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
부산 지역에 설립되어 있는 초등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 기관. 초등학교는 아동들에게 기본적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학교이다. 부산의 초등학교는 국민 교육을 국가의 기본 기능으로 인식한 국가 정책에 따라 의무 교육으로 실시되고 있다. 1948년 「헌법」 제16조 “모든 국민은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와 의무가 있다.”는 규정에 따라 부산에서도 1950년부터 초등 교육을 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르게 행동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건강한 어린이 육성’이다. 1972년 8월 25일에 가남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3년 12월 8일에 신축 교사로 입교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가남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40회 졸업식을 통해 24명이 졸업하여 총 6...
-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참여하며 튼튼하고 실력 있는 어린이’이다. 1923년 10월 11일에 가락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41년 4월 1일에 가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4년 9월 1일에 덕도분교장의 독립 인가를 받았고, 1949년 6월 30일에 해포분교장의 독립 인가를 받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에 충실하고 예절 바르며 건강한 어린이 육성’이다. 1979년 5월 7일에 가산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1년 3월 1일에 가야국민학교에서 24학급을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 가산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2회 졸업식을 통해 30명이 졸업하여 총...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부지런히 공부하며 질서를 지키는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이다. 1948년 11월 1일에 부산동평국민학교로 개교[8학급, 568명]하였으며, 1964년 3월 1일에 가야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67년 9월 1일에 개금국민학교를 분리하였고, 1973년 3월 1일에 가남국민학교를 분리하였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을 지닌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서로 돕는 어린이를 기르는 것이다. 교훈은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며 서로 돕는 어린이’이다. 1977년 9월 1일에 가평국민학교[24학급]로 개교하여 1984년 3월 1일에 주원국민학교를 분리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가평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며 탐구하는 어린이, 바른 행동으로 남과 더불어 사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를 기르는 것이다. 1975년 3월 1일에 덕포국민학교로 개교하여 1976년 9월 25일에 감전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2년 3월 1일에 괘법국민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14학급을 분리하였고, 1984년...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던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78년 12월 31일에 학교 설립 인가를 받고 감천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1980년 5월 1일에 감정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85년 3월 20일에는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으며, 1996년 3월 1일에 감정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에...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예절 바르며 생각하는 어린이’이다. 1945년 사하국민학교의 분교로 설립되었던 감천분교가 독립교로 승격하여 1952년 3월 28일에 감천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같은 해 4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85년 3월 1일에는 병설 유치원을 설립하였고 서천국민학교를 분리하였다. 1996년 3월 1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배려할 줄 아는 어린이[도덕인], 튼튼한 어린이[건강인], 꿈을 가꾸는 어린이[창의인],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자주인]를 기르는 것이다. 교훈은 ‘배려할 줄 알며 튼튼하고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62년 3월 1일에 강동국민학교로 인가를 받았으며, 같은 해 3월 10일에 해운대국민학교로부터 분리하여 11...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마음이 따뜻하며 슬기로운 어린이’를 기르는 것이다. 1967년 4월 24일에 개금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그해 9월 9일에 가야국민학교에서 14학급이 분리되어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개금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같은 해 9월 1일에는 개림초등학교가 분리되었다. 2004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즐겁게 공부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바르게 행동하고 서로를 존중하는 따뜻한 어린이, 체력과 소질·적성을 가꾸는 미래형 어린이를 기르는 것이다. 1997년 10월 4일에 개림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금초등학교에서 분리 개교하였다. 2006년 3월 1일에 주양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2007년 6월 15...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심신이 건강하고 조화로운 어린이,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잠재 능력 계발과 꿈을 키우는 어린이를 기르는 것이다. 1994년 11월 11일에 개원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5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개원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8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더불어 살며 배려하는 어린이[인성], 깊이 생각하며 궁리하는 어린이[창의], 힘차게 생활하며 튼튼한 어린이[건강], 개성과 특기를 키워 가는 어린이를 기르는 것이다. 1989년 1월 25일에 개포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9년 3월 1일에 당평국민학교에서 25학급이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95년 3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전하고 건강한 어린이, 예의 바른 어린이,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어린이를 기르는 것이다. 1984년 1월 25일에 개화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개금국민학교에서 17학급이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개화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10대 신승권...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조화된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46년 6월 1일에 부산제10공립학교로 인가를 받아 연제구 거제동에서 개교하였다. 같은 해 7월 31일에 거제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55년 6월 29일에 양정국민학교로 학생 1,000명을 분리하였고, 1964년 6월 10일에 창신국민학교로 4학급을 분리...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튼튼하며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이다. 1979년 5월 10일에 거학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1년 3월 2일에 연제구 거제동에서 개교[44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거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12대 한윤갑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이고 협동 봉사하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1937년 7월 20일에 청룡공립보통학교 부설 두구간이학교로 동래군 북면 두구리에 설립되었다. 1944년 5월 15일에 청룡공립국민학교 두구분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해방 이후 재개교 방침에 의해 1946년 4월 30일에 두구공립국민학교로 재개교하였으며, 1946...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며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85년 3월 1일에 연제구 연산동에서 과정국민학교로 개교[특수 학급 1학급 포함, 19학급]하였다. 1987년 3월 1일에 토현국민학교로 5학급을 분리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과정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미래를 열어 가는 자기 주도적 어린이’이다. 1981년 3월 2일에 광남국민학교로 개교[32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광남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9년 3월 18일에 광남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0대 김영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게 행동하고 소질을 가꾸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70년 3월 1일에 광안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27일에 개교[23학급]하였다. 1977년 9월 1일에 민락국민학교를 분리하였고, 1985년 3월 1일에는 호암국민학교와 민안국민학교를 분리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광안초등학교로...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4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생각과 따뜻한 품성을 지니고 건강한 몸으로 꿈을 키워 나가는 어린이’이다. 1998년 9월 1일에 남일초등학교와 동광초등학교를 통합하여 중구 대청동 4가의 남일초등학교 교사에서 개교하였다. 남일초등학교는 1877년(고종 14) 5월 1일에 개교한 부산 최초의 일본인 학교인 부산제1공립심상소학교[부...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올바르게 행동하며 실력 있는 어린이’이다. 1982년 3월 25일에 괘법국민학교로 개교하여 1996년 3월 1일에 괘법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8년 9월 1일에 창진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1회 졸업식을 통해 26명이 졸업하여 총 4,47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창의·사랑·건강을 실천하는 괴정 어린이’이다. 1969년 10월 2일에 괴정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1970년 3월 1일에 사하국민학교에서 25학급을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81년 3월 1일에 승학국민학교를 분리하였으며, 1996년 3월 1일에 괴정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행동과 건강한 몸으로 내일의 꿈을 가꾸는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1986년 3월 1일에 명륜국민학교와 동현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교동국민학교로 개교[동래구 명륜동, 23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교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13대 정재규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교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아량 있고 건강하며 실력 있는 교원 어린이’이다. 2002년 3월 1일 교리초등학교로 개교[23학급]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4대 정병철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1회 졸업식을 통해 216명이 졸업하여 총 1,88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에 제5대 오...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참·꿈·힘을 기르는 구남 어린이’이다. 1985년 1월 26일에 구남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19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국민학교가 초등학교로 개명됨에 따라 구남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29회 졸업식을 통해 142명이 졸업하여 총 7,92...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67년 3월 1일에 구덕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9일에 서구 서대신동 3가에서 개교하였다. 1973년 2월 1일에 서대국민학교를 통합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구덕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15일 제44회...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착하고 슬기로우며 튼튼한 어린이’이다. 1981년 3월 2일에 장전국민학교와 청룡국민학교에서 학생을 인수하여 금정구 구서동에서 구서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학구 조정으로 1984년 3월 1일에 장서국민학교로 436명, 1987년 3월 1일 남산국민학교로 256명을 각각 이관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구서초...
-
부산광역시 사하구 구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알차게 배우고 바르게 행동하며 스스로 자랑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81년 12월 1일에 구평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3월 1일에 장림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구평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윤희승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 어린이,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몸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1907년(순종 1) 10월 15일에 1년제 사립 구명학교로 개교하였다. 1918년 4월 1일에 사립 구명·화명·정명의숙을 통합하여 4년제 구포공립보통학교를 개교하였다. 1921년 9월 1일에 현 교사로 이전하였다. 1941년에 구포국민학교로 교...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가꾸며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92년 3월 1일에 학장국민학교에서 14학급이 분리되어 구학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구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8대 강동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20회 졸업식을 통해 174명이...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예의 바르고 깊이 생각하며 큰 꿈을 가꾸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72년 3월 2일에 사직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11일에 동래구 온천동에서 개교하였다. 같은 해 7월 10일에 금강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77년 9월 1일에 사직국민학교로 11학급을 분리하였고, 1984년 3월 1일에...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행동이 바른 어린이, 창의적인 어린이, 건강한 어린이 기르기’이다. 1994년 11월 11일에 금곡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5년 3월 1일에 27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금곡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6대 손인환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저마다 높은 꿈을 가지고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 육성’이다. 2002년 4월 15일에 신축 교사를 준공하고, 동년 8월 14일에 금명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9월 1일에 개교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4대 이외숙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1회 졸업식을 통해 205명이 졸업...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을 참되게 가꾸고 배려와 창의를 실천하는 자랑스런 금빛 어린이[건강, 배려, 창의]’이다. 교훈은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배려와 창의를 실천하는 어린이’이다. 2012년 3월 1일에 금빛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2013년 3월 1일에 이상돈 초대 교장이 부임하였다. 2013년 2월 1...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과 희망을 가꾸는 건강하고 예의 바른 어린이’이다. 1934년 4월 20일에 동래제1보통학교 부설 간이 학교로 금정구 서동[주소 미상]에서 개교하였으며, 1943년 3월 21일에 복정국민학교 금사분교장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해방 이후 1946년 6월 1일에 금사국민학교로 재개교[개교 기념일]하여, 1947년...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깊이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건강한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2004년 3월 1일에 금정구 남산동에서 금샘초등학교로 개교[38학급, 1,245명]하였다. 2010년 3월 1일에 제3대 장호언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9회 졸업식을 통해 160명이 졸업하여 총 1,79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더불어 행복한 삶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37년 3월 21일에 구포공립보통학교 부설 금성강습소로 금정구 금성동에서 개교하였고, 해방 이후 1946년 9월 1일에 금성공립국민학교로 승격되어 재개교하였다. 1963년 1월 1일에 부산시로 편입되면서 금성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금성...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예절 바르며 튼튼한 어린이’이다. 1999년 3월 1일에 금정구 부곡동에서 금양초등학교로 개교[27학급, 1,001명]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7대 박중서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4회 졸업식을 통해 218명이 졸업하여 총 3,285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열심히 공부하고 질서를 존중하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47년 6월 30일에 금정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7월 1일에 금정구 장전동에서 개교[3학급]하였다. 1967년 3월 1일에 온천국민학교를, 1969년 3월 1일에 부곡국민학교를, 1977년 3월 1일에 장전국민학교를 각각 분리하였다. 1996...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큰 꿈을 가지고 재능을 키우는 어린이’이다. 1995년 3월 1일에 금창국민학교로 개교하였으며, 같은 해 11월 11일에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96년 3월 1일에 금창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3월 1일에 제6대 박정례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8회 졸업식을 통해 84명...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우리는 “끼가 있는 들보 어린이”가 되겠습니다’이다. 일제 강점기였던 1911년 7월 1일에 사립기장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12년에 공립기장보통학교로 개편되었으며, 1938년에는 공립학교기장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1년 3월 1일에 기장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참되고 슬기로우며 튼튼한 어린이’이다. 1966년 2월 14일에 낙동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83년 2월 18일에 하단국민학교를, 1984년 3월 1일에 당리국민학교를, 1991년 3월 1일에 사동국민학교를 분리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낙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9년 9...
-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혜롭게 생각하고 배려하는 심성을 가진 튼튼한 어린이’이다. 낙민초등학교의 전신은 1912년 4월 1일에 동래공립보통학교 여자부로 설치되었다가 1925년 4월 29일에 동래구 낙민동에서 개교한 동래제2공립보통학교이다. 동래제2공립보통학교는 1938년 4월 1일 동래제2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하였으며,...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큰 꿈을 품고 스스로 미래를 만들어 가는 창의 인재 육성’이다. 2011년 12월 23일에 교사 신축 공사에 착공하여 2013년 2월 19일에 준공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에 18학급을 편성하여 남명초등학교로 개교하였으며, 초대 교장으로 백동근이 취임하였다. 남명초등학교는 교육 공동체 모두가 행복...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건강하며 고운 심성을 지닌 어린이’이다. 2002년 3월 1일에 거학초등학교와 창신초등학교로부터 분리하여 연제구 거제동에서 남문초등학교로 개교[21학급]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김규화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1회 졸업식을 통해 242명이 졸업하여 총 2,114명의 졸업...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할 자주적이며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이다. 1932년 9월 1일에 남부민공립보통학교로 서구 남부민동에서 개교하였다. 1941년 4월 1일에 일제에 의해 남부민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해방 이후 1945년 9월 24일에 남부민국민학교로 재개교하였다. 1946년 4월 18일에 토성국민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과 바른 생각으로 예절 바르며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이다. 1987년 3월 1일에 남산국민학교로 금정구 남산동에서 개교[20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남산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2004년 3월 1일에 금샘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9대 김병기 교장이 취임하였다...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가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 교훈은 ‘스스로 일하는 튼튼한 어린이[자율·협력·근면·창의·건강]’이다. ‘일’이라는 낱말 속에는 많은 뜻이 담겨 있다. 생산 활동을 위한 노동은 물론 연구하고 탐구하며 사고하는 일에서부터, 체육 활동·예술 활동·봉사 활동 등 신체적·정신적인 인간의 모든 활동을 두루 포함한다. 이러한 일을 타율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어린이, 실력 있는 어린이, 튼튼한 어린이’이다. 일제 강점기인 1917년 4월 1일에 사설남천강습소로 개소하였다가 1938년 4월 1일에 남천간이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개교하였다. 이후 1952년 4월 1일에 남천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남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바르며 슬기로운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1939년 4월 1일에 남항공립심상소학교로 영도구 영선동 4가에서 개교하였고, 1941년 4월 1일에 남항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해방 이후 1945년 9월 24일에 남항국민학교로 재개교하였다. 1964년 3월 31일에 신선국민학교를, 같은 해 5월 3...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창의적이며 서로 돕는 어린이’이다. 2008년 4월 1일에 내리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9년 2월 28일에 교사를 준공하고 같은 해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그해 3월 2일에 개교식과 입학식을 하였고, 동년 5월 6일에 제1회 개교 기념일을 가졌다. 2013년 2월 15일에 제4회 졸...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큰 꿈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하는 어린이’이다. 1983년 1월 29일에 내산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온천국민학교로부터 분리[23학급, 1,251명]하여 동래구 온천동의 임시 교사에서 개교하였다. 1984년 7월 16일에 신축 교사로 입교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내산초등학교로 교명...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착하고 튼튼하며 창의적인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1907년(순종 1) 4월 1일에 공립 동래보통학교로 동래구 복천동에서 개교하였다. 「조선 교육령」에 의해 1911년 4월 1일에 동래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12년 4월 1일에 여자부를 설치하였다. 1925년 4월 1일에 동래제1공립보통학교로 교명...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예의 바르고[德] 창의적[智]이며 건강한[體]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1909년(순종 3) 3월 1일에 김해사립녹명학교로 개교하였다. 1935년 3월 30일에 녹산공립보통학교 부설 화전간이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45년 4월 1일에는 녹산공립보통학교 화전분교장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6년 9월 30...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슬기로운 생각과 아름다운 마음을 다듬는 어린이’이다. 1904년(고종 41) 4월 1일에 다대포사립실용학교로 개교하였다. 1939년 5월 1일에 다대포실용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3년 4월 1일에 다대포공립국민학교 설립 인가를 받은 후 그해 5월 22일에 개교하였으며, 다대포실용학교는 1...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고, 서로 돕는 다선 어린이’이다. 1989년 2월 1일에 다선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1990년 3월 2일에 다대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다선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같은 해에 다송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8대 윤...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알차게 배우고 바르게 행동하며 큰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96년 1월 17일에 다송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그해 3월 1일에 다선초등학교와 효림초등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2000년 3월 14일에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12년 2월에 제16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2,722명의 졸업생...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성실하고 튼튼하며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1985년 1월 26일에 달북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사직국민학교와 금강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동래구 온천동에서 개교[21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달북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9년 9월 1일에 제11대 이광갑 교장이 취임하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기초 튼튼, 생각 쑥쑥으로 미래를 열어 가는 어린이 육성’이다. 1952년 4월 1일에 당감국민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72년에 부암국민학교를, 1976년에 동평국민학교를, 1985년에 당평국민학교를 분리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당감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7년 3월에 당감초등학교 병설 유...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과 바른 마음가짐으로 실력을 다져 가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83년 1월 7일에 당리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4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당리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3월 1일에 제10대 황세연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29...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성실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육성’이다. 1982년 1월 1일에 당평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현재 개금여자중학교 자리에 임시 교사를 지어 개교하였다. 1982년 6월 1일에 개금여자중학교 자리에 교사를 다시 지어 입교하였으며, 1988년 3월 2일에 현 위치로...
-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 4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지혜로우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1967년 11월 1일에 대교국민학교로 영도구 봉래동 4가에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대교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14대 이장식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45회 졸업식을 통해 57명이 졸업하여 총 1만...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참되고 슬기로우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2001년 3월 1일에 남구 대연동에서 대남초등학교로 개교[25학급, 731명]하였다. 2009년 9월 1일에 제5대 이용빈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4일에 제12회 졸업식을 통해 138명이 졸업하여 총 1,618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대남초등학...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예의 바르며 스스로 꿈을 가꾸는 어린이 육성’이다. 1946년 1월 28일에 기장국민학교 대변분교로 설립되었다. 1962년 8월 28일에 대변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1963년 3월 2일에 7개 학급을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1981년 3월 1일에 대변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설립 인가를 받았...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즐겁게 공부하며 서로 사랑하며 돕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46년 6월 1일에 대사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78년 2월 15일에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부산직할시에 편입되었으며, 1996년 3월 1일에 대사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65회 졸업식을 통해 24명이 졸업하여...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소질을 계발하고 더불어 사는 지혜를 가진 건강한 사람’이다. 1908년(순종 2) 5월 1일에 낙동소학교로 개교하였다. 1945년 11월 1일에 낙동공립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후, 1946년 6월 10일에 대상국민학교로 다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78년 2월 15일에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부산직할시로 편입되었으...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예절을 잘 지키며 꿈을 가꾸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37년 3월 31일에 구덕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10일에 서구 서대신동 3가에서 개교하였다. 1938년 4월 1일에 부산대신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해방 이후 1945년 9월 24일에 대신국민학교로 재...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전통 있는 학교 문화 선진화로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를 기른다’이다. 대연초등학교의 전신은 1932년에 인가를 받은 사립용연보통학교[1933년 4월 개교, 1937년 폐교]이며, 1937년 3월 31일에 성지공립보통학교[현 성지초등학교] 대연분교장으로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1일에 남구 대연동에서 개...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함께 가꾸며 스스로 탐구하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35년 3월 31일에 대저보통학교 사두분교장으로 설립되어, 1946년 6월 10일에 대저중앙국민학교로 교명을 바꾸었다. 1943년 1월 20일에 학교가 군용지로 편입되면서 교사를 이전하였고, 1964년 3월 16일에 신노전분교장을 개교하였다. 1978년 2...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이다. 1922년 3월 19일에 대저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5월 15일에 대저면사무소 건물[강서구 대저동, 당시 김해 대저면]에서 개교하였다. 그해 9월 26일에 강서구 대저동에[당시 김해 대저면 대저리] 교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1935년...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올바른 생각으로 꿈을 키워 가는 슬기로운 어린이 양성’이다. 1996년 3월 1일에 화명초등학교에서 24학급이 분리되어 대천리초등학교로 개교하였다. 1997년 2월 19일에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87명이 졸업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7대 박건영 교장이 취임하였으며, 그해 12월 23일에...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로운 생각, 바른 행동, 건강한 어린이’이다. 1980년 5월 10일에 대연국민학교와 석포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남구 대연동에서 대천국민학교로 개교[31학급, 1,994명]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대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3회 졸업식을 통해 230명이 졸업하여 총 8...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로운 생각과 바른 행동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어린이’이다. 1998년 9월 1일에 대청초등학교로 설립 인가[26학급]를 받아 개교하였으며, 2001년 6월 29일에 남자 배구부를 창단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6대 황효익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5회 졸업식을 통해 21...
