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625 |
---|---|
한자 | 門峴金融團地 |
영어의미역 | Munhyeon Industrial Complex |
이칭/별칭 | 문현 지구,문현 혁신 도시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1227-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희완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조성된 복합 금융 단지.
[개설]
문현 금융 단지는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일대의 112만 943.8㎡ 부지에 조성된 동북아 해양파생특화 금융 중심지이다. 부산국제금융센터[63층]를 비롯 기술보증기금, 한국은행 부산본부, 부산은행 본점 등의 특화금융센터와 상업시설 등이 조성되어 있는 복합금융단지이다. 문현 금융 단지 지역은 전포천과 동천에서 흘러내린 자갈과 토사로 메워진 퇴적지대였다. 1909년 9월 초읍동 성지곡수원지가 준공되면서 하류지역에 치수공사가 이루어져 습지대였던 하천에 석축을 쌓아서 직선으로 만들고, 배들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해마다 바닥을 준설했다고 한다. 1952년 지금의 문현융지 일대 11만 2천여㎡ 부지에 군수 장비를 수리하는 육군사령부 제2정비창이 들어오면서 40여년간 주둔하였다. 1996년 1월 창원지역으로 이전하여 부지가 부산시에 매각되면서 문현 금융 단지 조성이 본격화 되었다.
[건립 경위]
문현 지구 혹은 문현 혁신 도시라고도 불리는 문현 금융 단지는 동북아시아 물류 중심지이자 금융 허브를 만들어 국제 금융 도시로서의 위상 제고와 함께 부산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조성 중에 있다. 1991년 11월 18일 한국은행, 부산은행, 동남은행, 기술신용보증기금, 제일투자 5개 금융 기관이 사업 시행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1992년 1월 23일 도시 설계 구역을 결정하고, 1995년 12월 27일 새마을금고와 사업 참여 협약을 체결하였다.
문현 금융 단지는 1996년 10월 도시 계획 사업 실시 계획 인가를 받고 1996년 12월 2일 부지 조성 공사에 착공하였으나, 토양 오염이라는 심각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1998년 6월 1일 공사가 잠정 중단되었다. 2000년 8월부터 2003년 3월 31일까지 농업기반공사가 국방부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국내 최대 규모의 오염토는 새로운 공법을 도입하여 복원작업이 완료되었다. 이후 조성공사를 재개하여 2004년 6월 30일 문현금융단지 기반 조성공사가 준공되었다. 1991년 사업이 시작된 이래 13년간 넓은 부지를 조성해 놓았지만, 공공 기관들의 입주가 불투명하고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등 13년이라는 시간 소요에 따른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문현 금융 단지의 조성은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한국선물거래소[1999년 4월 개장]와 한국증권거래소[1956년 개장]에서 취급하던 선물·옵션 상품 및 주식 옵션 상품이 2004년 1월 한국선물거래소로 이관되고, 2005년 1월 한국증권선물거래소 본사가 부산광역시에 설립됨으로써 부산광역시가 동북아시아 금융 허브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2004년 6월 30일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722-1번지 일대에 금융 단지를 설립하기 위한 부지 조성을 완료하고, 부산도시공사는 국토해양부에 부산 문현 지구 및 대연 지구 혁신 도시 설립을 위한 승인 신청을 요구하였다.
한편 2007년 12월에 제정된 「금융 중심지의 조성과 발전에 관한 법률」[2008년 3월 시행]에 따라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금융 중심지 결정이 추진되었고, 2008년 11월 14일에는 서울·부산·인천·경기·제주의 5개 시·도가 금융 중심지 지정 신청을 했다. 금융위원회의 금융 중심지 지정에 앞서 2008년 6월 18일 국토해양부 혁신도시위원회는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을 내렸는데, 심의 결과 문현 혁신 도시는 금융 관련 공공 기관을 이전하고 지역 소재 금융 기관들과 관련 기업 등을 유치, 금융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동남권의 금융 중심지로 육성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금융 공공 기관 이전 이외에 부산광역시 주관으로 통합 개발 용지[PF 사업 부지]를 마련하여 종합 금융 타운을 설립하기로 하였다.
2008년 사업 승인 당시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증권예탁결제원, 대한주택보증, 한국남부발전, 한국청소년상담원의 6개 기관 1,813명이 이전하기로 하였다. 애초 혁신 도시 사업 시 예상 소요 비용은 토지 비용 제외하고 32억 원, 10만 2352㎡의 규모로 예정되었다. 2009년 1월 21일 금융위원회는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를 개최하여 심의한 결과, 종합 중심지로 서울[여의도]과 특화 금융 중심지로 부산[문현]을 지정 및 의결하였다.
