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854 |
---|---|
한자 | 韓國鐵道公社釜山鐵道車輛整備團 |
영어의미역 | KoRail[Korean Railway] Busan Railway Refurbishing Unit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천대로 215[당감동 82-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지용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과 범천동에 있는 철도 차량 정비를 담당하는 한국철도공사 시설.
[건립 경위]
한국철도공사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은 부산항으로부터 시작되는 경부선 철도를 운행하는 철도 차량의 부속 생산과 정비를 위해 1904년 2월 초량 기계 공장으로 건립되었다.
[변천]
1963년 9월 철도청 부산 공작창, 1984년 2월 철도청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 1996년 3월 철도청 부산 철도 차량 정비 본부, 2000년 1월 철도청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으로 개칭하였다. 2001년 10월 신청사를 완공 이전하였다. 2004년 5월 철도청 부산 철도 차량 관리단, 2005년 1월 한국철도공사 부산 철도 차량 관리단으로 개칭하였다. 2006년 7월 조직 개편에 따라 부산 고속 철도 차량 관리단을 통합하여 한국철도공사 부산 철도 차량 관리단으로 개칭하였다. 2009년 9월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 2011년 8월 한국철도공사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으로 개칭하였다.
[구성]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 고속 기지, 범천동에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 일반 기지가 들어서 있다.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 고속 기지는 KTX 열차 정비를 위한 곳으로 부지 면적 39만 939㎡, 건물 면적 8만 1858㎡이다. 선로는 20.66㎞이며 주요 시설로 검수고[420m×120m], 환경 정비고[420m×120m], 차체 세척고[140m×8m], 차륜(車輪) 전삭고(轉削庫)[전동차의 차륜 철상에 따른 승차감, 소음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륜을 깎는 곳], 차륜 검사고, 관리 사무소, 운전 분소 등이 있다.
한국철도공사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 일반 기지는 디젤 기관차, 화물 열차, 여객 열차의 중정비(重整備)를 담당하는 곳으로 부지 면적 20만 9900㎡, 건물 면적 5만 8516㎡이다. 선로는 3.78㎞이며 주요 시설로 경수선 공장, 중수선 공장, 차체 세척고, 차륜 검사고, 종합 관리동 등이 있다.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2001호 디젤 기관차, 대한민국 최초의 유선형 제1호 제작 차량이며 현재 철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7001호 디젤 기관차, 3224호 디젤 기관차, 5020호 디젤 기관차 등이 보관되어 있다.
[현황]
한국철도공사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의 조직 구성을 보면 경영 인사처, 기술 계획처, 품질 안전처, 고속 차량 정비 센터, 일반 차량 정비 센터로 구분되어 있다. 이중 정비 센터가 가장 핵심적인 부처이다. 고속 차량 기계 및 차체 장치, 그리고 전기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담당하고 있고, 고장 원인 분석 및 조치, 중정비 운영 계획 수립 및 시행과 고속 차량 부품 분해·수리 및 성능 확인도 담당하고 있다. 일반 차량 정비 센터는 디젤 기관차와 객차 및 화차의 검수 및 유지 보수가 주된 업무이다. 이외에 도장 작업도 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은 도심에 위치하여 도심 개발과 효율적인 이용에 걸림돌이 된다는 이유에서 이전 논의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2012년 부산광역시는 도심 철도 시설 이전 및 대상 부지의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용역에 착수하였는데, 이전된다고 하더라도 기존 시설 이용 방안에 대해서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일반 기지 내 70여 개 건물 중 객차 도장 작업장, 객차 강판 작업장, 대차 작업장 창고, 디젤 기관차 제1 작업장, 구청사 등 9개 건물이 1930년대에 지어진 건물로, 근대 건축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어 이들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