-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동 2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슬기롭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며 으뜸으로 자라는 어린이’이다. 1966년 10월 25일에 대평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7년 10월 11일에 영도구 남항동 2가에서 개교[39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대평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17대 김...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에 있던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착하고 튼튼하며 슬기로운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1940년 4월 25일에 가락국민학교 상덕분교장으로 인가를 받아, 1945년 1월 25일에 상덕국민학교로 독립하여 개교하였다. 1946년 10월 1일에 덕도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1947년 4월 17일에 강서구 강동동[당시 김해군 가락면 상덕리]에서 현 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튼튼하며 올바른 어린이’이다. 1945년 10월 31일에 덕두분교를 설립하였고, 1948년 3월 25일에 덕두공립국민학교를 설립하여 개교하였다. 1978년 2월 15일에 부산직할시로 편입되었으며, 1996년 3월 1일에 덕두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7년 9월 1일에 신축 교사로 이전하였다....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로운 생각과 바른 행동으로 꿈을 가꾸는 덕상 어린이’이다. 1993년 2월 20일에 덕상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덕상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8대 권수환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20회 졸업식을 통...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올바른 생각으로 꿈을 키워 가는 슬기로운 어린이 양성’이다. 1983년 1월 27일에 덕성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1일에 28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84년 2월 20일에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덕성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9...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함께 가꾸고 깊이 생각하는 어린이’이다. 교훈은 ‘꿈을 가지고 사랑을 나누며 힘을 기르자’이다. 2000년 1월 20일에 덕양초등학교로 설립 인가[20학급]를 받아, 동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2001년 2월 19일에 제1회 졸업식을 통해 105명이 졸업하였다. 2002년 3월 1일에 특수 학급 1학급을 포...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아름다운 꿈과 창의성을 가꾸는 건강한 덕천 어린이’이다. 구명국민학교에서 분리되어 1979년 12월 31일에 덕천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1980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83년 3월 1일에는 덕성국민학교가, 1992년 3월 1일에는 양덕국민학교가 분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참여하며 튼튼하고 실력 있는 어린이’이다. 1983년 1월 22일에 덕포국민학교로 설립 인가[19학급]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덕포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3월 1일에 제12대 남철환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2...
-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인성이 바르고 건강하며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99년 3월 1일에 동궁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9월 1일에 엄궁초등학교에서 분리하여 18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5대 김인수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4회 졸업식을 통해 204명이 졸업하여 총 2,574...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바르고 창의적인 동래 어린이 육성’이다. 교훈은 ‘생각하는 어린이, 튼튼한 어린이, 함께 뭉치는 어린이’이다. 동래학원이 1965년 1월 14일에 동래국민학교의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3일에 개교하였다. 1984년 3월 8일에 부속 유치원을 개원하였으며, 1993년...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글로벌 시대를 선도할 창의와 인성을 겸비한 어린이’이다. 1980년 3월 1일에 연산국민학교와 연미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동명국민학교로 연제구 연산동에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동명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11대 김소옥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게 생활하고 스스로 탐구하며 꿈을 키우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교훈은 ‘멀리 보고 깊이 생각하는 동백이’이다. 1976년 3월 1일에 동백국민학교로 개교하여 1996년 3월 1일에 동백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13대 박영모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7회...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착하며 지혜로운 어린이’이다. 1939년 3월 14일에 목도공립심상소학교[이후 영선초등학교, 2002년 남항초등학교로 통합] 동삼분교장으로 설치 인가[2학급]를 받아 영도구 동삼동에서 개교하였다. 1942년 4월 1일에 승격되어 동삼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해방 이후 1946년 9월 24일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성실하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1975년 11월 1일에 동상국민학교로 금정구 서동에서 개교하였다. 1983년 2월 23일에 명장국민학교로 3학급을, 1985년 2월 28일에 명서국민학교로 12학급을, 1987년 9월 1일에 명동국민학교와 명서국민학교로 각 3학급씩을 분리하였다. 2010년 9월 1일...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첫째, 기초·기본에 충실하고 창의성을 가진 어린이 육성, 둘째, 질서를 지키고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육성, 셋째, 서로 사랑하고 예절 바른 어린이 육성, 넷째, 몸이 튼튼하고 의지력이 강한 어린이 육성’이다. 교훈은 ‘지성(至誠)’이다. 세부 교훈 목표는 ‘지성껏 배우자’, ‘지성껏 일하자’, ‘지성껏 섬...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고 창의적으로 자랑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39년 3월 30일에 부산제10심상소학교로 서구 동대신동 3가에서 개교하였다. 일제의 패망으로 폐교하였다가, 해방 이후인 1946년 4월 20일에 부산제5국민학교로 재개교하였다. 같은 해 5월 10일에 동신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넓은 마음으로 깊게 생각하고 튼튼하게 자라는 어린이 육성’이다. 2005년 7월 12일에 동양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동원초등학교에서 15학급을 분리하고, 4학급을 증설하여 19학급 449명으로 2005년 9월 1일에 개교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3대 현미용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남을 배려하고 창의성을 키우는 건강한 어린이 육성’이다. 1985년 1월 26일에 동원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동평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19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5년 3월 1일에 개원국민학교로 7학급을 분리하였으며, 1996년 3월 1일에 동원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생각과 행동으로 슬기롭게 자라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2008년 3월 1일에 동일초등학교와 중앙초등학교가 통합하여 동구 수정동의 동일초등학교 교지에서 개교하였다. 동일초등학교의 전신은 1966년 4월 20일에 개교한 부산고관초등학교[1968년 3월 1일 동일국민학교, 1996년 3월 1일 동일초등학교로 개...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예절 바르고 건강하며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79년 12월 31일에 동주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0년 5월 10일에 동주국민학교로 개교[학장국민학교에서 24학급 분리]하였다. 1983년 3월 10일에 주학국민학교로 9학급을, 1988년 3월 10일에 주감국민학교로 15학급을 분리하였다. 1996...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으로 실력을 기르고 꿈을 키워 가는 예의 바른 어린이’이다. 1981년 5월 27일에 동천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3월 31일에 남구 감만동에서 29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동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2010년 3월 1일에 남구 감만동의 신축 교사로 이전하였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참되고 튼튼하며 능력 있는 동평 어린이 육성’이다. 1976년 3월 1일에 당감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동평국민학교로 개교[23학급]하였다. 1982년에 당평국민학교를 분리하였으며, 48학급으로 편성되었다. 1985년 3월에 동원국민학교를 분리하여 37학급으로 편성되었다. 1996년 3월 1일에 동평초등학교로...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열심히 공부하고 남을 배려하는 건강한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동항초등학교의 전신은 1919년 3월 31일에 개설된 사설 석남(石南) 서당으로, 주변 유지들에 의해 1923년 4월 1일에 사립 배영의숙(培英義塾)으로 변경되었다. 1939년 3월 31일에 배영의숙이 폐교되면서, 그해 4월 1일에 부산진공...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서로 돕고 깊이 생각하는 건강한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1977년 12월 30일에 동현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8년 12월 22일에 금정구 부곡동에서 개교[36학급]하였다. 1980년 3월 1일에 서동국민학교로 1,407명을, 1986년 3월 9일에 교동국민학교로 8학급 299명을 각각 분리 이관하...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내일의 꿈을 키우는 예절 바르고 건강한 어린이’이다. 2006년 3월 1일에 구서초등학교에서 160명의 학생이 분리되어 금정구 구서동에서 두실초등학교로 개교[33학급]하였다. 2009년 3월 1일에 제2대 김덕구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7회 졸업식을 통해 244명이 졸업하여 총 1,56...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인재, 의지가 있는 인재, 인성이 바른 인재, 성장하는 인재’이다. 교훈은 ‘건강하며 예의 바르며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1976년 3월 1일에 구포국민학교에서 분리되어 만덕국민학교[23학급]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2일에 개교하였다. 1976년 10월 8일에 본교사가 완공되니 이전하여 입교식과...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예절 바르고 창의적이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1975년 3월 3일에 수영국민학교에 있는 16개 교실을 수용하여 망미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이어 같은 해 11월 15일에 전교생이 신축 교사에 입교하여 이날이 개교 기념일이 되었다. 1996년 3월 1일에 망미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남다른 생각, 빼어난 자랑, 튼튼한 몸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육성’이다. 1981년 12월 29일에 명덕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3월 1일에 31학급을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명덕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8년 9월 1일에 와석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2002년...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로운 생각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건강한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1987년 3월 1일에 안락국민학교와 충렬국민학교, 동상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동래구 명장동에서 명동국민학교로 개교[29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명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11대 주종봉 교장이 취임하였다...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智], 예의 바르며[德], 건강한[體] 어린이’이다. 1917년 5월 5일에 일본인 학교인 부산공립제11심상소학교로 동래구 명륜동에서 개교하였다. 이후 1941년 4월 1일에 부산공립제11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해방 이후 1945년 10월 6일에 복정국민학교와 유락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부산제1...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며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이다. 1985년 3월 1일에 명서국민학교로 동래구 명장동에서 개교[21학급]하였다. 1993년 8월 25일에 서명국민학교를 분리[361명]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명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9월 3일에 제10대 배수철 교장이 취임...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생각과 바른 행동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83년 1월 27일에 명장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10월 10일에 동래구 명장동에서 개교[18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명장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29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7,29...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열린 생각과 슬기로운 행동으로 꿈을 가꾸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09년(순종 3) 7월 25일에 사립 동명학교로 설립 개교하였다. 1923년 4월 17일에 명지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38년 4월 11일에 명지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1년 4월 1일에는 다시 명지공립국민학교로...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참되며 굳센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슬기롭고 참되며 굳센 어린이’이다. 2003년 3월 1일에 금명초등학교로부터 분리하여 명진초등학교로 개교[32학급]하였다. 2004년 3월 1일에 5학급을 증설하였다. 2010년 3월 1일에 제4대 최병무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남을 배려하며 슬기로운 어린이가 된다’이다. 2008년 11월 5일에 명호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9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4회 졸업식을 통해 241명이 졸업하였다. 명호초등학교는 기초 체력을 신장시키고 학교 체육을 내실화하며, 실천 중심의 인성 교...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참여하며 튼튼하고 실력 있는 어린이’이다. 1989년 3월 1일에 모라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92년 3월 1일 학급을 분리하여 44학급의 모산국민학교를 신설하였으며, 1993년 3월 1일에는 565명을 분리하여 덕상국민학교를 신설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모덕초등학교...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로운 생각으로 실력을 향상시키고 건강하며 예의 바른 어린이’이다. 1994년 3월 1일에 모산국민학교에서 분리되어 모동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모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7대 박성원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18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마음과 건강한 몸으로 꿈을 키워 가는 어린이’이다. 1948년 7월 1일에 사상국민학교 모라분교로 개교하였다가, 1954년 4월 1일에 모라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6년 3월 1일에 삼락국민학교를, 1989년 3월 1일에는 모덕국민학교를 분리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모라초등학교로 교명을...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을 참되게 가꾸고 슬기로움을 기르는 어린이’이다. 1992년 3월 1일에 모덕국민학교에서 44학급이 분리되어 모산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같은 해 9월 29일에 모산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94년에는 27학급을 분리하여 모동국민학교를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모산초등학교로 교명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모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예절 바른 행동으로 앎을 실천하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2012년 7월 2일에 모전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13년 3월 1일에 개교하였으며, 동년 동월 동일 이화봉 초대 교장이 부임하였다. 모전초등학교는 체육 교육 과정의 정상화와 자율 체육 활동을 통한 기초 체력 증...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남과 더불어 즐겁게 살아가며 서로 다르게 으뜸이 된다’이다. 2007년 3월 1일에 몰운대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8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2008년 3월 5일에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2대 이희성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5회 졸업식을 통해...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가꾸고 봉사하는 건강한 어린이 육성’이다. 2005년 3월 1일에 무정초등학교로 개교[18학급]하여 초대 진광식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4대 김예옥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8회 졸업식을 통해 125명이 졸업하여 총 739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과 스스로 공부하며 올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1967년 3월 2일에 문현국민학교로 남구 문현동의 성동국민학교[현 성동초등학교] 교내에서 개교[34학급]하였다. 1977년 1월 18일에 남구 문현동의 현 교사로 신축 이전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문현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Feel, Idea, Do로 감성, 실력, 체력을 기르는 미남 어린이’이다. 1984년 3월 1일에 미남국민학교로 설립 인가[25학급]를 받아, 그해 3월 2일에 금강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동래구 온천동에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미남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13대 김...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사고로 공부하고 스스로 질서를 지키며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77년 9월 1일에 민락국민학교로 설립 인가[18학급]를 받아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민락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97년 9월 1일에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14대 박장희 교장이 취...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갖고 깊게 생각하며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이다. 1985년 3월 1일에 수영국민학교와 민락초등학교, 광안국민학교에서 분리되어 민안국민학교로 개교[21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민안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12대 김혜숙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생각과 올바른 행동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어린이’이다. 1990년 3월 1일에 반산국민학교로 개교[20학급]하였으며, 초대 이상준 교장이 취임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반산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8대 성임자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22회 졸...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 자랑을 만들어 누구나 으뜸이 되는 꿈동이’이다. 1998년 3월 1일에 장산초등학교로부터 분리되어 반석초등학교로 개교[29학급]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7대 김주득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5회 졸업식을 통해 82명이 졸업하여 총 1,758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남과 더불어 나의 자랑을 키우는 반송 어린이 육성’이다. 1969년 2월 17일에 반송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17일에 금사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74년에 운봉국민학교를 분리하였으며, 1981년에 운송국민학교를 분리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반송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고 예절 바르며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이다. 2002년 1월 1일에 반안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개교[29학급]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4대 정동철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1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2,63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게 생각하고 창의적으로 행동하며 꿈을 여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73년 12월 4일에 반여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4년 3월 5일에 장산국민학교에서 15학급을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반여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3년에 위봉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2010년...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예절 바르며 실력을 갖춘 어린이’이다. 1981년 12월 29일에 토곡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82년 1월 25일에 배산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여 그해 3월 2일에 26학급을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배산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우리를 먼저 생각하며 자기를 바르게 이끄는 어린이’이다. 1927년 4월 1일에 배영사설강습소로 개소하였다. 이후 1946년 5월 1일에 대저배영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으며, 1978년 2월 15일에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부산직할시로 편입되었다. 1980년 9월 1일에 배영국민학교로, 1996년 3...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예의 바른 어린이’이다. 1990년 3월 1일에 23학급을 편성하여 백산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백산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9대 박경란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23회 졸업식을 통해 167명이 졸업하여 총...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함께하는 꿈과 사랑이 가득한 학교’이다. 1984년 1월 30일에 백양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만덕국민학교에서 분리되어 개교[8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백양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2월 18일에 제27회 졸업식을 통해 136명이 졸업하여...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튼튼하며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1981년 12월 22일에 백운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3월 1일에 용호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남구 용호동에 개교[26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백운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9년 9월 1일에 제11대 이규섭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기본을 다져 꿈과 지혜를 키운다’이다. 1956년 1월 18일에 범천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1일에 동구 범일동에서 개교[14학급]하였다. 1962년 3월 1일에 범일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는 범일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21대 심금수...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며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미래를 향해 도전하는 어린이’이다. 2005년 3월 1일에 보림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2일에 개교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3대 김광순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8회 졸업식을 통해 137명이 졸업하여 총 1,099명의 졸업생을...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1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를 이끌어 갈 착하고 건강하며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53년 7월 9일에 중구 보수동 1가에서 보수국민학교로 개교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보수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22대 곽종배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59회 졸업식을 통해 84명이...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실력을 키우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895년(고종 32) 5월 22일에 박기종 외 4명이 개성학교를 설립할 것을 결의하여, 1896년(고종 33) 2월 14일 당시 학부[현 교육부]에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896년 3월 1일에 중구 영주동[현 교사의 남쪽 언덕]에서 사립부산개...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며 독서를 즐겨하는 어린이[智], 나를 사랑하며 남을 배려하는 어린이[德],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용기 있는 어린이[體]’이다. 1996년 3월 1일에 봉삼초등학교로 영도구 동삼동에서 개교[25학급]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0대 구영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7...
