면적은 2,393㎡, 매장 면적은 2,560㎡이다. 총 점포 수는 22개이며, 자입점하고 있는 상점들은 주로 생활용품...
-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동 2가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1965년에 전을 파는 음식점이 모이기 시작하여 골목에 자연스럽게 시장이 형성되어 충무동 골목 시장이 개설되었다. 2005년 9월 12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충무동 골목 시장의 대지 면적은 6,955㎡, 매장 면적은 2,181㎡로 중형 시장이다. 총 점포 수는 214개이며, 주요 취급 품목은...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농수산물 도매 시장. 자연 발생적으로 설립된 시장으로 지역적 특성을 살려 농수산물 도매 시장으로 발전되었다. 1965년에 충무동 새벽 시장이 개설되었는데, 식당이나 식료품 가게 주인들이 주로 애용하는 농수산물 재료 시장이다. 인근 부산공동어시장이나 부산 엄궁 농산물 도매 시장에서 경매로 들여온 농수산물을 새벽에 도매로 판매하면서 시작되었다...
-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동 1가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부산 남항과 인접하여 해산물을 구하기 쉽다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충무동 해안 시장(忠武洞海岸市場)이 형성되었으며, 어선의 선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점포들이 모이게 되었다. 1960년대 초반에는 새벽에만 시장이 섰다가 이후 상설 시장으로 바뀌어, 1965년에 충무동 해안 시장이 정식으로 개설되었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1830년대에 편찬된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기록되어 있는 하단장이 하단 오일 상설 시장(下端五日常設市場)의 기원이다. 조선 후기부터 오일장 정기 시장 체계가 확립되었다. 하단포[사하구 하단 1동 일대, 하단 도선장]가 1987년에 낙동강 하구둑 건설로 매립되면서 하단장이 쇠퇴하고, 하단 오일 상설 시장으로...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부동산 개발업자가 시장 건물을 지어 점포를 분양하면서 하단 시장이 개장하였다. 1978년 10월 23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2006년 건물 도색 등 시설 현대화 사업을 진행하였다. 하단 시장은 대지 면적 1,240㎡, 매장 면적 612㎡의 규모를 가진 소형 시장이다. 2층 건물의 1층에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 행상 노점이 모여 해운대 시장(海雲臺市場)이 자연적으로 형성되었다. 1910년에 상가 주택 복합형 시장인 해운대 시장이 개장되었다. 2005년 5월 7일에 전통 시장으로 인정되었다. 2008년 8월에 환경 개선 사업을 실시하였다. 해운대 시장의 대지 면적은 9,355㎡이며, 총 점포 수는 156개이다....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현대산업개발이 수영구 수영동에 현대 아파트를 준공하면서 상가 건물이 건설되었다. 준공 후 점포를 분양하면서 현대 종합 상가가 개장하였다. 1988년 11월 26일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현대 종합 상가는 대지 면적 1,319㎡, 매장 면적 2,125㎡의 규모이다. 총 점포 수는 30개소로 학원, 부동...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던 전자 제품 전문 시장. 전자 제품을 취급하는 점포들이 모여 1970년 흥아 상가 시장을 개장하였다. 1971년 7월 등록을 마친 전자 제품 전문 시장으로 주로 가전제품을 취급하였다. 2011년 말 상가가 철거되었으며 2012년 2월 16일 폐업 신고를 하였다. 흥아 상가 시장은 대지 면적 2,104㎡, 매장 면적 1,363㎡의...
지하상가
-
부산광역시 도시 철도 역간 지하 보행로 및 연결 통로에 상가를 조성한 구역. 지하도 상가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43조 제3항에 따라 부산광역시가 관리하며, ‘부산광역시 지하도 상가 관리 조례 제4429호’에 의거하여 ‘지하공공 보도 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 기준에 관한 규칙’ 제2조 제4호에 따르는 지하도 상가를 의미한다. 부산 지역의 지하도 상가...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6가에 있는 지하상가. 부산 지역 교통난 해소를 위해 도시 철도 공사와 연계하여 역 주변 지하 개발이 본격화되어 상가가 조성되었다. 1986년 3월부터 1988년 7월까지 공사비 190억 6600만 원을 투입하여 롯데건설이 롯데 지하상가를 준공하였다. 1988년 7월 20일에 20년 무상 사용 후 기부 채납하는 계약을 맺었다. 롯데건설이...
