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094 |
---|---|
한자 | 水晶市場 |
영어의미역 | Sujeong Market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고관로 106[수정동 170-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연정 |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상가 건물형 시장.
[건립 경위]
부동산 개발업자가 주상 복합형 건물을 준공하고 점포를 매매하여 수정 시장(水晶市場)이 형성되었다. 1979년 12월 24일에 수정 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었다.
[변천]
2012년에 전통 시장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차양막을 설치하였다.
[구성]
수정 시장의 대지 면적은 1,955㎡, 매장 면적은 960㎡이며, 상가 건물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하 1층과 지상 1층이 시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지상 2층부터는 주거 시설이다. 건물 사이 골목에 들어선 노점을 포함한 일대 지역을 모두 수정 시장이라고 부른다. 상가 건물을 기준으로 72개의 점포가 있으며 횟집, 생활용품점 등이 들어서 있다. 편의 시설로 주차장[23면]과 화장실[1동 2칸]이 있다.
[현황]
2012년 12월 현재 직영 점포가 35개소, 임차 점포가 37개소 운영 중이며, 총 종사자 수는 76명이다. 상인 조직으로 수정시장번영회가 있다. 수정 시장이 있는 동구 수정동은 조선 시대 왜관(倭館)이 있던 장소란 뜻을 지닌 고관 마을이 있던 자리이기도 하다. 부산에 왜관이 처음 설치된 것은 1407년(태종 7)이다. 그 후 여러 차례 존폐를 거듭하다가 1607년에 다시 왜관을 설치하였는데, 그것이 두모포 왜관이며, 1678년에 초량 왜관을 신설하면서 두모포 왜관을 구관(舊館) 또는 고관(古館)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여기서 고관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당시 왜관은 일본[주로 대마도] 사람들이 물건을 가져와서 팔고, 이곳의 물건을 사가는 오늘날의 무역 거래처였기 때문에 주변에 시장이 형성되기 좋은 요건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수정동은 일찍이 상권이 발달되었고 현재의 자리에 수정 시장이 들어서게 되었다. 활어를 전문으로 하는 횟집부터 족발, 만두, 분식 등의 음식점 등이 있다. 상가 시장 내 소방 시설로는 스프링클러, 소화전, 소화기, 경보기 등이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가 주변으로 노점이 많아 실제 화재 발생 시 대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수정 시장은 2012년 현재 시장경영진흥원 전통 시장 온누리 상품권 가맹 시장이다. 수정시장번영회를 중심으로 상권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