-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예절 바르며 꿈을 지닌 건강한 어린이’이다. 1952년 3월 25일에 봉학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7일 영도구 청학동에서 개교하였다. 1955년 4월 20일에 청학국민학교를 분리[9학급]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봉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23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창의적이며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어린이’이다. 1969년 3월 2일에 금정구 부곡동에서 부곡국민학교로 개교[20학급, 1,538명]하였다. 1984년 3월 1일에 현곡국민학교로 16학급을 분리 이관하였으며, 1996년 3월 1일에 부곡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
부산광역시 서구 부용동 2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예절 바르고 창의적이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1921년 10월 15일에 부산부민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10월 25일에 서구 부용동 2가에서 개교하였다. 일제에 의해 1941년 4월 1일에 부산부민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해방 이후 1945년 9월 24일에 부민국민학교로 재개교하였다...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국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하고 착하며 제 실력을 갖춘 자랑스런 한국 어린이’이다. 1960년 5월 16일에 부산사범학교 부속 국민학교[현 화랑초등학교] 분교로 연제구 거제동에서 개교하였다. 1961년 4월 1일에 「국립 학교 설치법」에 의해 부산사범학교와 부산사범대학[1955년 설치, 현 부산대학교 사범대학]이 부산사범대학으로 통...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영(靈), 지(智), 체(體)의 균형된 발달을 도모하는 전인 교육인 삼육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여, 인간 안에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시키고 국가와 사회와 교회를 위하여 봉사하며, 인류의 구원과 복리에 기여하는 도덕적이고 지혜로우며 건강한 청소년 양성’이다. 교훈은 ‘올바르게, 슬기롭게, 튼튼하게’이다. 194...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립정신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이다. 교훈은 ‘정의와 진리 안에서 살자’이다. 항상 정의로운 일만 행하며, 진리를 탐구하고 추구하기를 바라는 알로이시오 슈월츠 신부의 뜻이 담겨 있다. 1973년 3월 1일에 소년의 집 학원[1973년 2월 설립] 산하 부산소년의 집 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79...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성실하며 건강한 어린이 육성’이다. 1909년(순종 3) 4월에 사립부산진육영보통학교로 인가를 받았으며, 1911년 5월 3일에 공립부산진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22년 11월에 현 위치로 신축 이전하였다. 1938년에 부산진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41년에 부산진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바르게 실력을 다져 가는 어린이 육성’이다. 1972년 1월 3일에 부암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은 후, 같은 해 3월 1일에 성지국민학교와 당감국민학교에서 분리되어 33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부암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40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건강하며 예절 바른 어린이 육성’이다. 1966년 3월 1일에 부전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3일에 개교하였다. 1975년 3월 1일에 광무국민학교가 폐교되어 부전국민학교와 통합되었다. 1987년 1월 9일에 교사 신축 준공식 및 입교식을 하여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1996년 3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로운 생각, 바른 행동, 튼튼한 어린이 육성’이다. 1998년 6월 10일에 부흥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9월 1일에 개교[28학급]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5회 졸업식을 통해 306명이 졸업하여 총 4,535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에 제7대 김효영 교장이 취임하였...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Dream Big, Think Big, 큰 꿈, 넓은 마음, 강한 체력을 향해 애태우는 어린이’이다. 2001년 9월 1일에 분포초등학교로 남구 용호동에서 개교[16학급]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5대 조경순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11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2,347명의 졸업생...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덕·체·정을 겸비한 창의 인재 육성, 학생·학부모·교사가 행복한 학교’이다. 1983년 1월 23일에 사남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사남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0회 졸업식을 통해 52명이 졸업하여 총 4,567명의...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즐거운 마음으로 빼어남을 가꾸는 어린이, 배우고 익힌 지식을 올바르게 실천하는 어린이, 목표에 충실하며 즐겁게 공부하는 어린이’이다. 교훈은 ‘바른 마음을 가진 건강하고 창의적인 사동 어린이 육성’이다. 1991년 2월 19일에 사동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10월 15일에 사하국민학교와...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예의 바르며 실력을 키워 가는 어린이’이다. 1918년 4월 1일에 사립명진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20년 5월 5일에 4년제인 사상공립보통학교로 인가를 받았다. 1923년 6월에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1949년 12월 31일에 사상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같은 해에 학장국민학교를, 195...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이다. 1977년 9월 1일에 사직국민학교로 설립 인가[18학급]를 받아, 1978년 3월 1일에 동래구 사직동에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사직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13대 김민숙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가슴으로 꿈·참·힘을 기르는 창의적인 어린이, 착한 어린이, 튼튼한 어린이, 유능한 어린이’이다. 사하초등학교의 전신인 사립양정학교는 1908년(순종 2) 10월 6일에 개교하였다. 1919년 3월 31일에 하단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그해 10월 10일에 사하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슬기로우며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육성’이다. 1934년 3월 31일에 가락공립보통학교 부설 제도간이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으며, 1943년 7월 19일에 가락보통학교 제도분교장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6년 8월 31일에 가락삼광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78년 2월 15일에 행...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로운 생각과 바른 행동으로 꿈을 가꾸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79년 5월 1일에 삼덕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삼덕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11대 진은희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3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7,2...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건강하며 실력을 갖춘 어린이 육성’이다. 2006년 3월 1일에 장산초등학교와 반안초등학교에서 분리되어 삼어초등학교로 개교[25학급]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3대 최덕자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7회 졸업식을 통해 87명이 졸업하여 총 75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서로 사랑하고 건강하며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1996년 4월 25일에 상당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7년 3월 1일에 42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8대 윤을선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6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4,49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이 즐겁고 더불어 행복하며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1993년 1월 7일에 상리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4년 3월 2일에 동삼국민학교[622명]와 청동국민학교[279명]에서 분리하여 영도구 동삼동에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상리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9월...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착하여 생각을 깊이 있게 하는 어린이’이다. 2003년 5월 12일에 상학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4년 3월 1일에 만덕초등학교에서 분리되어 개교[24학급]하였다. 2005년 2월 18일에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109명이 졸업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9회 졸업식을 통해 48명이...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튼튼하며 슬기로운 서감 어린이’이다. 1984년 1월 30일에 서감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30일에 감전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87년에 다시 감전국민학교에서 489명이 분리되어 입교하면서 42학급을 편성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서감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밝고 바른 마음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84년 1월 30일에 서곡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금사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금정구 서동에서 개교[18학급]하였다. 개교 기념일은 5월 6일이다. 1996년 3월 1일에 서곡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80년 4월 10일에 서동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5월 6일에 금정구 서동에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서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1대 하정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3회...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과 올바른 행동으로 밝은 미래를 열어 가는 실력 있는 어린이’이다. 1989년 11월 10일에 서명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3년 3월 1일에 서동국민학교와 명서초등학교, 동현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금정구 서동에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서명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나눔을 실천하며 자기 빛깔의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85년 3월 1일에 서천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감천국민학교와 옥천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서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12대 강희종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착한 마음과 튼튼한 몸을 지닌 지혜로운 어린이’이다. 1966년 3월 1일에 석포국민학교로 남구 대연동에서 개교[12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석포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9년 9월 1일에 제15대 황해덕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46회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과 사랑을 가꾸는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1962년 11월 1일에 선암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3년 3월 7일에 부산진국민학교에서 분리되어 11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선암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9대 구경숙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예절 바르며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1946년 4월 7일에 부산제8공립국민학교[전신은 1923년에 개교한 일본인 학교인 부산제8심상소학교]로 동구 범일동에서 개교하였다. 같은 해 5월 10일에 성남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성남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1...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성실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이다. 1952년 4월 6일에 성동국민학교로 남구 문현동에서 개교[12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성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21대 김부곤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4일에 제60회 졸업식을 통해 214명이...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기본을 갖춘 실력 있는 어린이’이다. 1945년 4월 1일에 성북국민학교로 개교[4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성북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99년 3월 1일에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24대 김태원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62회 졸업식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서로 배려하고 사이좋게 공부하며 꿈과 희망을 가꾸는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1963년 12월 5일에 성서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4년 9월 13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성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정정련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4...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71년 3월 1일에 부산좌수영국민학교로 개교하였으며, 그해 9월 8일에 성전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성전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18일에 제41회 졸업식을 통해 87명이 졸업하여 총 9,553명의 졸업생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깊게 튼튼하고, 다르게 모두가 행복한 어린이’이다. 1921년 4월 1일에 서면공립보통학교 창립기성회를 설립하여 1~2학년 100명으로 시작하였다. 1924년 4월 7일에 4년제 서면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으며, 1926년 4월 1일에 수업 연한 6년제가 되었다. 1936년 4월 1일...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항상 새롭게 생각하고 행동이 바르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1992년 3월 1일에 성천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5월 6일에 남구 우암동에서 개교[30학급, 1,472명]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성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12대 최용준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으로 생각하며 더불어 사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46년 12월 15일에 세산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82년 3월 1일에 세산국민학교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89년 1월 1일에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부산직할시로 편입되었으며, 1996년 3월 1일에 세산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9...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 바른 행동, 슬기로운 생각을 키우는 어린이’이다. 2006년 3월 1일에 센텀초등학교로 개교[27학급]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7회 졸업식을 통해 329명이 졸업하여 총 1,79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9월 1일에 제4대 장소환 교장이 취임하였다. 센텀초등학교는...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꿈과 사랑을 가꾸는 행복한 어린이’이다. 1953년 6월 23일에 송도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7월 13일에 서구 암남동에서 개교[8학급, 333명]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송도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20대 김종렬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건강하며 실력 있는 어린이’이다. 2006년 3월 1일에 장산초등학교와 신재초등학교, 재송초등학교에서 일부 분리하여 송수초등학교로 개교[21학급]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6회 졸업식을 통해 53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송수초등학교는 배려할 줄 아는 멋진 어린이를 기르기 위해...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내일의 꿈을 키우고 예절 바른 건강한 어린이’이다. 1996년 3월 1일에 운봉초등학교에서 18학급이 분리되어 송운초등학교로 개교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10대 박종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7회 졸업식을 통해 139명이 졸업하여 총 3,23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따뜻하며 튼튼한 어린이 육성’이다. 1934년 4월 1일에 기장보통학교 부설 간이 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44년 6월 3일에 원남국민학교로 승격되었다. 1963년에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부산시에 편입되었으며, 1971년 4월 9일에 송정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는 송정초등...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예의 바르며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79년 3월 1일에 수미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0년 3월 11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수미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12대 허성만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에 제32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8...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에 따뜻한 품성을 지닌 수성 HUB 큰 인물’이다. 1955년 4월 28일에 수성국민학교로 동구 수정동에서 개교하였으며, 1996년 3월 1일에 수성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건물 이전 없이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재건축을 실시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22대 남덕순 교장이 취임하였다....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며 새로운 것을 탐구하는 착한 어린이’이다. 1986년 1월 24일에 수안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2일에 낙민초등학교[939명]와 명륜초등학교[153명]에서 분리하여 동래구 수안동에서 개교[개교 기념일 4월 25일]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수안초등학교로 교명을...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열심히 공부하고 바르게 행동하며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일제 강점기였던 1921년 3월 31일에 수영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41년 4월 1일에 수영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62년 6월 30일에 수영구 수영동에서 현재의 위치인 광안동으로 이전하였다. 1943년 4월...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신체, 건전한 정신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이다. 1935년 4월 1일에 수정공립보통학교로 동구 수정동에서 개교[2학급]하였다. 1938년 4월 1일에 수정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41년 4월 1일에 수정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광복 이후 1945년 9월 24일에 재개교하였고, 1...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며 예절 바른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1981년 1월 5일에 승학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승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2회 졸업식을 통해 100명이 졸업하여 총 8,645명의 졸업생을 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행동과 창의적인 생각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1997년 3월 1일에 좌산초등학교에서 분리되어 신곡초등학교로 개교[36학급]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6대 배국순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15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4,07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가꾸고 생각하는 어린이 육성’이다. 1994년 11월 11일에 신금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신축 교사 공사 관계로 1995년 3월 1일에 화명국민학교 구내에서 26학급을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같은 해 6월 23일에 교사를 완공하여 입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 신금국민학교에서 신금초등학교로 개...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큰 뜻을 세워 바른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99년 9월 1일에 신남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하남초등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4대 엄화자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4회 졸업식을 통해 137명이 졸업하여 총 2,691명의 졸업생...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예절 바른 어린이, 실력 있는 어린이, 꿈을 키워 가는 어린이’이다. 2004년 3월 1일에 학생 401명, 18학급을 편성하여 신덕초등학교로 개교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3대 박연희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8회 졸업식을 통해 120명이 졸업하여 총 60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열심히 공부하고 남을 배려하며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98년 9월 1일에 신도초등학교로 개교[24학급]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6대 김병엽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4일에 제15회 졸업식을 통해 168명이 졸업하여 총 2,34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신...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 3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신체적]으로 호연지기[정의적]를 키워 창의력[지적] 있는 어린이를 기르는 글로벌 SINSUN 교육’이다. 1964년 3월 1일에 신선국민학교로 영도구 영선동 4가의 남항국민학교 교사에서 개교[12학급, 522명]하였다. 1965년 10월 30일에 영도구 신선동 3가의 현 교사로 이전[개교 기념...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바르게 행동하고 스스로 실천하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83년 1월 22일에 신연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남구 우암동에서 개교[20학급]하였다. 1988년 3월 1일에 연포국민학교와 학생을 조정하여 187명의 학생이 편입되었다. 1996년 3월 1일에 신연초등학교로 교명...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창의적이며 예의 바른 어린이 육성’이다. 1985년 1월 26일에 신재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5월 9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신재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9월 3일에 제10대 이재순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28회 졸업식을 통해 139...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생각으로 바르게 행동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이다. 교훈은 ‘새로움, 바름, 어울림’이다. 2009년 1월 15일에 신정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1일에 12학급을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특수 학급 1학급과 5학년을 대상으로 한 영재 학급을 설치하였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고촌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로운 생각과 바른 행동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교훈은 ‘건강하고 창의적이며 예의 바른 신진 어린이’이다. 1946년 5월 1일에 신진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7학급]하였다. 1955년 4월 25일에 고천역 주변에서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1995년 3월 1일에 부산광역시로 편...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하고 바르며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2001년 3월 1일에 30학급을 편성하여 신천초등학교로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6대 이기형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2회 졸업식을 통해 137명이 졸업하여 총 2,00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신천초등학교는 자신과 이웃을...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튼튼하며 참된 어린이’이다. 1992년 2월 29일에 신촌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신촌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20회 졸업식을 통해 62명이 졸업하여 총 2,98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9월 1...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꿈을 키우며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이다. 1968년 8월 9일에 신평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10월 2일에 사하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신평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17대 곽종근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
-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으로 남을 배려하며 생각을 깊이 새롭게 하는 어린이’이다. 1928년 3월 1일에 사설신호학당을 설립하였으며, 1936년 3월 1일에 신호사설학습강습소로 개칭하였다. 1941년 3월 15일에 명지국민학교 부설 간이 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1944년 3월 1일에 명지국민학교 신호분교장으로 교명을 변...
-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2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과 바른 마음, 슬기로운 생각으로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59년 3월 31일에 아미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11일에 서구 아미동 2가에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아미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19대 김금숙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마음, 튼튼한 몸, 창의적인 생각을 가진 어린이’이다. 1984년 3월 1일에 안남국민학교로 동래구 안락동에서 개교[25학급]하였으며, 1996년 3월 1일에 안남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8년 9월 1일에 안민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29회 졸업식을 통해 208명이...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를 바르게 이끌며 남과 더불어 사는 어린이’이다. 1975년 3월 1일에 내성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안락국민학교로 동래구 명장동에서 개교[21학급]하였다. 1983년 3월 1일에 명장국민학교[12학급]를, 1984년 3월 1일에 안남국민학교[9학급]를, 1987년 3월 1일에 명동국민학교[1,102명]를 각...
-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생각과 튼튼한 몸으로 바르게 행동하고 열심히 공부하는 어린이’이다. 1998년 9월 1일에 안민초등학교로 동래구 낙민동에서 개교[29학급]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7대 허기준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5회 졸업식을 통해 166명이 졸업하여 총 3,205명의 졸업생을 배...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 배려하는 마음, 창의적인 생각으로 꿈을 키워 가는 어린이’이다. 2005년 10월 15일에 안진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6년 3월 1일에 안남초등학교와 안민초등학교, 안락초등학교에서 분리하여 동래구 안락동에서 개교[24학급, 431명]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장영화 교장이 취임하...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가꾸는 양덕 어린이’이다. 1992년 3월 1일에 양덕국민학교로 개교[30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양덕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8대 최진상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21회 졸업식을 통해 116명이 졸업하여 총 4,46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육성’이다. 1975년 11월 20일에 양동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6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77년 9월 15일에 신축 교사로 입교하였으며, 1996년 3월 1일에 양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36회 졸업식...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롭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며 튼튼하게 자라는 양성 어린이 육성’이다. 1984년 3월 1일에 양정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양성국민학교로 개교[19학급]하였으며, 같은 해 6월 18일에 개교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양성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29회 졸업식...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바른 인성과 창의성 함양’이다. 교훈은 ‘우리는 사랑을 바탕으로 지혜를 갈고닦아 온 누리에 펼칠 힘을 기른다’이다. 1997년 1월 13일에 양운고등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를 받아, 같은 해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7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기본 생활 습관이 바로 된 건강하고 예의 바른 어린이 육성’이다. 1997년 3월 1일에 양운초등학교로 개교[30학급]하였으며, 1998년에 신도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7대 강선학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6회 졸업식을 통해 168명이...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고 몸을 튼튼히 하며 꿈을 가꾸는 어린이 육성’이다. 1954년 6월 30일에 양정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55년 4월 1일에 거제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76년 3월에 양동국민학교를, 1984년에 양성국민학교를 분리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양정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창의적인 어린이, 남을 배려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활기차고 건강한 어린이 육성’이다. 1980년 7월 2일에 양천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7년 3월 2일에 덕천국민학교 구내에서 개교[24학급]하였다. 같은 해 5월 26일에 신축 교사로 이전하였다. 1996년 3월 1일 양덕초등학교로...
