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성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825
한자 古城堰
영어음역 Goseong-eon
이칭/별칭 부고개제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역사/전통 시대
유형 지명/고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당감동|가야동 수정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수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제언
관련문헌 『경상남도 여지 집성(慶尙南道輿誌集成)』
비정 지역 고성언 비정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당감동|가야동 수정산 일대

[정의]

조선 후기 동래부 동평면에 있던 제언.

[명칭 유래]

고성언(古城堰)이란 이름은 조선 시대 동평면(東平面) 지역에 있던 읍성에서 유래하였다.

[형성 및 변천]

고성언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동래부 읍지(東萊府邑誌)』[1832]이다. 여기에는 동래부 소속 20곳의 제언(堤堰)이 소재지에 따라 분류되어 있는데, 고성언동평면에 축조된 유일한 제언이었다. 고성언은 둘레 약 87m[287척], 수심 약 3.64m[12척]이었다. 주목할 점은 고성언의 둘레가 당시 전국이나 경상도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반면, 수심은 반대로 두 배에 이른다. 이것은 산곡형(山谷形) 제언, 즉 평지가 아닌 산골짜기의 단면을 이용해 높이 축조하였을 때 나타나는 특징으로, 이를 통해 고성언의 입지 조건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동평면이 있던 지역에는 백양산과 음광산이 있었다. 이 산곡을 중심으로 고성언이 형성되었으리라 본다. 『경상도 속찬 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志)』[1468]에는 동래현 서쪽에 부고개제(釜古介堤)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마리산[현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산]에 고성(古城)이 있었다고 한다. 지금의 수정산 아래 감 고개를 ‘가마 고개’라고도 읽을 수 있다면, 고성언은 조선 초 축조된 가마 고개제[釜古介堤]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고성언이 처음 기록에 등장하는 19세기는 전국적으로 제언의 중축(重築)이 활발하였으며, 동래부의 제언도 두 배 이상 늘어났다. 따라서 고성언은 조선 초 제언의 입지 조건과 기존 시설을 활용해서 이 시기 다시 쌓은 제언으로 보인다. 고성언은 1906년 일제가 수리 조합 조례를 발표하고 이어서 궁방이 관리하던 수리 시설 대부분을 국유화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고, 이후 근대적 저수지가 등장하면서 용도가 폐기된 것으로 보인다.

[위치 비정/행정 구역상의 구분]

고성언은 조선 시대 동평면에 설치되었다는 기록에서 지금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가야동수정산 일대의 산곡형 제언을 가리킨다.

[관련 기록]

1899년 간행된 『경상남도 여지 집성(慶尙南道輿誌集成)』 제언조에 “고성언은 동래부 서쪽 15리[약 5.89㎞] 되는 곳에 있다. 못의 둘레는 287척이며 물 깊이는 12척이다[古城堰 在府西十五里 周二百八十七尺 水深十二尺]”라고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