-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 1가에 있는 지하상가. 도심지 교통 체증 해소책의 하나로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에 위치한 국제 시장 간선 도로 밑에 민간 자본을 유치하여 국제 지하도 상가(國際地下道商街)를 조성하였다. 국제 지하도 상가는 1981년 8월 14일에 대한개발과 대한종합건설에 의해 건립되었다. 1981년 10월 21일에 기부 채납 및 무상 사용이 허가되면서 개장되었다....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5가에 있는 지하상가. 부산 지역 교통난 해소를 위한 도시 철도 공사로 생긴 역 주변 지하 공간을 개발하여 지하상가가 형성되었다. 1986년 3월 22일에 코오롱 지하도 상가의 축조 공사가 시작되었다. 공사비 236억 2800만 원을 투입하여 1988년 6월 20일에 준공되었다. 1988년 7월 20일에 기부 채납 조건으로 무상 사용 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지하상가. 대현실업이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상업 면적의 수요 증가에 따라 지하도 상가를 준공하여 개장하였다. 대현 지하도 상가[현 대현 프리몰 부산점]는 1980년 3월 20일에 지하상가 건설 공사를 착공하여, 1981년 12월 22일에 1공구 준공과 동시에 상가를 개장하였다. 1982년 12월 22일 2공구를 준공·개장하였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지하상가. 부산광역시 도시 철도 2호선 2단계 공사 착공에 맞추어 롯데쇼핑에서 건설하여 부산광역시에 기부 채납 계약 후 임대를 받아 부산 롯데 월드 지하상가가 개장하였다. 1994년 9월에 착공하여, 1997년 11월에 준공하였다. 1997년 12월부터 개장하여 운영하였다. 부산 롯데 월드 지하상가는 상점가형으로 소...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지하상가. 부산 도시 철도 1호선 부산역과 경부선 부산역을 잇는 지하도 상가를 건설하여 부산광역시에 기부 채납 계약 후 임대를 받아 개장하였다. 부산역 지하도 상가(釜山驛地下道商街)는 1992년 4월 1일에 착공하여, 1994년 2월 7일에 준공하였다. 부산역 지하도 상가의 대지 면적은 1,625㎡이며, 점포 90개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지하상가. 부산 지역 교통난 해소를 위한 도시 철도 공사 후 생긴 역 주변 지하 공간을 개발하여 서면 지하상가(西面地下商街)가 형성되었다. 1984년 7월 23일에 착공하여, 1985년 7월 20일에 준공하였다. 부산광역시에 기부 채납 계약 후 임대를 받아 1985년 8월 6일에 개장하였다. 서면 지하상가의 대지 면...
SSM
-
대형 유통업체가 체인 형식으로 운영하는 부산광역시 소재 300~3,000㎡ 규모의 기업형 슈퍼마켓. SSM은 Super Supermarket의 약자로서, 대형 유통 그룹이 3,000㎡ 이하의 직영점이나 가맹점 형태로 운영하는 기업형 슈퍼마켓을 뜻한다. SSM은 대형 마트보다 면적이 작고 일반 슈퍼마켓보다는 크다. 주거지 근린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도시 및 지방 중소 도시로 그 유통...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본사가 있는 슈퍼마켓 소매업체. 서원유통은 종합 소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1년 3월 27일에 서원유통으로 설립되어, 그해 4월 6일에 직영 슈퍼마켓 3개 점[부산진점, 아미점, 대청점]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81년 5월 16일에 상공부 지정 제52호 슈퍼 체인 본부 인가를 받았다. 1983년 7월 20일에 북구 덕천동...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 있던 유통업체. 1994년 4월 6일 아람유통으로 설립되었다. 1994년 12월 아람마트 1호점을 출점하였다. 1999년 1월 아람마트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0년 5월 아마존[할인점+아울렛 매장]을 개점하였다. 2000년 8월 창원점, 2000년 12월 경주점을 각각 개점하였다. 2001년 서면점, 밀리오레점을 개점하였다. 2005년 1월...
편의점
-
소비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된 부산광역시의 소형 소매 점포. 1986년 국내에 입점된 미도파 계열의 ‘SPAR’가 유럽형 편의점 형태로 부산 지역에 출점했고, 광안리 해수욕장 일대에 개인이 운영하는 ‘시티보이’, ‘애니타임’ 등의 독립된 소형 소매점이 개설되어 있었지만, 체인점형의 본격적인 편의점은 ‘LG25’라고 할 수 있다. 1992년 3월 10일 LG25가 부산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