-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큰 꿈을 키우며 슬기롭게 공부하는 어린이’이다. 1979년 12월 29일에 엄궁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0년 5월 27일에 학장국민학교에서 24학급이 분리되어 개교[26학급]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엄궁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9년 9월 1일에 동궁초등학교로 20...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깨끗하고 건강한 몸으로 자기 자랑을 가꾸어 가며 질서를 지키고 예절 바른 어린이’이다. 1984년 1월 30일에 여고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4일에 동래구 사직동에서 개교[28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여고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29회 졸업식을 통해...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고 서로 도우며 미래 사회에 대비하는 어린이’이다. 1978년 12월 20일에 연동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9년 3월 1일에 연제구 연산동에서 개교[31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연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2대 진군호 교장이 취임하였다. 20...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의 즐거움 속에 바른 심성을 지닌 건강한 어린이’이다. 1972년 3월 1일에 연미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3년 3월 3일에 연산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연제구 연산동에서 개교[29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연미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40회 졸업식을 통해...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자기 주도적인 학습력을 갖춘 어린이, 창조적으로 활동하는 어린이, 자랑을 가꾸는 어린이 육성’이다. 교훈은 ‘꿈과 사랑을 가꾸는 슬기로운 연산 어린이’이다. 1962년 3월 9일에 연산국민학교로 개교[15학급]하였으며, 같은 해 10월 29일에 양정국민학교 교사에서 동...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고 올바르게 행동하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84년 3월 2일에 연제국민학교와 연동국민학교, 거학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연서국민학교로 연제구 연산동에서 개교[18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연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28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5,080...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로운 생각과 참다운 행동,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1984년 1월 30일에 연신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연제구 연산동에서 개교하였다[개교 기념일은 3월 22일]. 1996년 3월 1일에 연신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11대 이정환 교장이 취임하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과 올바른 행동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이다. 1983년 1월 27일에 연일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연천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연제구 연산동에서 개교[20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연일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11대 이영근...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생각으로 바르게 행동하며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1967년 8월 9일에 연제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11월 6일에 연제구 연산동에서 개교하였다. 1977년 9월 1일에 연천국민학교[15학급, 1,124명], 1979년 3월 1일에 연동국민학교[13학급], 1981년 3월 1일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보다 앞선 생각으로 더불어 함께 꿈을 키우는 어린이 육성’이다. 1962년 3월 9일에 성지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연지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74년 3월에 61학급 편성으로 초읍국민학교를 분리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연지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6대 이정숙 교장이 취...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혜롭고 예절 바르며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1977년 2월 19일에 연천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연제구 연산동의 연제국민학교 교내에서 15학급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같은 해 8월 1일에 연제구 연산동의 현 교사로 이전하였으며, 그해 9월 1일에 연제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정식 개교하였다. 1...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로운 생각과 바른 행동으로 미래를 여는 튼튼한 어린이’이다. 1975년 3월 1일에 연포국민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를 받아, 그해 4월 7일에 남구 대연동에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연포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8회 졸업식을 통해 95명이 졸업하여 총 9,2...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서로 도우며 꿈과 자랑을 가꾸는 실력 있는 어린이 육성’이다. 1983년 3월 1일에 초읍국민학교와 연지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연학국민학교로 개교[22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연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13대 오의정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 1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바른 품성을 지닌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영도의 유지 김옥성, 박치오, 강환오, 김용근 등이 사립옥성학교의 설립을 협의하여, 1908년(순종 2) 8월 25일에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9월 20일에 영도구 신선동 1가에서 개교하였다. 1916년 4월 1일에 옥성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가꾸며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교훈은 ‘큰 뜻을 가지로 미래를 펼쳐 가는 예원 교육’이다. 2006년 3월 31일에 예원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7년 3월 2일에 동래구 사직동에서 개교[26학급]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6회 졸업식을 통해 128명이 졸업하여 총 1,...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창의적이며 꿈을 키우는 어린이’이다. 2008년 9월 1일에 오륙도초등학교로 남구 용호동에서 개교[6학급]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2대 좌동지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5회 졸업식을 통해 96명이 졸업하여 총 285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오륙도초등학교는 튼튼...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튼튼하며 꿈을 키우는 어린이’이다. 1981년 12월 29일에 옥천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85년 3월 1일에 서천국민학교를 분리하였으며, 1996년 3월 1일에 옥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1회 졸업식을 통해 214명이...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며 서로 돕는 어린이’다. 1968년 7월 12일에 온천국민학교로 동래구 온천동에서 개교[35학급]하였다. 1972년 3월 2일에 금강국민학교로 12학급을 분리하였으며, 1983년 2월 28일에는 내산국민학교로 1,271명을 분리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온천초등학교로 교명을...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남과 더불어 살아가며 서로 다르게 으뜸이 되는 어린이’이다. 1999년 1월 6일에 와석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명덕초등학교에서 분리되어 개교[21학급]하였다. 2003년 3월 1일에는 화잠초등학교로 392명의 학생이 분리되었다. 2011년 9월 1일에 제6대 김성원 교장이 취임하였다....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가꾸고 사랑을 나누며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가 된다’이다. 1965년 6월 15일에 용당국민학교로 설립 인가[5학급]를 받아, 1966년 3월 1일에 남구 용당동에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용당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47회 졸업식을 통해 28명이 졸업하여...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력과 바른 인성을 겸비한 인재를 육성한다’이다. 2001년 2월 7일에 용문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3년 9월 1일에 남구 용호동에서 개교[28학급]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4대 황해덕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0회 졸업식을 통해 213명이 졸업하여 총 1,727명...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게 행동하며 새로운 생각과 더불어 실력을 키우는 어린이’이다. 1978년 12월 20일에 용산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9년 3월 28일에 용호국민학교에서 분리[35학급, 2,148명]하여 남구 용호동에서 개교하였다. 1989년 3월 1일에 운산국민학교를 분리[19학급]하였고, 1996년 3월 1일...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슬기로운 생각과 아름다운 마음을 다듬는 어린이’이다. 2002년 3월 1일에 용수초등학교로 25학급을 설립 인가 받았으나, 학생 수 증가로 29학급을 편성하여 명덕초등학교에서 분리되어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5대 하명철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1회 졸업식을...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세계를 향해 꿈을 펼치는 슬기롭고 참되며 힘찬 어린이’이다. 1964년 9월 22일에 대연국민학교에서 분리[7학급, 350명]하여 용호국민학교로 남구 용호동에서 개교하였다. 1979년 2월 23일에 용산국민학교[35학급, 2,148명]를, 1982년 2월 24일에 백운국민학교[26학급]를 각각 분리하였다. 19...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예절 바르며 창의적으로 탐구하여 꿈을 키우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59년 4월 1일에 우암국민학교로 남구 우암동에서 개교[24학급]하였다. 1983년 3월 2일에 신연국민학교[4학급]를, 1992년 2월 29일에 성천국민학교[13학급]를 각각 분리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우암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로운 생각, 바른 행동으로 꿈을 꾸는 어린이 육성’이다. 1973년 12월 1일에 운봉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4년 3월 1일에 반송국민학교로부터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운봉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3월 1일에 제14대 김점옥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예절 바르고 창의적이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교훈은 ‘깊이 생각하고 예절 바르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1989년 1월 20일에 운산국민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용산국민학교와 백운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남구 용호동의 용산국민학교 교내에서 개교하였다. 1989년 5월 6일에 현재의 위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과 바른 생각으로 꿈을 꾸는 어린이 육성’이다. 1979년 5월 7일에 운송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1년 3월 1일에 반송국민학교와 운봉국민학교로부터 분리하여 개교[25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운송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13대 김혜진 교장이 취...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예절 바르고 건강하며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일제 강점기였던 1936년 4월 28일에 장안공립보통학교 부설 길천간이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1944년 5월 15일에 월내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79년 4월 1일에 월내국민학교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으며, 1995년 3월 1일에 부산광역시로 편입되...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실력·사랑으로 열매 맺는 3-up 월평 교육 과정으로 기초·기본을 다지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일제 강점기였던 1938년 5월 8일에 정관공립심상소학교 부설 월평간이학교로 개교하였다. 1945년 9월 24에 월평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여 재개교하였다. 1950년 5월 3일에 월평국민학교로 교명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굳세며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이다. 2003년 3월 1일에 반여초등학교에서 분리되어 위봉초등학교로 개교[37학급]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0회 졸업식을 통해 120명이 졸업하여 총 1,45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9월 2일에 제5대 이광갑 교장이 취임하였다. 위봉초...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건강하며 슬기로운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2004년 3월 1일에 을숙도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4대 이희애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9회 졸업식을 통해 229명이 졸업하여 총 1,85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을숙도초등학교는 인...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질서를 지키고 스스로 공부하며 튼튼한 어린이’이다. 1996년 2월 22일에 응봉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중현초등학교에서 분리하여 1997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2012년 10월 23일에 제8대 김영철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6회 졸업식을 통해 125명이 졸업하여 총 2,59...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높은 꿈을 가지고, 자기 자랑을 잘 가꾸어 누구나 으뜸 되는 인지 어린이 육성’이다. 2003년 3월 1일에 인지초등학교로 개교[24학급]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4대 허선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0회 졸업식을 통해 243명이 졸업하여 총 2,509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예의 바르고 건강하며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일제 강점기였던 1927년 3월 31일에 일광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23일에 개교하였다. 1945년 1월 24일에 일광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64년 2월 16일에 일광국민학교 학리분교가 개교되었다가 2006년 2월 28일에 폐교되...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즐겁게 배우고 바르게 행동하며 소질을 계발하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66년 3월 1일에 장림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장림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98년 12월 23일에 병설 유치원 2개 학급을 개원하였다. 2005년 3월 1일에는 보림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남과 더불어 나의 꿈을 키우는 장산 어린이 육성’이다. 1946년 9월 1일에 장산국민학교로 개교[6학급]하였다. 1974년에 반여국민학교를 분리하였고, 1975년에 안락국민학교를 분리하였다. 1982년에 재송국민학교를 분리하였고, 1998년에 반석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2002년에 반안초등학교를 분리하였고...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84년 3월 1일에 장전국민학교와 구서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장서국민학교로 금정구 구서동에서 개교[21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장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29회 졸업식을 거행하였고, 같은 해 9월 1일에 제1...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혜롭고, 예절 바르며,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일제 강점기였던 1922년 3월 31일에 장안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5월 3일에 개교하였다. 1926년 2월 23일에 제1회 졸업식을 통해 73명이 졸업하였다. 1936년 4월 28일에 길천간이학교[후에 월내초등학교가 됨]를 부설 인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예절 바르며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1977년 8월 10일에 장전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9월 1일에 금정구 장전동에서 개교하였다. 1981년 9월 1일에 구서국민학교로, 1984년 3월 1일에 장서국민학교로, 1999년 3월 1일에 금양초등학교로 각각 학급을 분리하였다. 1996년 3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혜롭고 남을 배려하는 건강한 재송 어린이 육성’이다. 1981년 12월 29일에 재송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3월 1일에 장산국민학교와 반여국민학교로부터 분리하여 재송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85년에 신재국민학교를 분리하였으며, 1990년에 반산국민학교를 분리하였다. 2013년 2월 15...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기본을 다지며 실력을 길러 꿈을 가꾸는 어린이 육성’이다. 1956년 4월 1일에 전포국민학교로 개교[21학급]하였다. 1992년 12월에 병설 유치원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1996년 3월에 병설 유치원을 분리하여 전포유치원을 개원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에 전포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예의 바르고 건강하며 자랑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95년 3월 1일에 중리국민학교에서 20학급이 분리되어 절영국민학교로 영도구 동삼동에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절영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0대 이옥일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8회 졸업식...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이고 따뜻한 품성을 갖춘 건강한 어린이’이다. 일제 강점기였던 1928년 3월 31일에 정관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15일에 4년제 학교로 개교하였다. 1940년 3월 10일에 정관보통학교 6년제 인가를 받았으며, 1941년 4월 1일에는 정관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이후 1...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성실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이다. 1996년 9월 1일에 좌동초등학교로 개교[42학급]하였다. 1998년에 부흥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7회 졸업식을 통해 195명이 졸업하여 총 4,222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에 제7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착하고 건강하며 즐겁게 공부하는 좌산 어린이 육성’이다. 1996년 10월 1일에 좌산초등학교로 개교[42학급]하였다. 1997년에 신곡초등학교를 분리하였으며, 1998년에 해송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6대 최선화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7회 졸업식을 통해 21...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로운 생각과 바른 행동을 실천하는 매력적인 어린이’이다. 1953년 6월 3일에 좌성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7월 10일에 수정국민학교와 성남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동구 범일동에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좌성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57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72년 1월 5일에 좌천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5일에 동구 좌천동에서 개교[33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좌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배윤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40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지혜롭게 꿈을 키우는 어린이’이다. 1943년 3월 22일에 좌천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81년 3월 1일에 병설 유치원을 개설하였고, 이후 부산시 교육청으로 편입되었다. 1996년 3월 1일에는 좌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67회 졸업식을 통해 18명이 졸업하...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착하고 슬기로우며 튼튼한 어린이’이다. 1988년 3월 1일에 주감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주감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6년 3월 1일에 개림초등학교와 함께 주양초등학교로 15학급을 분리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9대 김영희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심신이 건강하고 더불어 살아가며 꿈을 가꾸는 어린이 육성’이다. 1975년 3월 1일에 주례국민학교로 개교[23학급]하였다. 1977년 9월에 가평국민학교를 분리하였고, 1983년에 주학국민학교를, 1984년에 주원국민학교를 분리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주례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8년 3...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심성이 바르고 건강하며 미래를 개척하는 지혜로운 어린이’이다. 2006년 3월 1일에 주양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림초등학교와 주감초등학교에서 15학급, 366명을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6회 졸업식을 통해 83명이 졸업하여 총 42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9월 1...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올바르고 굳세게 자라는 아름다운 주원 어린이 육성’이다. 1984년 1월 31일에 주원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2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주원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28회 졸업식을 통해 51명이 졸업하여 총 3,724명의 졸업생을 배...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예의 바르며 슬기로운 주학 어린이’이다. 1983년 3월 1일에 주학국민학교로 설립 인가[23학급] 받아, 그해 5월 9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주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12대 서원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29회 졸업식을 통해...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이고 바르게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57년 4월 16일에 기장국민학교 죽성분교로 개교하였다가, 1963년 9월 26일에 죽성국민학교로 승인을 받고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5년 2월 6일에 병설 유치원 설립 인가를 받고 개원하였다. 1995년 3월 1일에 행정 구역 개편에 의하여 부산광역시...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성실하고 사랑하며 희망을 심고 가꾸는 중리 어린이’이다. 1988년 9월 27일에 중리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9년 3월 1일에 동삼초등학교에서 22학급을 분리하여 영도구 동삼동에서 개교하였다. 같은 해 6월 5일에 영도구 동삼동의 현 교사로 이전하고, 이 날을 개교 기념일로 하였다. 1995년 3...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친구들과 더불어, 창의적이고 바르며 건강한 글로벌 어린이’이다. 1996년 9월 1일에 중현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다대초등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하였으며, 1997년 2월 28일에 응봉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1998년 3월 2일에 병설 특수 유치원을 개원하였으나 2010년 2월 28일에 폐원하였다. 201...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함께 어울려 꿈을 가꾸는 건강하고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1963년 12월 15일에 창신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4년 6월 1일에 연제구 거제동에서 개교하였다[1~2학년 9학급]. 1977년 9월 1일에 사직국민학교로 7학급을, 1981년 3월 1일에 거학국민학교로 38학급을, 1984년 3월 1일...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타인을 배려하고 생각이 자유로운 건강한 어린이’이다. 1998년 9월 1일에 창진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괘법초등학교에서 24명, 사상초등학교에서 200명이 분리하여 개교[12학급]하였다. 2009년 9월 1일에 제7대 정해수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에 제14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1,596...
-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게 생각하고 건강하게 자라며 꿈을 키워 가는 어린이’이다. 1931년 5월 4일에 천가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1940년 4월 1일에 천가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66년 3월 1일에 천가초등학교 장항분교를 개교하였는데, 1971년 3월 1일에 장학국민학교로 분교되었다가 1982년 3월 1일에 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분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게 생각하고 건강하게 자라며 꿈을 키워 가는 어린이’이다. 1994년 3월 1일에 천가국민학교 대항분교장으로 지정되었으며, 1996년 3월 1일에 천가초등학교 대항분교장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천가초등학교 대항분교장은 기초·기본 학력을 정착시키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혜롭고 남을 배려하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72년 9월 16일에 암남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11월 6일에 천마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73년 3월 1일에 서구 암남동에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천마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16대 진영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하고 예절 바르며 실력 있는 어린이’이다. 일제 강점기였던 1924년 3월 31일에 철마사설강습소로 개교하였다. 1927년 3월 1일에 철마공립보통학교로 4년제 인가를 받았고, 1934년 5월 4일에는 6년제 인가를 받았다. 1941년 4월 1일에 철마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85년 3월...
-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바른 마음으로 즐겁게 공부하는 어린이’이다. 1978년 2월 28일에 청동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영도구 청학동의 청학국민학교에서 24학급을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79년 10월 15일에 영도구 청학동의 현 교사로 이전하고 이 날을 개교 기념일로 하였다. 1996년 3월...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과 따뜻한 마음으로 스스로 공부하고 꿈과 재능을 키우는 어린이’이다. 1906년(고종 43) 6월 20일에 범어사(梵魚寺) 승려 성월의 주도로 범어사 경내의 금어암에서 사립 명정학교로 개교[4년제]하였으며, 1908년(순종 2) 5월 1일에 창립 인가를 받았다. 1922년에 취학 아동의 증가로 금정구...
-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예의 바르며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이다. 1954년 6월 20일에 청학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55년 4월 20일에 봉학국민학교에서 분리[9학급]하여 영도구 청학동에서 개교하였다. 1956년 3월 31일에 부설 청학공민학교[1974년 3월 11일 폐교]를 개설하였고, 1979년 2월 28일...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이끌 새로운 생각과 바른 마음을 실천하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37년 4월 10일에 초량공립보통학교로 동구 초량동에서 개교하였다. 1941년 4월 1일에 일제에 의해 초량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고, 광복 이후 1945년 9월 27일에 초량국민학교로 재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초량...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혜와 자랑을 가꾸며 밝은 마음과 튼튼한 몸을 지닌 초읍 어린이’이다. 1973년 11월 4일에 초읍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4년 3월 1일에 연지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83년 3월 1일에 연학국민학교를 분리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초읍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게 생각하며 더불어 사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80년 12월 26일에 충렬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1년 3월 2일에 동래구 안락동에서 개교[25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충렬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2대 김연희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칠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생각으로 남을 배려하는 건강한 어린이’이다. 1943년 5월 10일에 칠암공립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6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81년 1월 31일에 병설 유치원 인가를 받았고, 1995년 3월 1일에 부산광역시로 편입되었다. 1996년 3월 1일에 칠암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롭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튼튼한 어린이’이다. 1983년 3월 1일에 태종대국민학교로 영도구 동삼동에서 개교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태종대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29회 졸업식을 통해 30명이 졸업하여 총 2,778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에...
-
부산광역시 서구 토성동 2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을 가진 창의적이고 건강한 어린이’이다. 1919년 4월 1일에 부산제6심상소학교로 서구 토성동 2가에서 개교하였다. 1941년 4월 1일에 부산제6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해방 이후인 1945년 9월 24일에 남부민국민학교 분교장으로 재개교하였다. 1946년 4월 18일에 부산제6국민학...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과 올바른 행동으로 미래를 열어 가는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1986년 10월 20일에 토현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7년 3월 2일에 과정국민학교와 연천국민학교, 망미국민학교로부터 분리되어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토현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7년 8월 28일에 급식소...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저마다 높은 꿈을 갖고 소질을 계발하는 포천 어린이’이다. 1990년 3월 1일에 포천국민학교[16학급, 457명]로 개교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포천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9대 임염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22회 졸업식을 통해 241명이 졸업하여...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강인한 몸과 마음으로 예절을 잘 지키며 미래를 설계하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93년 2월 20일에 하남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1일에 하단국민학교와 신평국민학교에서 분리되어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하남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9년 9월 1일에 신남초등학교를 분리...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착하며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1983년 1월 17일에 하단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2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하단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2004년 3월 1일에 을숙도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이영수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 알찬 실력, 따뜻한 품성을 지닌 어린이’이다. 2003년 3월 1일에 30학급을 편성하여 학사초등학교로 개교하였으며, 5월 6일을 개교 기념일로 정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5대 박천수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0회 졸업식을 통해 200명이 졸업하여 총 2,032명의...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며 서로 돕는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1949년 11월 4일에 학장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50년 5월 10일에 개교하였다. 1980년 3월 1일에 엄궁국민학교로 24학급을, 그해 5월 1일에 동주국민학교로 24학급을 분리하였다. 1988년 3월 1일에는 학진국민학교로 4학...
-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하며 슬기롭고 행동이 바른 학생을 기른다’이다. 1988년 3월 1일에 학진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학장국민학교와 엄궁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학진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1대 정근영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기초 체력을 갖추고 질서와 존중을 실천하며 슬기롭게 공부하는 어린이’이다. 1995년 9월 1일에 해강국민학교로 개교[26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해강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2001년에 해림초등학교를 분리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8대 성영심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해맑고 슬기로운 착한 어린이 육성’이다. 1979년 12월 29일에 해동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0년 3월 30일에 해운대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개교[31학급]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11대 왕성오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3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8,970명의 졸업...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성실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이다. 2001년 3월 1일에 해림초등학교로 개교[24학급]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11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1,85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해림초등학교의 교육 중점은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건강한 몸과 마음 기르기[튼튼한 어린이],...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착하고 건강하며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이다. 1998년 9월 1일에 해송초등학교로 개교[40학급]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 제14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3,34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해송초등학교 주인 정신이 투철한 예절 바른 어린이[도덕적인 사람], 심신이 조화된 건강한 어린이[건강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자랑을 가꾸는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이다. 1937년 4월 1일에 해운대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4년제 2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41년 4월 1일에 6년제 시설 연장 인가를 받았다. 1962년에 강동국민학교를 9학급으로 분리하였으며, 1976년에는 동백국민학교를 17학급으로 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슬기로우며 건강한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2012년 3월 1일에 해원초등학교로 개교하였으며, 동년 동월 동일 박영희 초대 교장이 부임하였다. 해원초등학교는 학생들이 덕과 봉사, 좋은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는 따뜻한 마음, 많은 독서를 통한 슬기로운 생각 및 튼튼한 체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과 바른 행동으로 꿈을 가꾸는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예의 바르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1984년 1월 30일에 현곡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26일에 동현국민학교와 부곡국민학교에서 분리하여 금정구 부곡동에서 개교[22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현곡초등학교로...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 혜화초등학교는 ‘나라의 미래는 교육이 좌우한다’는 소명 의식을 갖고 ‘의(義)에 죽고 참에 산다’는 교육 정신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다. 교훈은 ‘예절을 존중하고 스스로 공부하며 창조하는 어린이’이다. 1965년 1월 27일에 혜화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9일에 부산진구 범천동 865번지에서...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슬기롭고 튼튼한 어린이’이다. 1985년 1월 26일에 호암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광안국민학교와 남천초등학교, 수영국민학교에서 분리한 30학급을 모아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호암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28회 졸업식을 통해 145명이...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1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성실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12년 3월 20일에 부산제2공립심상소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4일에 중구 보수동 1가의 당시 부산상업전수학교[이후 경남상업고등학교, 현 부경고등학교] 부지에서 개교하였다. 1929년 6월 15일에 서구 동대신동 1가의 현 교사를 완...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마음과 건강한 몸으로 미래를 열어 가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35년 10월 21일에 나룻배로 구포보통학교까지의 통학 불편에 대한 주민 요구로 구포보통학교 부설 화명간이학교로 분리되어 설립이 인가되었다. 1943년 5월 20일에 화명국민학교로 다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 기념일로 지정하였으며, 194...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더불어 살아가며 모두가 으뜸이 되는 화잠 어린이’이다. 2003년 3월 1일에 와석초등학교와 화명초등학교에서 분리되어 개교하였다. 2004년 2월 18일에 제1회 졸업식을 통해 112명이 졸업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4대 신상문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0회 졸업식을 통해 142...
