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031
한자 國際市場
영어의미역 Gukje Marke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중구로 42[신창동 4가 40-5]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희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장
면적 7,197㎡[대지 면적]|9,497㎡[매장 면적]
전화 051-245-7389
개관|개장 시기/일시 1945년연표보기 - 개장
개칭 시기/일시 1948년 - 자유 시장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0년연표보기 - 자유 시장에서 국제 시장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2년 11월 27일 - 화재 발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3년 1월 30일 - 화재 발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6년 5월 - 시장 대지 불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9년 - 국제시장번영회 설립 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7년 8월 6일 - 시장 개설 허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2005년 - 시장 현대화 사업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2월 28일 - 국제 마켓 타운 결성
최초 설립지 국제 시장 - 부산광역시 중구 중구로 42[신창동 4가 40-5]지도보기
현 소재지 국제 시장 - 부산광역시 중구 중구로 42[신창동 4가 40-5]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4가 일대에 있는 시장.

[건립 경위]

6·25 전쟁 이후 미군의 원조 물자 및 많은 밀수품들이 부산 지역으로 유입되었다. 또한 일본인이 떠나면서 남긴 기성품 및 군용품, 징용이나 징병을 갔던 한국인들의 물품 등을 교환하는 국제 시장(國際市場)이 1945년에 형성되었다. 국제 시장은 도떼기시장 이라고도 불리며 이는 모아서 한꺼번에 매매한다는 의미로 추정된다.

[변천]

1945년에 형성되어 1948년 자유 시장으로 개칭되면서 단층 목조 건물 12동이 세워졌다. 1950년에 국제 시장으로 개칭되었다. 6·25 전쟁 이후에 산업 생산 기반 시설이 전부 파괴되고 물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국제 시장으로 일본인들이 남기고 간 기성품, 각종 밀수품, 미군수품 등이 유입되어 밀매가 성행하였고, 전국을 상대로 거래망을 확대시켜 나갔다. 그러나 연이은 화재로 많은 재산과 인명 피해를 겪기도 하였다. 1952년 11월 27일에 국제 시장에 대형 화재가 발생하였다. 연이어 1953년 1월 30일에 발생한 화재로 인하여 당시 30일 밤부터 31일 아침까지 국제 시장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당시 발표 피해액은 14억 300만 원이며, 이재민은 1만여 명에 달하였다. 14억 300만 원이라는 피해액은 1952년 한국 정부의 일반 회계 세출 결산액 206억 9500만 원의 약 7%에 달하는 매우 큰 규모였다.

국제 시장은 1961년 5월 16일 이후에 무허가 시장으로 규정되어 해산 명령을 받았다. 이에 대응하여 국제시장번영회창립준비위원회가 결성되었고, 1966년 5월에 정부로부터 귀속 재산인 시장 대지를 불하받아 매매 계약을 체결하였다. 상가 대지 7,197㎡가 불하되어 1,489개 점포가 등기되었다. 이어 1969년에는 국제시장번영회가 설립 인가를 받았고, 1977년 8월 6일에 정식 시장 개설 허가를 받았다. 2002년 시장 현대화 사업을 실시하고, 2005년까지 6개 공구별로 아케이드를 설치하고 외벽을 리모델링하였다. 2008년 2월 28일에 부평 시장, 창선 상가, 만물의 거리와 함께 상권 활성화를 위한 국제 마켓 타운을 결성하였다.

[구성]

국제 시장의 대지 면적은 7,197㎡, 매장 면적은 9,497㎡이며, 2층 상가형 시장으로 총 580개의 점포가 있다. 주요 판매 물품은 문구, 주방 기구, 의류, 전기 전자 제품 등이며 편의 시설로 주차장[28면], 화장실[2동 20칸]이 있다. 구제 시장 골목, 팥빙수 골목, 화장품 골목, 먹자골목, 소품 골목 등 시장 내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현재 국제 시장은 가방, 문구, 공예품을 판매하는 1공구, 주방 기기, 칠기, 안경 등을 판매하고 있는 2공구, 침구류점, 양품점이 있는 3공구, 포목점, 주단점, 양단점 등이 있는 4공구, 가전제품, 기계 공구 등을 판매하는 5·6공구로 이루어져 전체 6개 공구로 구성된 도·소매 종합 시장이다. 국제 시장 오른쪽에는 구제 상품을 파는 상가들이 즐비해 있고, 왼쪽에는 일명 ‘깡통 시장’이라는 시장이 있다.

[현황]

2012년 12월 현재, 직영 점포 156개, 임차 점포 364개가 운영 중이며, 빈 점포 60개가 있다. 총 1,300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상인 조직으로 국제시장번영회가 있다. 1960년대에 전성기를 구가하였던 국제 시장은 1980년대에 들어 구매자의 소비 지출 경향이 과거에 비해 고급화되고, 근대화·연쇄화된 대형 유통 업체들이 경쟁자로 시장에 진입하는 등의 현대화의 흐름에 따라 상권이 약화되었다. 다른 전통 시장과 함께 쇠락하여 위축되었으나, 최근 들어 내·외국인 관광객이 찾는 부산의 명소로 자리매김하여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시장번영회를 중심으로 상권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전 점포가 전통 시장 온누리 상품권에 가입하여 고객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