부산 광역시 남구 문현동 지역은 수도권이 아니고, 이미 한국증권선물거래소와 기술신용보증기금 부산본점이 위치하고 있으며, 다수의 금융 공공 기관이 이전할 예정이었고, 당시 금융 분야를 중심으로 한 혁신 단지가 개발되고 있다는 점이 반영되어 금융 중심지로 선정되었다. 또한 부산 지역의 경우 대표 산업인 선박·물류 산업과 지역 소재 금융 기관을 기반으로 한 특화 금융으로 서울의 종합 금융 중심지와 상호 보완 및 경쟁을 할 수 있는 지역이라는 강점을 가지고 있었다.
[현황]
부산국제금융센터는 건물은 2010년 12월 28일 건립공사를 착공하여 2014년 6월 내부공사를 마무리되어 8월 22일에 준공 개장되었다. 건물 내 운행하는 엘리베이터는 저층부, 중층부, 고층부로 분리한 층별 동선과 24인승의 대형 엘리베이터 20대 외 총 28대가 있다. 2015년 4월 25일 63층 전망대를 개방하였고, 8월에는 야간 개장으로 새로운 명소로 각광받고 있다.
부산국제금융센터는 국내 업무시설 가운데 최고 높이로 서울 여의도 63빌딩보다 40m가 더 높은 289m이다. 건물은 철근 콘크리트조 구조로 대지면적 24,856㎡에 건축면적 9,067.32㎡, 건물연면적 197,871.6㎡의 지하 4층, 지상 63층의 업무용 건물로는 국내에서 가장 높다. 바로 옆에는 BIFC 및 개별 입주기관들의 지원 기능을 하는 상업공간인 16,513㎡ 규모의 BIFC몰이 있다. 도시철도 2호선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과 BIFC을 잇는 가로수길 개념의 공공 보행통로인 Dynanik Culture Street가 조성되어 있다.
부산국제금융센터에는 한국거래소, 한국수출입은행 해양금융부, 한국무역보험공사, KDB산업은행 해양산업금융부, 선박금융 관련 업무를 통합한 해양금융종합센터와 한국해운보증기금, 한국선박금융(주), 한국선박해양(주), 캠코선박운영(주) 등 선박·해운금융 관련 기관이 입주해 있다. 공공기관으로 한국자산관리공사, 대한주택보증공사,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남부발전(주) 등이 입주하였고, 금융기관으로 NH농협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부산은행 등의 영업점이 입주하였다. 기타 기관으로는 청도국제공상중심유한회사, FATA TREIN(자금세탁방지 교육연구원), 국제금융연수원, 금융투자협회, 경제진흥원, 코스콤(구 한국증권전산) 등이 입주해 있다.
또한 기술보증기금과 한국은행 부산본부, 부산은행 본점은 문현금융단지 내 별도의 신사옥을 마련하였다. 기술보증기금 건물은 2009년 2월 6일 건립공사를 착공하여 2011년 5월 10일 준공하였다. 대지면적 6,610㎡에 건축연면적 2만 6,034㎡에 지하 2층, 지상 15층 본관과 지상 4층 기술관 등 2개동의 시설을 갖추었다. 본관은 본부부서와 부산기술평가센터가 입주하는 사무공간으로 사용되고, 기술관에는 현재와 미래의 기술을 한눈에 보고 체험할 수 있는 기술전시관이 조성되어 있다.
한국은행 부산본부는 중구 대청동시대를 마감하고, 신사옥을 2011년 1월 25일 건립공사를 착공하여 2013년 7월 22일 준공하였다. 대지면적 8,118㎡, 건축연면적 9,988㎡로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이다. 1층에 마련된 200㎡ 규모의 화폐전시관에는 우리나라의 고대·근대·현용 화폐 및 기념주화, 외국의 기념주화 및 지폐 등 약 600여점의 국내외 화폐가 전시되어 있다.
부산은행 본점은 2011년 11월 14일 건립공사를 착공하여 2014년 11월 4일 준공하였다. 본점 건물은 대지면적 10,890㎡에 건축 연면적 5만 9,826㎡로 건물 높이 122m의 지하 3층, 지상 23층 규모로, BNK금융지주와 부산은행 본점 업무담당 부서들이 입주하여 있다. 1층에는 아트 갤러리, 금융역사관, 기업홍보관 등이 있으며, 2층에는 대강당이, 23층에는 다목적홀이 갖추어져 있어 다양한 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