-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과 따뜻한 마음으로 미래의 꿈을 키워 가는 어린이’이다. 1982년 3월 1일에 회동국민학교로 금정구 회동동에서 개교[20학급]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회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13대 김정호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1회 졸업식을 통해...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생각과 바른 행동으로 행복한 미래를 가꾸는 알찬 효림 어린이’이다. 1983년 1월 31일에 효림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4년 4월 6일에 장림국민학교에서 분리되어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효림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13대 김삼석 교장이 취임하였다...
중학교
-
부산광역시에 있는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사이의 중등 보통 교육 기관. 1. 개항기 부산 지역의 중등 교육의 역사는 1895년(고종 32)에 박기종(朴琪淙) 등에 의해 설립된 사립부산개성학교로부터 시작된다. 사립부산개성학교는 1897년(고종 34)에 한국공립부산개성학교로, 1907년(순종 1)에 사립부산개성일어학교로 교명이 바뀌어 운영되어 오다가, 1909년(순종...
-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따뜻한 품성과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창의적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바른 생각, 옳은 판단, 참된 행동’이다. 1947년 9월 1일에 가락고등공민학교로 설립되었으며, 6·25 전쟁으로 학생 수가 증가되어 1953년 4월 6일에 도립 가락중학교로 개편 개교하였다. 1984년 2월 22일에...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민주 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심성을 바탕으로 자아실현에 최선을 다하는 심신이 건강한 학생’이다. 교훈은 ‘덕성을 함양하자, 체위를 향상하자, 실력을 배양하자’이다. 1953년 4월 6일에 구포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4월 25일에 개교하였다. 1963년 1월 1일...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배우고 책임을 다하며 서로 돕고 창의력을 갖춘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자율, 책임, 협동’이다. 1972년 12월 29일에 가야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3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15대 유상종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38회 졸업식을...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심신과 창조적 능력을 지닌 미래 지향적 인간 육성’이며, 교훈은 ‘정직하고 성실하며 날로 새로워지자’이다. 1975년 11월 14일에 감만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6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00년 3월 1일에 남녀 공학제를 실시하였다. 2003년 10월 20일에 도서실 리모델링 공사를 완료하...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를 주도할 건강하고, 슬기롭고, 예절 바른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건강하고, 슬기롭고, 예절 바른 사람’이다. 1982년 12월 17일에 감천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아 1983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01년 3월 1일에 감천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남녀 공학제를 실시하였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아름다운 감성, 자율성과 창의성으로 실력을 갖춘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지혜롭고 예절 바른 여성’이다. 1988년 1월 19일에 개금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9대 윤병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23회 졸업식을 통해 17...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전한 생활인의 슬기를 모으고 모든 행동에 정성을 다하며 창의적 태도와 예의범절을 갖춘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슬기로운 생각, 가치 있는 행동, 창조하는 사람’이다. 2001년 1월 1일에 개림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10학급 375명]을 거행하였다. 2010년 9월...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의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나라와 겨레를 사랑하자, 나의 할 일에 최선을 다하자, 서로 도와 날로 발전하자’이다. 1967년 11월 29일에 훈성학원 산하 거제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1968년 3월 9일에 1학년 5학급 305명으로...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도덕적이고 창의적이며 건강한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나를 알고 부지런히 배워 고마움에 보답하자’이다. 1992년 1월 6일에 거제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10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535명]을 하였다. 1995년 2월 16일에 제1회 졸업식을 통해 487명이 졸업하였다. 2...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국가와 인류를 위해 일하는 글로벌 학생, 나보다 남을 배려하며 협동하는 학생,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학생,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창의적이고 덕망 높은 인재 육성에 있다. 교훈은 ‘사랑, 성실, 근면’이다. 1949년 9월 1일에 건국학원 및 건국중학교의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51년 7월 26일에...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건강한 심신을 바탕으로 지식 문화 사회를 이끌 창의적인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착하고 튼튼하고 쓸모 있는 사람’이다. 1927년 4월 23일에 지방 유지 어대성(魚大成)·강성문(姜成文)·송태승(宋泰昇)·장경택(張敬宅)·전성호(田聖昊)·김창태(金彰台) 등이 경남도립여자고등보통학교설립기...
-
부산광역시 서구 토성동 3가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자주와 창의를 바탕으로 배움을 통해 꿈을 이루는 건강한 인재를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스스로 다스리자, 서로 돕자, 날로 새로워지자’이다. 1942년 4월 30일에 부산제2공립중학교[5년제]로 설립 인가[10학급]를 받아, 서구 서대신동 1가의 당시 부산고등소학교 부지 내 임시 교사에서 개교[2학급]하였다...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의 건강을 바탕으로 기본 능력을 키워 가는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민주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사랑·근면·자립’이다. 1950년 6월 15일에 김민두가 명지고등공민학교를 개교[남녀 공학]하였다. 전쟁으로 인해 개교 후인 1954년 3월 12일에 명지학원의 설립을 인가받았다. 같은 해 12월 30일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내일의 꿈을 가꾸는 건강하고 창의적인 학생 육성’이다. 교훈은 ‘참되고[眞] 착하고[善] 아름답게[美]’이다. 1974년 12월 21일에 광무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5년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하였다[부산진구 부전동에서 개교]. 1991년 6월 7일에 부산진구 개금동 55번지 현 위치로...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 참되며 건강한 인재 양성’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참된 사람’이다. 1980년 3월 1일에 망미중학교로 설립 발족하였으나, 1981년 1월 17일에 광안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개교 및 입학식[10학급 676명]을 거행하였다. 1984년 2월 14일에 제1회 졸업식을 통해 10학급...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실력과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올바른 마음으로 오늘에 충실하여 내일에 이바지하는 사람이 되자’이다. 1980년 1월 24일에 모라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6일에 개교하였다. 1999년 3월 1일에 구남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31회 졸업식을 통해...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창의력과 조화로운 인성을 겸비한 건전한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되게[眞], 착하게[善], 아름답게[美]’이다. 1981년 1월 17일에 구서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3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982명]을 거행하였다. 2002년 7월 18일에 교기 육성을 위...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힘써 배우며 바르게 행동하고 남을 돕는 사람 육성’이다. 교훈은 ‘힘써 배우자 바로 행하자 서로 돕자’이다. 1972년 12월 29일에 구포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3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1980년 4월 11일에 본 교사를 신축 준공하여 그해 5월 2일에 덕천국민학교에 교사를 인계하고 현 위치로 이...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의적인 사고력을 지닌 지혜롭고 예절 바른 학생’이다. 교훈은 ‘지혜롭고 성실하며 예절 바른 사람’이다. 1994년 11월 11일에 금곡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5년 3월 6일에 개교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8대 안성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16회 졸업식...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와 인성을 갖춘 실력 있는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참되고 부지런하며 창의적인 사람이 되자’이다. 2001년 10월 1일에 금명중학교 설립 개교 조례가 통과하였으며, 2003년 3월 5일에 금명중학교로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2일에 제5대 김상옥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8회 졸업식...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의적인 사고력과 조화로운 인성 및 건강한 신체를 갖춘 민주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나를 아끼고 너를 도와서 우리의 보람을 빛내자’이다. 1979년 1월에 금사중학교[30학급]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에 개교 및 1학년 입학식[688명]을 거행하였다. 1982년 제1회 졸업식을 통...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예의 바르고 건전한 가치관을 가진 사람[인성 교육], 서로 협동하고 남을 위해 봉사하는 사람[민주 시민 교육],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사람[학력 신장], 깨끗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건강한 생활인[건강 교육] 육성에 있다. 개교 당시의 교훈은 ‘힘쓰자, 일하자, 감사하자’이며, 196...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갖춘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자율·봉사·협동’이다. 1967년 9월 8일에 금정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18학급]를 받아 1968년 3월 5일에 금정국민학교에서 제1회 입학식[6학급, 365명]을 거행하였다. 1970년 3월 2일에 현 위치에 신축 교사를 준공하고 학교를 이전하였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자비 정신을 바탕으로 한 자주적이며 도덕성을 지닌 민주 시민 육성에 있다. 교훈은 ‘창조, 근면, 봉사’이다. 1906년(고종 43) 6월 20일에 범어사 금어암에서 명정학교(明正學校)로 개교하였으며, 1908년(순종 2) 5월 1일에 사립 명정학교로 인가받았다. 1916년 2월 15일에는 범어사 침계료(枕溪寮)...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남을 배려하는 따뜻한 마음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정직·성실·창조’이다. 1954년 5월 31일에 기장중학교로 부산·경남단일교육청의 설립 인가[6학급, 6년제]를 받아 그해 7월 22일에 개교하였다. 1957년 3월 9일에 제1회 졸업식을 통해 56명이 졸업하였다. 1969...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학생의 신명 나고 행복한 삶’이다. 교훈은 ‘정직한 사람, 부지런한 사람, 슬기로운 사람’이다. 1946년 10월 25일에 대저고등공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49년 11월에 대저중학교[사립]로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1952년 9월 3일에 낙동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60년 2월 1일에 공립으로...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 2가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건강한 심신을 바탕으로 풍부한 정서를 가진 창의 인재를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명랑하게 서로 도우며 알아내자’이다. 1952년 3월 13일에 육영학원[1951년 10월 4일 설립 인가] 산하 한산여자중학교로 설립되었다. 1954년 1월 25일에 남도여자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현재 위치로 이...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과 창의력을 갖춘 큰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큰사람이 되자’이다. 1991년 1월 14일에 남산중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남산국민학교에서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1992년 2월 28일에 신축 교사가 준공되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1994년 2월 1...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예의 바르고 창의적이며 애국하는 건강한 한국인 육성’이다. 교훈은 ‘생각하는 사람, 부지런한 사람, 슬기로운 사람’이다. 1991년 1월 14일에 충렬여자중학교로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동래구 안락동에서 개교하였다. 2003년 3월 1일에 남일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남녀 공학제를 실시하였다. 2012...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건강한 심신을 바탕으로 지식 문화 사회를 이끌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예절 바른 사람이 되자’이다. 1984년 12월 29일에 남천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5년 3월 1일에 남구 대연동에서 개교하였다. 2000년 3월 1일에 남천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남녀 공학제...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 정보화 사회에 적응해 나갈 수 있는 창의적이고 도덕적인 민주 시민 육성에 있다. 교훈은 ‘사랑으로써 살자, 바르게 살자, 성실하게 살자’이다. 녹산중학교의 출발은 일제 강점기 연희전문학교를 나와 일본 도시샤대학 신학부를 졸업하고 목사가 된 강성갑에 의해 시작되었다. 강성갑은 광복 이후 고향인 의령...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더불어 사는 지혜를 익혀서 지식 기반 사회를 선도하는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자립, 봉사’이다. 1991년 1월 14일에 다대중학교로 설립 인가[36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과 함께 사하구 다대동에서 개교하였다. 1999년 3월 1일에 남녀 공학으로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창의적이고 능력 있는 민주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스스로 배워 바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큰 사람이 되자’이다. 1997년 1월 13일에 다선중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사하구 다대동에서 개교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7대 이상흔 교장이 취임하였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인성 교육 추진을 통하여 도덕적인 학생을 기르고, 교실 수업 개선을 통하여 창의적인 학생을 기르며, 지·덕·체의 조화로운 발달을 통한 건강한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창의적인 노력으로 성실한 삶을 가꾸자’이다. 1993년 2월 20일에 다대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10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사하구...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바른 인성을 지닌 건강한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스스로 배우자, 서로 돕자, 봉사하자’이다. 1967년 9월 8일에 부산구덕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8년 3월 7일에 개교하였다. 1969년 12월 13일에 부산서여자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70년...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의성과 올바른 인성을 갖춘 인재, 예절 바른 학생, 공부하는 학생, 봉사하는 학생을 기르는 것이다. 교훈은 ‘바르게 살자[정직], 알아내자[탐구], 만들어 내자[창조]’이다. 1948년 9월 9일에 대동학원이 설립되었고, 이어 1949년 3월 11일에 대동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7...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2가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미래형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뜻은 높게, 마음은 넓게, 생각은 깊게’이다. 1964년 12월 5일에 대신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각 학년 5학급]를 받아, 1965년 3월 6일에 개교하였다. 1968년 2월 25일에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79년 10월 2일에...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를 선도하는 창의력을 가진 건전한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참되고 부지런하며 창조하는 사람이 되자’이다. 1969년 10월 10일에 대연중학교로 설립 인가[42학급]를 받아, 1970년 3월 5일에 남구 대연동에서 개교하였다. 2002년 5월 1일에 남녀 공학제를 실시하였다. 1999년 3월에 강당...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를 선도해 나갈 실력인과 기본에 충실한 예절 바른 인격인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봉사’이다. 1954년 9월 4일에 명인학원 인가로 명인중학교로 출발해, 1957년 10월 6일에 영도구 신성동 2가에서 현 위치인 강서구 대저동으로 이전하였다. 1962년 8월 17일에 대저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심신이 건강하고 남을 배려하는 창의적 글로벌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되고 의롭고 슬기롭게’이다. 1982년 12월 27일에 대천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3년 3월 5일에 남구 대연동에서 개교하였다. 1983년 10월 10일에 야구부를 창단하였고, 2001년 3월 1일에 남녀 공학으로 개편하였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조화로운 인격을 갖춘 미래의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감사하는 마음으로 힘써 배우고 봉사하는 사람이 되자’이다. 2003년 1월 1일에 대청중학교로 설립 인가[8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8학급, 192명]을 거행하였다. 2006년 2월 24일에 제1회 졸업식을 통해...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즐겁게 배우고 예의 바르며 창의적인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지성껏 배우자, 지성껏 일하자, 지성껏 섬기자’이다. 1953년 8월 24일에 신민학원[1953년 7월 14일 설립] 산하 신민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았다. 1956년 3월 23일에 동성학원[1953년 3월 5일 설립]이 신민학원...
-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며 따뜻한 품성을 지닌 창의적 인재 양성’이다. 교훈은 ‘성실·협동·봉사’이다. 1947년 10월 5일에 천가공민중학교로 창설되었으며, 1948년 4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49년에 천가고등공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53년에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1954년 9월 1일에 덕문중학교로...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함께 노력하며 능력과 인성과 창의성을 갖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사랑하고[평화인], 깨끗하며[도덕인], 힘써 일하자[자활인]’이다. 1953년 9월 18일에 덕원중학교로 개교하였다. 2012년 2월 10일에 제57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2만 337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에 제9대 김...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실력과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고 스스로 하는 사람’이다. 1992년 2월 29일에 덕천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9대 이길만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19회 졸업식을 통해 165명이 졸업하여 총 6...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푸른 꿈 세워 미래를 설계하고 선도할 사람 육성’이다. 교훈은 ‘푸른 꿈 지니고 힘껏 배우자’이다. 1981년 12월 28일에 덕천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29회 졸업식을 통해 237명이 졸업하여 총 1만 4682명이 졸업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에...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생각하는 사람, 배려하는 사람, 건강한 사람’이다. 교훈은 ‘알뜰히 배우고, 참되게 살자’이다. 1982년 12월 27일에 덕포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3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13대 유영례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28회 졸업식을 통해 197명이 졸...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사립 여자 중학교. 교육 목표는 ‘역사와 전통의 토대 위에 창의적 경쟁력을 갖춘 홍익인간 육성’이다. 교훈은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판단하여 스스로 실천하자’이다. 1895년(고종 32) 10월 15일에 호주장로교선교회 여자 전도부가 부산진 좌천동에서 사립일신여학교[3년 소학교]를 설립하였다. 1905년(고종 42) 4월 15일에 부산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건강한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되고 부지런하여 쓸모 있는 사람이 되자’이다. 1898년(고종 35) 9월 1일에 신명록 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육영 사업 단체 기영회가 초등 교육 기관으로 동래성 내 군관청(軍官廳) 인근에 설립하여 1903년(고종 40)까지 존속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과 실력을 갖춘 건강하고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언제나 참되고 부지런히 배우며 푸른 꿈을 키우자’이다. 1988년 1월 6일에 동백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9년 3월 2일에 해운대구 중동에서 개교[남녀 공학]하였다. 2003년 11월 18일에 디지털 도서관을 개관하였고, 2004...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었던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이고 심신이 건강한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성실한 마음, 협동하는 태도, 자율적인 행동’이다. 1982년 12월 27일에 동삼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27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영도구 동삼동의 부산남고등학교 내 임시 교사에서 개교하였다. 1984년 2월 22일에 영도구 동...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하여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사람, 바른 인성과 가치관을 가진 올바른 사람, 기초 체력을 단련하여 심신이 건강한 사람 육성’이다. 교훈은 ‘정직, 성실, 근면’이다. 1970년 1월 13일에 동광학원[1968년 11월 21일 설립 인가] 산하 수영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할 건강하고 실력 있는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살기 좋은 사회 건설에 크게 공헌하는 사람이 되자’이다. 1974년 12월 21일에 동신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5년 3월 5일에 금정구 부곡동에서 개교하였다. 1979년 2월 19일에 동래구 명장동의 현 교사로 이전하였다. 201...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 정보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도덕적인 인간, 공동체 의식을 갖고 민주 시민 정신을 함양하는 인간, 소질을 계발하고 창의력을 키우는 인간 육성에 있다. 교훈은 ‘성실, 근면, 협동’이다. 1946년 3월 10일에 동구 수정동 부산일보사 사옥 자리에 공생중고등학교로 설립되어 개교하였으며, 1947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강인한 체력과 올바른 인성을 지닌 창의력 있는 학생을 기르자’이다. 교훈은 ‘정직하고 창의적이며 봉사하는 사람’이다. 2003년 12월 16일에 동양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4년 3월 4일에 개교하였다. 개교 당시 교사가 완공되지 않아 인근의 동양초등학교에서 수업을 시작하였다가 20...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예의 바르고 실력 있는 건강한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참되게 배우고 바르게 실천하자], 창의[슬기롭게 생각하고 새롭게 창조하자], 협동[서로 돕고 잘 사귀자]’이다. 1966년 11월 27일에 동의중학교로 설립 인가[각 학년 4학급, 총 12학급]를 받아, 1967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2...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사립 여자 중학교. 교육 목표는 ‘지덕체를 겸비한 창의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배우면서 일하고 서로 돕고 즐겁게 살자’이다. 동주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은 부산상업야학교이다. 1919년 5월에 부산교육회가 운영하던 부산실업야학교를 수산업을 경영하던 일본인 향추원태랑(香椎源太郞)[카시이켄따로]이 부산상업야학...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과 실력을 기르는 건강하고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알차게, 바르게, 굳세게’이다. 1984년 1월 7일에 동주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2년 9월 3일에 제14대 박희원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27회 졸업식을 통해 230명이 졸업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알찬 실력으로 한국과 세계를 바르게 선도할 건강한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나 자신을 알아 노력하고 고마움에 보답하자’이다. 1980년 1월 24일에 동평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6일에 개교 및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1대 송광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창의성과 바른 인성을 가진 건강한 청소년 육성’이다. 교훈은 ‘참되고 알차게 배우며 서로 도와 날로 날로 나아가자’이다. 1981년 1월 17일에 동평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12대 유창준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 주도적으로 학력을 신장하고 창의성을 기르며 더불어 사는 삶을 추구하는 건전한 청소년 육성’이다. 교훈은 ‘슬기로운 행동, 나누는 삶, 튼튼한 몸’이다. 1980년 1월 24일에 감만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남구 감만동에서 개교하였다. 2001년 3월 1일에 동항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사립 남자 중학교. 교육 목표는 ‘어른을 공경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인간상을 정립하고, 창조적인 가치관을 지닌 미래의 지도자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지,덕,체를 겸비한 앞날의 지도자가 되자'이다. 1967년 11월 27일에 화봉학원[1967년 3월 25일 설립] 산하 동해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8년 3월 7일에 개교하였다. 19...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전한 가치관과 도덕성을 함양하여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키우고,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스스로 다스리고 알차게 공부하여 슬기로운 사람이 되자’이다 1981년 12월 28일에 동현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11학...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으로 사고하며 성실하게 실천하는 심신이 건강한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창의, 자율, 협동’이다. 2005년 10월 15일에 두송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6년 3월 3일에 사하구 다대동에서 개교하였다. 2012년 2월 9일에 제4회 졸업생을 통해 292명이 졸업하여 총 1,307명의 졸업생을...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정직하고, 창의적이며, 건강한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진리, 정의, 강건’이다. 1998년 12월 29일에 만덕중학교로 교명을 확정하였고, 1999년 1월 14일에 27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5대 박성근 교장이 취임하였다. 2...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예의 바르고 실력 있는 건강한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슬기로 넋을 갈고 아름다이 마음을 닦아 스스로 꿈을 가꾸는 학생이 되자’이다. 1981년 12월 28일에 망미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10학급, 651명]을 하였다. 2001년 3월 1일에 남녀 공...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바른 인성을 지닌 창의적인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창조, 봉사’이다. 2003년 1월 3일에 명진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4일에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9회 졸업식을 통해 351명이 졸업하여 총 3,26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에 제5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올바른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이고 건강한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하게 꿈을 키워 온 누리에 이바지하는 큰길에 살자’이다. 2008년 11월 5일에 명호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9년 3월 2일에 개교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2대 김명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열어 나갈 창의적이고 참된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참되고 부지런하자’이다. 1994년 2월 26일에 모동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17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5,28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그해 3월 1일에 제10대 오기한 교장이 취임...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나눔과 배려하는 마음을 지닌 건강하고 반듯한 사람 육성’이다. 교훈은 ‘밝게, 바르게’이다. ‘밝게’는 명랑과 희망을 상징하고, ‘바르게’는 성실과 참, 용기를 상징한다. 1989년 1월 6일에 모라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8일에 개교하였다. 2010년 3월 1일에 제8대 황...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가꾸고 사랑을 실천하는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근면, 순결’이다. 1975년 11월 14일에 문현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6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07년 9월 24일에 수학 영재 학습실을 개관하였고, 2009년 10월 5일에 세심정을 설치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 교육 목표는 ‘건강한 심신과 튼튼한 기초 위에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창의적인 학생 육성’이다. 교훈은 ‘새롭게, 아름답게, 참되게’이다. 1979년 4월 14일에 반송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0년 3월 6일에 해운대구 반송동에서 개교하였다. 2011년 3월 2일에 제14대 정석근 교장이 취임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이고 건강한 글로벌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한 사람, 건강한 사람, 필요한 사람’이다. 1974년 1월 5일에 반송중학교[남녀 공학]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해운대구 반송동에서 개교하였다[개교 기념일은 5월 10일]. 1982년 2월 28일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나갈 창의적인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정직, 협동, 봉사’이다. 2002년 1월 1일에 반안중학교로 설립 인가[남녀 공학]를 받아, 2002년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을 통해 244명이 입학하였다. 2010년 3월 1일에 제4대 강경희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예의 바른 미래 지향적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창조적이고 자주적이며 협동하는 마음으로 꿈을 키우는 사람이 되자’이다. 1991년 5월 13일에 반여중학교로 설립 인가[남녀 공학]를 받아, 1993년 3월 5일에 해운대구 반여동에서 개교하였다. 2012년 9월 3일에 제8대 조현규 교장이 취임...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이고 성실하며 건강한 인간 육성’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튼튼하며 큰 꿈을 키워 가는 사람’이다. 1984년 12월 29일에 백양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5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11대 차상몽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26회 졸업식을 통해 237명이...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실천 중심 인성 교육을 통한 실력 높이기’이다. 교훈은 ‘참되고 깨끗하며 슬기롭게 살자[眞善美]’이다. 1981년 12월 28일에 부곡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11학급, 691명]을 거행하였다. 1985년 2월 16일에 제1회 졸업식을 통해 689명[11학급...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배움과 꿈을 키워 가는 창의적인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부지런히 배우고 서로 도와 성실하게 살자’이다. 1969년 11월 10일에 교사 신축 공사를 시작하였다. 이듬해인 1970년 1월 13일에 부곡중학교로 설립 인가[15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4학급...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학교 설립 목표는 ‘개물성무(開物成務)[만물의 이치를 깨달아 천하의 모든 일을 성취한다]’이고, 교육 목표는 ‘기본이 바로 된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할 바에는 잘하자, 학교는 친구를 사귀는 곳이니라, 글을 배우기 전에 먼저 사람이 되자’이다. 1895년(고종 32) 5월 22일에 박기종 외 4명이 개성학교를 설립...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하는 도덕적이고 창의적인 글로벌 리더 육성’이다. 교훈은 ‘자주·협동·창의’이다. 1997년 12월 24일에 국제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1998년 3월 4일에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1999년 2월 18일에 부산국제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그해 11월 17일에 특성화 중학교로 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 알찬 실력, 따뜻한 품성을 지닌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하고 부지런하며 자활하는 사람이 되자’이다. 부산내성중학교의 모체는 1938년에 개교한 동래공립농업실수학교에서 변화한 부산공립원예전수학교이며, 1946년 9월 1일에 부산공립원예중학교[6년제]로 승격하여 개교하였다....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이고 올바른 가치관을 지닌 건강한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알아내자, 실천하자, 서로 돕자’이다. 전신인 경남상업중학교[최초 1906년(고종 43) 부산공립상업전수학교, 이후 부산제1공립상업학교]에서 부산제1상업고등학교[이후 경남상업고등학교, 현 부경고등학교]와 분리하여 1951년 8월 31일에...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바른 인성과 실력 있는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고운 맘씨, 고운 말씨, 고운 맵시, 고운 솜씨’이다. 1970년 1월 13일에 부산동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18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0년 3월 2일에 제16대 백인희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예절 바르고 부지런하며 창의적 능력을 발휘하는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진실·노력·창조’이다. 1953년 4월 20일에 평화중학교로 개교하였고, 1954년 7월 27일에 평화학원이 설립 인가되었다. 1974년 2월 16일에 부산동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84년 7월 6일에 법인명을 구암학원으로 변...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이고 부지런하며 봉사하는 사람, 넉넉하고 따뜻한 심성과 민주적 자율성을 함양하여 인간 존중의 덕성과 자기 주도적 능력을 갖춘 사람, 창의적 정보 활용 능력과 합리적 판단을 함양하여 지식 기반 사회를 이끌 사람을 기르는 것이다. 교훈은 ‘부지런하며 서로 돕는 사람이 되자’이다. 1946년 7월 2일에 부산사범학...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창의력과 인성을 겸비한 민주 시민을 양성한다’이다. 교훈은 ‘성실(誠實)·근면(勤勉)·협동(協同)’이다. 1954년 11월 15일에 수영중학교의 설립 기성회를 발족하여 1955년 6월 20일에 수영중학교로 개교[현 수영한서병원 자리]하였다. 1958년 3월 6일에 제1회...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으로 꿈을 키워 가는 창의적인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새롭게 살자[나날이 새롭게 살아갈 수 있는 쓸모 있는 슬기로운 여성]’이다. 부산여자중학교의 전신은 1906년(고종 43) 4월 1일에 설립된 일본인 학교인 부산공립고등여학교이다. 해방 이후 1945년 10월 1일에 부산공립...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 3가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성실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한 마음을 기르자, 튼튼한 몸을 기르자, 스스로 공부를 잘하자’이다. 1953년 5월 1일에 부산남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6월 15일에 영도구 신선동 3가에서 개교하였다. 2000년 3월 1일에 부산영선중학교로...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사립 예술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성을 바탕으로 고급 예술 문화와 사회를 선도하는 예술인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늘 새롭고 참된 아름다움’이다. 동래학원이 1998년 9월 19일에 부산광역시 교육청으로부터 부산예술중학교의 인가를 받아, 1999년 3월 4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음악 2학급, 미술 1학급, 126명]을...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할 경쟁력 있는 여성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슬기롭게 생각을 일구고 바르게 마음을 가꾸어 높푸른 꿈을 이루자’이다. 1960년 3월 11일에 부산중앙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18학급]를 받아, 그해 5월 3일에 서구 서대신동 1가의 부산여자고등학교 내 임시 교사에서 개교하였다. 1967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방곡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건강한 심신을 갖춘 창의적인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배우고 실천하자’이다. 1960년 3월 11일에 부산중앙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15일에 경남공업고등학교 임시 교사에서 개교하였다. 1964년 12월 20일에 부산진구 전포동으...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기본 학력과 바른 인성을 갖춘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감사하자, 굳세자, 힘쓰자’이다. 1945년 10월 10일에 부산공립중학교로 개교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분리 시책에 따라 1951년 8월 31일에 부산동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그해 9월 1일에 부산동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53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갖춘 슬기로운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항상 부지런하고 날로 새로워지며 슬기롭게 살자’이다. 1953년 5월 1일에 부산북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5월 26일에 동부산중학교에서 3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54년 3월 21일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큰 꿈, 바른 생각, 새로운 도전 정신으로 세계를 품을 수 있는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서로 돕자, 부지런하자, 새롭게 살자’이다. 1967년 9월 8일에 부산가야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8년 3월 11일에 부산상업고등학교 내에서 개교[6학급, 326명]하였다. 1969년 5월 13일에 부산...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 사고와 넉넉한 품성을 바탕으로 명예를 존중하고 국위를 선양할 수 있는 체육인 육성’이다. 교훈은 ‘땀이 강물이 되고 신이 잠에서 깨고’이다. 1973년에 부산체육학교로 개교하였다. 1975년까지 중학교 교육 과정으로만 운영하다가 1976년에 부산체육고등학교가 개교되면서 2012년까지 체육 고등학교 교육...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갖춘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바르고 착하며 성실한 사람이 되자’이다. 1996년 1월 17일에 부흥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해운대구 좌동에서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2일에 제7대 박성철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16회...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 교육 목표는 ‘기초·기본 교육에 충실한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창의적이며 성실한 사람이 되자’이다. 2002년 1월 1일에 분포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남구 용호동에서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5대 문정순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11회...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사립 예술 중학교. 교육 목표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사람을 사랑하고 자연을 사랑하는 전인적 인격을 갖춘 사람을 기른다, 창의성 계발을 위한 차별화된 교과 교육과 예술 전문 교육을 통하여 창의적 재능을 발견하고 꾸준히 신장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1. 나는 하나님과 사람과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 되련다, 2....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아름다운 감성으로 꿈을 키우는 실력 갖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알뜰한 참여성’이다. 1976년 12월 28일에 사직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아, 1977년 3월 4일에 동래구 사직동에서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3대 진명순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3...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과 창의력 신장으로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사직인 육성’이다. 교훈은 ‘명랑한 사람, 노력하는 사람, 은혜를 아는 사람’이다. 1981년 1월 15일에 사직중학교로 설립 인가[13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동래구 사직동에서 개교하였다. 2012년 2월 14일에 제29회 졸업식을 통해 379명이...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따뜻한 품성을 지닌 창의적인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성실과 협동’이다. 1970년 1월 13일에 사하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사하구 괴정동의 임시 교사에서 개교하였다. 같은 해 6월 3일에 현 교사를 준공하여 개교하였다. 2003년 3월 1일에 남녀 공학으로 변경하였다. 2...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에 있던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에 적응할 창의적이고 도덕적이며 건강한 사람 육성’이다. 교훈은 ‘큰 뜻을 품고, 부지런히 배워, 슬기롭게 실천하자’이다. 1990년 1월 24일에 삼락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21회 졸업식을 통해 88명이 졸업하여 총 4,673명의 졸업생을 배...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튼튼한 몸으로 예의 바르게 배움에 앞서는 창의 인재를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튼튼한 몸으로 예의 바르게 배움에 앞서자’이다. 1955년 2월 28일에 삼성학관 산하 삼성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4월 6일에 사하구 감천동[현 장평중학교 부지]에서 개교하였다. 1882년 3월 2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슬기로우며, 튼튼하고 창의적인 인간 육성’이다. 교훈은 ‘바르게, 슬기롭게, 튼튼하게’이다. 1997년 1월 13일에 상당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3일에 해운대구 좌동의 부흥중학교 구내에 개교하였다. 1997년 5월 29일에 해운대구 좌동의 신축 교사[현 교사]로 이전하였다. 2011년 3...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창의적이고 예절 바른 사람을 기르는 것이다. 교훈은 ‘예절 바른 사람, 창조력을 지닌 사람, 자주성을 지닌 사람, 협동 봉사하는 사람, 건강한 사람’이다. 1948년 4월 1일에 성지중학교로 개교하여 1953년 1월 7일에 북부산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이후 1976년 12월 11일에...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참되고 건강하며 실력 있는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히 배우자, 감사할 줄 알자, 이웃을 사랑하자’이다. 1981년 1월 17일에 석포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남구 용당동에서 개교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강평경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30회 졸업...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1. 배려할 줄 아는 학생, 2. 탄탄한 학력을 갖춘 학생, 3. 창의롭고 건강한 학생, 4. 문화적 소양이 풍부한 학생’이다. 교훈은 ‘참되게[眞], 착하게[善], 아름답게[美]’이다. 1964.10.10. 재단법인 새한의숙 인수, 새한중학교 초대 교장 남기열 취임 1965.02.24. 재단명 선화학원, 교명...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성실하고 건강하며 조화로운 성동인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협동, 창조’이다. 1972년 6월 3일에 성동중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아, 1973년 3월 1일에 남구 문현동에서 개교하였다. 2010년 3월 2일에 제14대 권봉영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38회 졸업식을 통해 300명...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슬기롭게 이끌어 갈 바르고 건강하며 창의적인 민주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되고 건강하며 슬기롭게’이다. 2005년 10월 15일에 센텀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6년 3월 3일에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5회 졸업식을 통해 352명이 졸업하여 총 1,680명의 졸업생을...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성실한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는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서로 힘써 돕자, 좋은 벗이 되자, 높은 뜻을 품자’이다. 1955년 4월 2일에 백민학원[1955년 3월 8일 설립] 산하 송도중학교로 설립 인가[6학급]를 받았다. 1957년 10월 1일에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2007년 9월 1일에 제11대 성...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 인재를 육성하고, 남을 위해 봉사하는 선량한 품성을 지닌 신체 건강한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자율, 창의, 봉사’이다. 1997년 1월 13일에 신곡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해운대구 중동의 해운대초등학교 구내에서 개교하였다[개교 기념일은 5월 6일]. 19...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실력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이끌 창의적이고 건강한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바른 꿈을 갖고 슬기롭게 행동하며 보람된 삶을 살자’이다. 2003년 12월 31일에 신덕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4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7회 졸업식을 통해 329명이 졸업하여 총 2...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가꾸며 조화로운 인성을 갖춘 건강한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되게, 굳세게, 아름답게’이다. 1997년 1월 13일에 신도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3일에 해운대구 좌동에서 19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7대 최주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0일에 제15회...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박애 육영(博愛育英)[박애주의 실천의 영재 교육]의 정신으로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슬기로운 생각, 탐구하는 태도, 봉사하는 생활’이다. 신라중학교는 박영학원[이사장 박영택]이 설립한 사립 중학교이다. 1967년 10월 28일에 부일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 3가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글로벌 시대의 창의력과 바른 인성을 갖춘 건강한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알차게 배우자, 바르게 행동하자, 굳세게 자라자’이다. 1970년 1월 29일에 신선중학교로 설립 인가[39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350명]과 함께 영도구 신선동 3가에서 개교하였다. 2000년 3월 1일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과 실력이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푸른 꿈, 바른 마음, 굳센 의지’이다. 2008년 11월 5일에 신정중학교로 개교 설립을 공포하였다. 2009년 3월 1일에 개교하였고, 그해 3월 3일에 제1회 입학식[3학급, 60명]을 거행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2대 김영옥 교장...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학력 향상에 주력하고 실천·체험 중심의 인성 교육과 창의적 사고를 신장하는 교육에 힘쓴다’이다. 교훈은 ‘성실과 협동으로 창조하는 사람이 되자’이다. 1984년 12월 29일에 안락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5년 3월 11일에 동래구 안락동에서 개교하였다. 2003년 3월 1일에 남녀 공학제로 변경하였다...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기초 학력을 증진하고, 정직하며 예의 바른 학생 육성’이다. 교훈은 ‘진리 탐구, 정의 구현’이다. 1974년 2월 27일에 소년의 집 실업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2일에 개교하였다. 그해 3월에 남학생 축구부를 창단하였고, 1981년 11월에 신축 공사가 준공되어 현재의 교사로 이전하였다. 19...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창의적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부지런하며 창조하는 사람이 되자’이다. 1993년 2월 20일에 양덕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18회 졸업식을 통해 177명이 졸업하여 총 6,03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새로운 지식 기반 사회에서 능동적으로 살아갈 인간다운 인간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창의적인 사람, 성실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2006년 11월 6일에 양동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7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2대 김태수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교실 수업 개선을 통하여 창의적인 학생을 기른다, 인성 교육 추진을 통하여 도덕적인 학생을 기른다, 지·덕·체의 조화로운 발달을 통한 건강한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꿈을 찾고 키우는 사람’이다. 1998년 1월 6일에 양운중학교로 설립 인가[23학급]를 받아, 그해 3월 4일에 해운대구 좌동에서 개교하였...
-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가슴[愛], 슬기로운 머리[智], 미래를 보는 눈[創]을 가진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참되게[Be true], 부지런하게[Be diligent], 날로 새롭게[Be new]’이다. 1981년 1월 17일에 엄궁중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2년 2월 10일 제29회 졸업...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학력 신장으로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사람, 바른 인성과 가치관을 가진 올바른 사람, 기초 체력을 단련하여 심신이 건강한 사람’이다. 교훈은 ‘드높은 이상, 꾸준한 실천’이다. 1984년 12월 29일에 여고(余古)중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를 받아, 1985년 3월 1일에 동래구 사직동에서 개교하였...
-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에 있는 학력 인정 평생 교육 시설 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건전한 가치관을 지닌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꿈을 실현하는 예능인·기능인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예절, 지혜, 봉사’이다. 1998년 8월 6일에 신성여자상업고등학교 병설 신성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9년 2월 26일에 금정구...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이고 건강한 청소년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착하고 바르게’이다. 1978년 1월 30일에 연산중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아, 그해 3월 6일에 현재의 연동초등학교 위치에서 개교하여 제1회 입학식[10학급, 629명]을 거행하였다. 1979년 2월 27일에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인성이 바른 창의적이고 건강한 인재를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바르며 부지런한 사람이 되자’이다. 1981년 1월 20일에 연산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15학급]을 하였다. 2002년 3월 1일에 연일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남녀 공학으로 개편하였다. 2...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지식 문화 사회에 부응할 창의력[知]과 따뜻한 품성[德]을 갖춘 건강한[體] 학생으로 기른다’이다. 교훈은 ‘바르고 건강하며 슬기롭게’이다. 1984년 12월 29일에 동명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5년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11학급]을 하였다. 동명국민학교 임시 교사에서 개교하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건강한 몸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미래 사회를 주도할 창의적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한다’이다. 교훈은 ‘공부하자, 효도하자, 건강하자’이다. 1982년 12월 27일에 연천중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아, 1983년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10학급, 644명]을 하였다. 2...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큰 뜻을 품고 바르게 행동하는 건강한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연꽃처럼 맑고 깨끗하게’이다. 1952년 6월 25일에 영남학원[설립자 이우룡] 산하 동신중학교로 개교하였다. 1959년 2월 7일에 영남제일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83년 10월 31일에는 영남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같은 해 1...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사고와 올바른 가치관을 지닌 건강하고 참된 인간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건강하게 참되게 슬기롭게’이다. 1993년 2월 26일에 영도중학교로 설립 인가[남녀 공학, 27학급]를 받아, 같은 해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478명]과 함께 영도구 동삼동에서 개교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8대 박...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예의·실력·건강을 갖추고 애국하는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협동, 창의’이다. 2008년 11월 5일에 오륙도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9년 3월 3일에 남구 용호동에서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2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같은 해 3월 1일에 제3대 김종숙 교장이 취임하였다....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민주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된 사람, 슬기로운 사람, 정의로운 사람’이다. 1989년 1월 6일에 온천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동래구 온천동에서 개교하였다. 1998년 3월 1일에 온천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남녀 공학제를 실시하...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정보화 사회를 선도할 창의력과 더불어 사는 공동체 의식을 지닌 자주적이고 건강한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건강하고, 슬기롭고, 성실한 사람’이다. 1984년 1월 7일에 용호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남구 용호동에서 개교하였다. 1999년 3월 1일에 용문중학교로 교명을...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핵심 역량을 갖춘 창의적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튼튼한 몸과 밝은 마음으로 미래를 열어 가는 성실한 사람’이다. 2001년 1월 17일에 용수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2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5대 권혜선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기초·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남을 배려할 줄 알며 심신이 건강한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근면, 창조, 봉사’이다. 1984년 10월 29일에 남자 중학교인 용호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5년 3월 5일에 남구 용호동 현 부산디자인고등학교 부지에서 개교하였다. 1999년 3월 1일에 남녀 공학제로 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으로 열심히 배우고 올바르게 행하는 민주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스스로 갈고닦아 내일의 꿈을 가꾼다’이다. 1992년 8월 3일에 운송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4년 3월 5일에 해운대구 반송동에서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17회 졸업식을 통해 207명이 졸업하였다. 같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고운 심성과 지성을 지닌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올바르게 생각하자, 검약한 생활을 하자, 어디서나 등불이 되자’이다. 1974년 12월 21일에 유락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5년 3월 5일에 동래구 낙민동의 전 유락국민학교 부지에서 개교하였다. 1981년 6월 25일에 동래구 온천동의...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믿음 위에 배움을 쌓는 겨레의 일꾼 육성’이다. 교훈은 ‘믿음의 사람, 배움의 사람, 일하는 사람’이다. 1964년 12월 2일에 복음학원[1964년 10월 설립] 산하 정화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5년 3월 10일에 개교 및 입학식을 하였다. 같은 해 12월 3일에 이사벨여자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심신과 창의성 및 바른 인성을 지닌 미래 지향적인 인재를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참되게, 슬기롭게, 굳세게’이다. 2003년 1월 1일에 인지중학교로 설립 인가[12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해운대구 반여동에서 개교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4대 서수옥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글로벌 시대를 주도할 창의력을 갖춘 건강한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바르게 알고 봉사하는 참된 사람이 되자’이다. 1986년 1월 8일에 장림중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 남녀 공학]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486명]과 함께 사하구 장림동에서 개교하였다. 1987년 3월 1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이고 예의 바르며 봉사할 줄 아는 민주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꿈이 있는 사람’이다. 2006년 11월 6일에 장산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7년 3월 3일에 해운대구 반여동에서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4회 졸업식을 통해 372명이 졸업하여 총 1,42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고운 심성과 참된 지혜로 창의·개척하는 예절 바른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정직하게 사고하고 성실하게 행동한다’이다. 1952년 2월 23일에 좌천학원[1951년 10월 7일 설립 인가] 산하 장안중학교로 설립되어 개교하였다. 1997년 10월 17일에 흥진학숙으로 법인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알찬 실력과 따듯한 품성을 가진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성실·창조·봉사’이다. 1986년 1월 8일에 장전중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를 받아, 같은 해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498명]을 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10대 류인자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에 부응할 창의력[知]과 바른 인성[德]을 갖춘 건강한[體]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스스로 배워 알차고 바른 사람이 되자’이다. 1981년 12월 28일에 장평중학교로 설립 인가[남자 중학교]를 받아, 1982년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12학급, 767명]과 함께 사하구 감천동의 임시 교사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슬기롭게 생각하고 아름답게 행동하는 참된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아름다운 참된 사람이 되자’이다. 1984년 1월 7일에 재송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해운대구 재송동에서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2대 황대식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과 알찬 실력을 갖춘 창의적 민주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성실’이다. 1981년 1월 17일에 재송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해운대구 재송동에서 개교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제13대 양병춘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30회 졸업식을 통해 270명이...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키우고, 서로 사랑하며, 소통하고 배려하는 주감인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誠實)·근면(勤勉)·협동(協同)’이다. 1993년 12월 26일에 주감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8학급]를 받아, 1994년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8학급, 440명]을 하였다. 2000년 3월 1일에 남녀 공학으로 개편...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당당한 실력과 따뜻한 문화 감성을 지닌 창의적인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참되게 아름답게 날로 새롭게’이다. 1977년 12월 31일에 주례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8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15대 이월숙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33회 졸업식...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창의·인성 교육의 바탕 위에 지식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지식을 함양하여 강인하고 도덕적인 지도자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큰 꿈과 따뜻한 가슴, 값진 땀으로 세계를 이끌 주례인’이다. 1970년 1월 13일에 주례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같은 해 7월 11일에 신축 교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를 선도하는 창의적인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힘써 배우고 서로 도와 참되게 살자’이다. 1982년 12월 17일에 초읍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3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01년 3월 1일에 초연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28회 졸업식을 통해 208...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탄탄한 학력, 폭넓은 인성, 체험 중심 진로의 옹골진 교육으로 실속 있는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맡은 일을 다하며 서로 돕는 참된 일꾼이 되자’이다. 1992년 2월 8일에 초읍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6일에 개교하였다. 2000년 5월 9일에 남녀 공학으로 개편하였다. 2013년 2월...
-
부산광역시 서구 초장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강인한 체력[體]과 올바른 인성[德]을 갖춘 창의력[知] 있는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성실하자, 창조하자, 협동하자’이다. 1984년 1월 7일에 초장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10학급, 657명]과 함께 서구 초장동에서 개교하였다. 2012년 2월...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인간의 존엄성을 알며 도덕적으로 성숙한 사람[도덕인], 지식 정보화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적인 사람[창조인], 바른 인성을 기반으로 한 건강한 사람[건강인], 지역 사회를 이해하고 개성적 특기가 있는 사람[기능인]’이다. 교훈은 ‘밝게, 사이좋게, 끈기 있게’이다. 1979년 1월 31일에 안락여자중학교로 설립...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건강한 심신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이끌 창의적인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큰 꿈을 지니고 서로 도우며 배움에 힘쓰자’이다. 1974년 12월 21일에 영도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5년 3월 1일에 영도구 신선동 3가의 부산남여자중학교 내 임시 교사에서 제1회 입학식[9학급]과...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과 창의성을 지닌 건강한 토현인 육성’이다. 교훈은 ‘창조(創造)·성실(誠實)·봉사(奉仕)’이다. 1987년 1월 16일에 토현중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8학급, 463명]을 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24회 졸업식을 통해 275명이 졸업하...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 기반 사회를 이끌어 갈 창의력과 바른 인성을 지닌 건강한 민주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성실, 창조, 봉사’이다. 1993년 2월 20일에 하남중학교로 설립 인가[남자 중학교, 24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436명]과 함께 사하구 하단동에서 개교하였다. 2000년 3월 1일에...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갖춘 건강한 학생 육성’이다. 교훈은 ‘바르게, 건강하게, 슬기롭게’이다. 1981년 1월 17일에 사하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8학급, 536명]과 함께 사하구 하단동의 임시 교사에서 개교하였다. 1982년 2월 22일에 사하구 하단동의 현 교사로...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사립 여자 중학교. 교육 목표는 ‘기본이 바로 선, 창조와 봉사의 생활인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과 협동으로 창조하는 생활인이 되자’이다. 1946년 11월 6일에 동래가정여학원으로 창립 개교하였으며, 1947년 7월 18일에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49년 5월 20일에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1951년 8월 6일에 학산학원 및...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 문화 사회를 주도할 창의력을 가진 인재를 기른다[知], 올바른 인성을 가진 학생으로 기른다[德], 굳건한 체력과 심신이 건강한 학생으로 기른다[體]’이다. 교훈은 ‘생각은 깊게, 행동은 바르게, 생활은 지혜롭게’이다. 1981년 12월 28일에 학장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3월 5일에 개...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인간 육성, 품위 있고 예절 갖춘 학생, 건전한 심신 단련’이다. 교훈은 ‘슬기롭게 부지런히 아름답게’이다. 1969년 10월 10일에 광안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45학급]를 받아, 1970년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하였다. 2002년 3월 1일에 남녀 공학으로 개편하고, 한바다중학교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기초 기본 학력이 탄탄하고 예절이 바르며 건강한 청소년을 기르는 데 있다. 교훈은 ‘힘 기르고 뭉쳐서 통일의 역군 되자’이다. 1949년 10월 20일에 학교법인 항도학원이 설립되었으며, 항도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최승일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65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 함양과 알찬 교육으로 건강하고 창의적인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참되게, 부지런하게, 슬기롭게’이다. 2003년 10월 1일에 해강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5년 2월 5일에 신축 교사를 준공하고 그해 3월 4일에 제1회 입학식[322명]과 함께 개교하였다. 2010년 5월 4일에 류...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바른 심성과 창의성을 지닌 건강한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참되자, 알자, 힘쓰자’이다. 1946년 4월 8일에 불교경남교무학원 설립으로 개교하였으며, 그해 9월 5일에 해동초급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52년 3월 2일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분리하여 해동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행하며 서로 배려하고 자기 계발에 힘쓰는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되게 배우자, 아름답게 자라자, 스스로 일하자’이다. 1970년 1월 14일에 대연학원[1968년 12월 7일 설립] 산하 대연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12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3학급]과 함께 남구 대연동에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아름다운 품성과 뛰어난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힘써 배우고 튼튼히 자라서 참된 사람이 되자’이다. 동광학원[현 동해학원, 1967년 설립]이 1972년 12월 29일에 해운대중학교의 설립 인가를 받았고, 1973년 3월 2일에 해운대중학교로 개교하여 7학급에 420명의 신입생...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예의 바르며 미래 지향적인 인간 육성’이다. 교훈은 ‘밝고 굳세게’이며, 교육 정신은 ‘의에 죽고 참에 살자’이다. 학생 생활신조는 ‘웃으면서 일하는 사람이 되자’이다. 1955년 12월 30일에 혜화학원[1954년 12월 6일 설립] 산하 혜화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56년 4월 5일에 개...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꿈이 있고 신뢰받으며 더불어 살아가는 건강하고 실력 있는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스스로 생각하며 꾸준히 노력하자’이다. 1986년 1월 8일에 화명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13대 곽순봉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25회 졸업식을...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새로운 생각, 바른 행동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생각은 새롭게 행동은 바르게’이다. 1993년 2월 20일에 화신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10대 전명숙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18회 졸업식을 통해 369명이 졸...
고등학교
-
부산광역시에 있는 중학교와 대학교 사이의 중등 보통 교육 기관. 1. 개항기 부산 지역의 중등 교육의 역사는 1895년(고종 32)에 박기종(朴琪淙) 등에 의해 설립된 사립부산개성학교(私立釜山開成學校)로부터 시작된다. 사립부산개성학교는 1897년(고종 34)에 한국공립부산개성학교로, 1907년(순종 1)에 사립부산개성일어학교로 교명이 바뀌어 운영되어 오다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을 지닌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인간 육성’이다. 명지학원이 1973년 11월 1일에 구 항도고등학교를 인수하고, 1974년 3월 5일에 부산가야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여 개교하였다. 같은 해 3월 28일에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으며, 1994년 1월 1일에 가야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남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심신이 건강한 금학인, 성실하고 자율적이며 창조적인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자율, 창조’이다. 1988년 12월 21일에 개금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89년 1월 20일에 제1차로 교실 10개, 관리실 5개, 부대시설 2개를 준공하여 그해 6월 5일에 개교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품성과 창의성을 갖춘 개성인(開成人) 육성’이다. 교훈은 ‘인품을 함양하고 신체를 단련하며 실학을 연마하여 생활의 힘을 배양한다’이다. 1895년(고종 32) 5월 22일에 박기종 외 4명이 부산개성학교를 설립할 것을 결의하여 1896년(고종 33) 2월 14일에 당시 학부[현 교육부]에서 설립 인가를...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인간 중심 교육의 바탕 위에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의력과 인성을 겸비한 민주 시민을 양성한다’이다. 교훈은 ‘진실, 노력, 협동’이다. 건국학원[1949년 설립]이 1955년 4월 9일에 건국상업고등학교의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82년 3월 2일에 중구 영주동에서 사하구 하단동 산41번지로 이전하였다....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전한 품성과 실력을 갖춘 자랑스런 경고인, 건강하고 자주적이며 창의적인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근검 자립하자, 규율을 지켜 자유롭게 살자, 책임을 다해 얼려 살자’이다. 1942년 4월 30일에 부산제2공립중학교로 개교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 일시 폐교되었다가 미군정이 그해 10월 1일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전문계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지닌 건강하고 자율적인 기술인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자율, 창의’이다. 1944년 2월 11일에 일제의 공업 교육화 정책으로 부산제2공립공업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부산제2공립상업학교를 변환하여 1944년 4월 21일에 개교하였다. 설립 당시 건축과와 조선과를 설치하여 제...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할 실력과 인간적 품성을 갖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억세고 슬기로운 겨레는 오직 어엿한 모성에서 이루어지나니 이 커다란 자각과 자랑에서 우리는 스스로를 닦는다’이다. 1927년 4월 23일에 부산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로 개교[4년제]하여 동구 초량동 구 청년 회관을 가교사로 사용하였다....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특성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성실하고 창의적인 사고방식과 지적 능력을 갖춘 민주적이고 도덕적인 산업 기술인 육성’이다. 교훈은 ‘착실한 행동, 기술의 연마’이다. 1952년 9월 25일에 대동학원[1948년 9월 8일 설립] 산하 광성공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전기과, 건축과]를 받아, 서구 서대신동 3가에서 개교하였다. 19...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가치 있고 바른 인간 육성’이다. 교훈은 ‘창의(創意)[Originality], 근면(勤勉)[Diligence], 성실(誠實)[Sincerity]’이다. 1985년 12월 30일에 육영학원 산하 알리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남자, 18학급]를 받아, 1986년 3월 11일에 입학식[6학급]과 함께 부산진구 당감...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성실하고 창의적이며 예의 바른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誠實), 창의(創意), 예의(禮儀)’이다. 경일고등학교의 전신인 경일여자상업고등학교는 1986년 12월 22일에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87년 3월 6일에 제1회 신입생[168명]의 입학식이 거행되었고, 그해 3월...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사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정(晶), 혜(慧), 성(誠)의 정신을 바탕으로 인격을 도야하고, 지식과 기능을 연마하여 가정과 국가 사회에 공헌하며, 미래의 지식·정보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창조적 지혜를 지닌 진취적인 여성으로 교육한다’이다. 교훈은 ‘맑은 마음으로[晶], 슬기를 가꾸고[慧], 정성을 다하자[誠]’이다. 1986년 1...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특성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체제 개편을 통한 학교의 명품화’이다. 교훈은 ‘생각은 참되게[眞], 판단은 옳게[善], 언동은 아름답게[美]’이다. 계성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은 1958년 1월 31일에 훈성여자중학교[이후 계성여자중학교, 1998년 폐교]가 인수한 신성여자고등학교[1959년 4월 10일 폐교]였으며, 1961...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선구자 육성’이다. 이는 조국 광복을 꿈꾸며 일송정 푸른 솔을 노래하였던 선구자들의 얼을 살려, 오륙도와 태평양을 내려다보는 언덕에서 오늘날의 선구자로서 조국을 위해 세계로 기상을 뻗쳐 나아가고자 하는 광명고등학교의 건학 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교훈은 ‘성실, 탐구, 창조’이다. 1...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정의롭고 명예로운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민주 시민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바르게[正義], 의좋게[平和], 떳떳이[名譽]’이다. 1984년 12월 27일에 가산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5년 3월 5일에 사상구 학장동에서 개교하였다. 1986년 3월 1일에 구덕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특수 목적 공업계 국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스스로 행동하는 기술인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근면, 정확, 검소’이다. 1967년 1월에 한독직업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에 부산수산대학의 임시 가교사에서 개교하였다. 1968년 2월에 임시 교사에서 해운대구 우동의 현 교사로 이전하였다. 1974...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국가의 번영을 위하여 창의력을 가지고 성실하게 실천, 봉사하는 참다운 한국인을 기른다’이다. 이를 위하여 투철한 주인 의식의 함양,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자질 향상, 국제 생활을 대비한 영어 회화 능력 함양, 스스로 문제 해결 의식 함양을 교육 방침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바른 생각·바른 행동’이다. 1986...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밝은 미래를 열어 갈 수 있는 참되고 창의적인 인재 양성’이다. 교훈은 ‘맑은 심성, 알찬 실력, 밝은 미래’이다. 2002년 12월 16일에 금곡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3년 3월 1일에 북구 금곡동 금명중학교 교내에서 개교하였다. 2003년 11월 11일 북구 금곡동 현 교사로 이전하였다. 201...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실력과 인품을 갖춘 여성 육성’이다. 교훈은 ‘웃음 띤 얼굴, 꿈을 품은 가슴, 노력하는 여성’이다. 2007년 10월 31일에 금명여자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8년 3월 4일에 북구 화명동에서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3회 졸업식을 통해 219명이 졸업하여 총...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첫째, 따뜻한 마음과 도덕성을 갖춘 사람으로 기른다, 둘째, 창의적인 능력을 갖춘 사람으로 기른다, 셋째, 건강하고 품위 있는 사람으로 기른다, 넷째, 사회 변화를 선도하는 진취적인 사람으로 기른다’이다. 교훈은 1954년 개교 당시에는 ‘힘쓰자, 일하자, 감사하자’였고, 1963년에는 ‘사랑, 소망, 성실’이...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전인적 품성과 창조적 지성으로 미래 사회를 주도할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진취적 기상으로, 진리를 탐구하여, 자아를 실현하자’이다. 1986년 12월 22일에 금정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7년 3월 5일에 동래구 명장동에서 개교[36학급]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24회 졸업식을...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공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를 선도할 건강하고 실력 있는 여성 육성’이다. 교훈은 ‘참되고 착하고 아름답게’이다. 1983년 1월 10일에 금정여자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금정구 서동에서 개교[36학급]하였다. 1987년 3월 1일에 산업체 특별 학급 3학급을 설립하여 1990년까지 운영하였다. 201...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특성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첫째, 지식 문화 사회를 이끌어 갈 실력 있는 인재를 기른다, 둘째,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의적인 유비쿼터스 전문인을 기른다, 셋째, 봉사 정신과 질서를 존중하는 민주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진리, 창조, 봉사’이다. 1973년 1월 12일에 양정학원 동래공업전수학교[고등학교 과정]로 설립 인가를...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성실·질서·봉사 정신 실천으로 예절 바르고 창의적인 인간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질서·봉사’이다. 1965년 12월 28일에 기장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6년 3월 21일에 개교하였다. 1974년 3월에 기장종합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3년 3월 1일에 현 위치로 이전하였으며...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기초 학력을 증진하고 올바른 인성을 함양하여 건강하고 창의적인 민주 시민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큰 꿈 품고 키워 겨레에 봉사한다’이다. 1974년 1월 5일에 낙동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8일에 개교[남녀 공학, 18학급]하였다. 1979년 12월 24일에 남자 고등학교로 변경하였고...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도덕적 인간을 기른다. 끊임없이 탐구하는 창조적 인간을 기른다. 몸과 마음이 튼튼한 건강한 사람을 기른다. 진취적 기상을 가진 세계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큰 뜻을 품고 깊이 생각하며 바르게 행동하는 참된 사람이 되자’이다. 1988년 12월 27일에 남산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가에 있는 일반계 사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사랑과 진리와 자율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주도하는 사랑과 지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조용한 강물처럼, 부지런한 꿀벌처럼, 정다운 비둘기처럼’이다. 일제 강점기에 목사 김길창이 ‘교육 없이는 전도도 없고, 교육 없이는 애국도 없으며, 교육 없이는 소망도 없다’는 교육 철학...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할 올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갖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노력하자, 단결하자, 전진하자’이다. 1981년 1월 15일에 내성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금정구 부곡동의 현 동현중학교 교지에서 36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82년 2월 26일에 금정구 부곡동의 현 교사로 이전하...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조적 비전과 따뜻한 품성을 지닌 건강한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사랑, 봉사’이다. 1997년 3월 1일에 다대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개교와 함께 입학식을 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14회 졸업식을 통해 337명이 졸업하여 총 5,699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에 있는 특성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산업 기술 분야에서 요구되는 창의력과 전문성 있는 최고 경영자 양성’이다. 교훈은 ‘학문, 발명, 봉사’이다. 대광발명과학고등학교의 전신은 1979년 2월 20일에 송수천이 사하구 당리동에 설립한 하단상록새마을중·고등학교[최초 1972년 2월 3일 설립된 하단상록재건중학교, 이후 1974년...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사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베풀고 창조하며 실천하는 인재를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덕성, 진리, 협동’이다. 1988년 5월 18일에 대덕학원의 설립 및 인가로 학원 계획 승인을 받아 익재 이상악 초대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이후 1990년 12월 31일에 각 학년 8학급, 전체 24학급의 대덕여자고등학교를 설립 인가받아, 199...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인간 존중의 바탕 위에서 미래 지식 기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적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바르게 살자[正直], 알아내자[探究], 만들어 내자[創造]’이다. 1964년 12월 5일에 대동학원[1949년 3월 11일 설립] 산하 대동고등학교로 설립 인가[학년별 주야간 2학급]를 받아, 1965년 3월 13...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정직하고 거짓 없이 알차고 허(虛)하지 않으며 사리를 올바르게 판별할 줄 아는 참된 여학생상, 언어 행동이 방정하고 똑똑하며 예의 바르고 선악을 분명히 할 줄 아는 능력을 갖춘 숙녀상, 고운 말씨, 아름다운 맵시, 명랑하고 싹싹하며 시대에 적응할 줄 아는 진취적 여성상 정립’이다. 교훈은 ‘참되게[眞], 착하...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사립 전문계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가톨릭 정신에 바탕을 둔 민주 시민으로서 미래를 선도할 창의적인 직능인 육성’에 있다. 교훈은 ‘참되고 건강한 일꾼이 되자[도덕 교육·건강 교육·기술 교육]’이다. 광복 직후 부산 지역의 무선 관계자들이 무선 통신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1946년 3월 15일 부산 국제 시장의 불교 청년 회관에서 해동무선...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웅지와 성실을 바탕으로 정의를 실현하고, 지식과 슬기로 몸과 마음을 연마하여 자주적이고 창의적이며 도덕적인 한국인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웅지(雄志)와 성실(誠實)’이다. 1987년 12월 18일에 승웅학원 산하 대연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8년 3월 5일에 남구 대연동에서 개교하였다. 2013년...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특성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을 갖춘 창의적인 전문 인재 양성’이다. 교훈은 ‘성실, 협동, 창의’이다. 1975년 11월 14일에 인묵재학원[1973년 6월 20일 설립] 산하 대연여자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5학급]를 받아, 1976년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과 함께 남구 대연동에서 개교하였다. 1980년 2월 29...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IT 분야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창의적 사고로 미래를 준비하는 참된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목표 아래 학교 경영 방침인 창의 인성 교육 내실화, 직업 기초 능력 및 학력 신장, 창의적 기술인 양성 등을 실현하고자 한다. 교훈은 ‘성실, 경건, 신념’이다. 대순진리회의 종지인 음양 합덕, 신인 조화, 해원 상생의 기본 이념을...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튼튼한 기초 위에 남과 더불어 사는 인간’이다. 교훈은 ‘참되고 착하고 슬기롭게’이다. 1996년 1월 17일에 대천리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8대 김진한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15회 졸업식을 통해 255명이 졸업하였다....
-
근현대기 부산 지역의 고등 교육 기관. 1.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에서 최초로 문을 연 고등 교육 기관은 1941년 3월 28일에 신설되어 5월 15일에 개교한 부산고등수산학교[4년제 전문학교]였다. 부산고등수산학교는 당시 전국에서 20번째로 설립된 고등 교육 기관이었다. 수산 고등 교육 기관의 설립은 1930년대 후반기에 본격화되었는데, 조선총독부 당국은 학교의 설립지...
-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당당한 실력과 따뜻한 품성을 지닌 창재적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성실, 협동, 봉사’이다. 덕문고등학교의 뿌리는 1948년 4월 1일에 개교한 천가공민중학교이다. 천가공민중학교는 1952년 3월 24일 천가고등공민학교로 개칭하였으며, 1954년 9월 10일 도립덕문중학교로 개교하였다. 덕문고...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사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첫째, 스스로 배우고 탐구하는 실력 있는 사람을 기른다, 둘째, 생명을 존중하고 덕성을 갖춘 사람을 기른다, 셋째, 창의력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해 가는 사람을 기른다, 넷째, 정신적·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지적 충실(知的充實), 덕성 함양(德性涵養), 자아실현(自我實現)’이다....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봉사하고 감사하는 사람 육성, 실력 있고 창의적인 사람 육성’이다. 교훈은 ‘겸손, 순박, 사랑’이다. 1954년 5월 10일에 데레사여자중·고등학교로 개교[중학교 3학급, 고등학교 2학급]하였으며, 같은 해 9월 1일에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55년 3월 1일에 동구 수정동에 신축 교사를 지어 이전하였다....
-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민족 학교의 전통과 긍지를 계승하는 동고인 육성,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 세계화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이다. 교훈은 ‘힘 기르고 뭉쳐서 내일의 일꾼 되자’이다. 1898년 9월 1일에 신명록 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육영 사업 단체 기영회가 초등 교육 기관으로 동래성 내 군관청(...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자율형 사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적인 역량과 건강한 품성을 지닌 애국·애족·애향하는 민주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첫째, 겨레의 넋은 국어에 있다, 둘째, 사람의 값은 지식에 있다, 셋째, 나라의 힘은 통일에 있다’이다. 1895년(고종 32) 10월 15일에 호주장로교선교회 여자 전도부가 부산진...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전인적인 인간 존중 교육의 바탕 위에 전문 기능을 갖춘 유능하고 창의적이며 예절 바른 기능인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성실, 근면, 창조’이다. 1973년 11월 20일에 고등 기술 학교인 부산한독원예학교의 설립 인가를 받아, 1974년 3월 11일에 동래구 온천동에서 2학급, 80명으로 개교하였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교육을 통해 국가의 미래를 선도할 성실한 인재를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성실, 자율, 협동’이다. 1951년 9월 21일에 동아학숙[1947년 12월 30일 설립] 산하 동아고등학교로 설립 인가[12학급]를 받아, 1952년 4월 1일에 서구 초장동에서 개교하였다. 이후 1956년 12월...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실업계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정직하고 근면한 기술인 육성’이다. 교훈은 ‘정직, 근면’이다. 1963년 1월 14일에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물금리 95번지에서 동아실업고등학교로 설립되었다. 1973년 11월 30일에 동아공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사하구 괴정동 619번지로 이전하였다. 1976년 3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를 이끌어 갈 창의적인 조선 산업 분야의 글로벌 기술인 육성’이다. 교훈은 ‘근면, 성실, 협동’이다. 1966년 11월 17일에 동의학원 산하 동의공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7년 3월 1일에 개교[기계과·전기과·화공과·토건과 등 4개 학과, 8학급, 488명]하였다. 학교의 발전과 확장에 따라 2...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 능력과 올바른 인성을 갖춘 미래 사회의 지도자 육성’, ‘창의적 사고와 긍정적 인성을 갖춘 학생, 가르침에 최선을 다하는 존경받는 교사, 교육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학부모, 찾아가 지원하는 행정 서비스’이다. 교훈은 ‘성실·노력·봉사’이다. 유교의 고전인 『중용(中庸)』에서는 “성실한 것은 하늘의 도(...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3가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국가관이 뚜렷하고 목표를 가진, 창의적이고 아름다운 인성을 가진 동주인 육성’이다. 교훈은 ‘튼튼한 몸으로 알뜰히 배우고 열심히 일하며 즐겁게 살자’이다. 동주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은 부산상업야학교로, 1919년 5월 부산교육회가 운영하던 부산실업야학교를 수산업을 경영하던 일본인 향추원태랑(香椎源太...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동학 천도교 사상을 바탕으로 인간 존중의 생활 자세를 확립하여 21세기의 지식 기반 사회를 주도해 나갈 건강하고 실력 있는 민주시민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성(誠), 경(敬), 신(信)’이다. 1980년 1월 24일에 원곡학원[1978년 5월 25일 설립 인가] 산하 동천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이고 바른 품성을 가진 미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높은 이상과 밝은 마음을 가지고 바르게 살아가는 사람이 되자’이다. 1999년 12월 30일에 만덕고등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아, 2002년 3월 5일에 북구 만덕동에서 개교[1학년 12학급]하였다. 2012년 2월 9일에 제8회 졸업식을 거...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학습인·도덕인·세계인을 기르는 교육’이다. 교훈은 ‘학습인(學習人), 도덕인(道德人), 세계인(世界人)’이다. 2008년 11월 5일에 명호고등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를 받아, 2009년 3월 1일에 강서구 명지동에서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2회 졸업식을 통해 157명이 졸업하여 총 382명...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공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실력과 건전한 인성을 갖춘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참되게 아름답게 부지런하게’이다. 1982년 6월에 학교 부지가 결정되어 공사에 착공하였다. 1983년 1월에 문현여자고등학교로 설립 인가[36학급, 2,160명]를 받아, 그해 3월 3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밝은 미래를 열어 갈 수 있는 참되고 창의적인 인재 양성’이다. 교훈은 ‘우리 함께 실력을 길러 나라와 세계에 이바지할 인재가 되자’이다. 2003년 12월 16일에 반여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4년 3월 4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2009년 9월 1일에 제3대 동상훈 교장이 취...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경남여자고등학교와 동래구 칠산동에 있는 동래고등학교에 부설된 방송통신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유능한 직업인 양성, 고교 교육 기회 제공, 국민 교육 수준 향상’이다. 방송통신고등학교는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청소년과 성인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 이들에게 저렴한 학비로 고등학교 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 기반 사회를 선도할 창의적 인재 육성, 실력과 인성을 겸비한 바람직한 인성 육성, 글로벌 시대 속의 배정인! 미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창조’이다. 1952년 4월 10일에 배정고등학교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같은 해 10월 5일에 배정학원을 설립[동구 범일동]하여 1953년 2월 1일에 가교사...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성실하며,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탐구, 지혜, 봉사’이다. 1905년(고종 42) 8월에 거류민회에서 갑종 과정의 민단립 상업 학교 설치의 건을 결의하였고, 1906년(고종 43) 4월 1일에 서산하정(西山下町)[현재의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3가] 가교사에서 수...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해 나갈 예절 바르고[德] 건강하며[體] 능력 있는[智] 한국인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예절 바르고 건강하며 능력 있는 사람이 되자’이다. 1979년 11월 21일에 낙동여자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0년 3월 7일에 강서구 대저동에서 개교하였다. 같은 해 9월 22일에 서강여...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정보화 시대에 필요한 창조적인 인재 육성’이며, 교훈은 ‘창조’이다. 배정미래고등학교의 전신인 부산중앙여자상업전수학교는 1973년 2월 26일에 설립 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3월 17일에 부산진구 범일동 836-1번지[대지 1,636.8㎡[496평], 44개 교실]에서 주야간 각 학년...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에 있는 학력 인정 평생 교육 시설 학교. 교육 목표는 ‘실업에 관한 전문적 지식과 능력, 민족정신이 투철한 애국인을 기르고 전인적인 교육을 강화하며, 1인 1기능 갖추기 운동을 실시하고 인간 교육을 통한 교육의 세계화를 추진한다’이다. 교훈은 ‘어려움을 이겨 내는 힘을 기르자[忍耐], 내 힘으로 살아가는 지혜를 갖자[自主, 自活], 착하고 부지런...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할 실력과 인간적 품성을 갖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감사하자, 굳세자, 힘쓰자’이다. 부산고등학교의 전신은 1914년 4월 1일에 조선총독부 고시로 설립이 결정되어 그해 4월 20일에 입학식과 함께 중구 보수동[당시 부산부 보수정 부산심상고등소학교 내]에서 개교한 관립부산중학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골프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함 몸과 바른 인성을 갖춘 체육 전문 지도자 양성’이다. 교훈은 ‘학문과 덕성과 체력을 겸비한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여 봉사로써 사회에 기여함을 교육의 근본으로 한다’이다. 1998년 10월 16일에 부산광역시 교육감 지정 학력 인정 학교가 되고, 부산골프고등학교로 승인되었다. 1999년 3월 5일에 개...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특성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올바르고 창의적인 글로벌 기술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위하라 이 겨레, 일하라 지성껏, 앞서라 기술로’이다. 1924년 5월 5일에 중구 보수동의 부산제5공립심상소학교 내에서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32년 4월 1일에 부산공립공업실수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특성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글로벌 시대를 선도하는 전문 관광인 육성’이다. 교훈은 ‘서로 힘써 돕자, 좋은 벗이 되자, 높은 뜻을 품자’이다. 1966년 11월 26일에 백민학원[1955년 3월 8일 설립] 산하 송도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각 학년 1학급]를 받아, 서구 남부민동에서 개교하였다. 1993년 3월 1일에 부산실업...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하는 도덕적이고 창의적인 글로벌 리더 육성’이다. 교훈은 ‘자주, 협동, 창의’이다. 1996년 12월 28일에 부산국제중·고등학교 설립추진위원회 실무추진반협의회에서 학교 설립 계획이 발표되었다. 1997년 12월 24일에 부산국제중·고등학교 설립 조례가 부산광역시의회에서 통과되어 설립 인가...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를 선도하는 창의적인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협동, 창조’이다. 1956년 5월 2일에 숭덕학원[1956년 3월 31일 설립 인가] 산하 한국고등기술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72년 7월 13일에 무선 종사자 인정 교육 기관으로 지정되었다. 1996년 10월 28일에 한국공업고등기술...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세계화를 선도할 창조적이고 자주적인 세계인 육성’이다. 교훈은 ‘창조인, 자주인, 세계인’이다. 2003년 7월 24일에 부산국제외국어고등학교로 설립 인가[영어과, 독일어과, 일본어과, 중국어과 각각 2학급 총 24학급]를 받아, 2004년 3월 2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하였다. 2012년 28일에...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글로벌 시대를 선도하는 인성과 창의성을 갖춘 건강한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정의, 협동, 노력’이다. 1954년 4월 4일에 부산남고등학교 설립기성회를 조직하여, 1955년 4월 2일에 영도구 남항동 부산남중학교 교내에서 개교하였다. 1956년 4월에 영도구 신선동에 가교사를 지어 이전하였고, 19...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를 ‘지식 기반 사회를 선도할 창의적이고 건전한 인간 육성’으로 삼고, ‘인간 존중을 지향하는 선도적 학교 문화 창조’를 실천 사항으로 채택하였다. 교훈은 ‘성실, 진리, 협동’이다. 1984년 10월 8일에 교사 공사에 착수하고, 그해 12월 17일에 교육법 제85조의 규정에 의하여 망미고등학교로 설립 인가[각...
-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동 2가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지·덕·체·정을 고르게 지닌 미래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바른 마음, 바른 행동으로 알뜰히 공부하여 쓸모 있는 사람이 되자’이다. 1951년 12월 19일에 영도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52년 4월 20일에 영도구 남항동 2가에서 개교하였다. 같은 해 7월 19일에 부산남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사립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민주 시민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성실·봉사’이다. 1984년 12월 17일에 부산대저고등학교로 설립 인가[학년당 8학급]를 받아, 1985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개교 당시 명인학원에서 경영하였으나 1987년 3월에 대저학원이 설립되어 현재까지 대저학원의 경영 학교로 운영되...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국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를 선도할 자율적·창의적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나를 소중히 하고, 남을 돕는 사람’이다. 1972년 1월 6일에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0일에 금정구 장전동에서 개교하였다. 같은 해 9월 25일에 금정구 장전동의 부산대학교 구내 신축 교사로 이전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세계 속의 한국인으로서 진실, 노력, 창조하는 자랑스러운 민주 시민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진실, 노력, 창조’이다. 1954년 4월 20일에 평화고등학교로 개교하였고, 같은 해 7월 27일에 평화학원의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56년 1월 28일에는 평화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70년 12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성껏 배우고 익혀 민주 시민으로서 나라를 사랑하고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를 양성한다’이다. 교훈은 ‘지성껏 배우자, 지성껏 일하자, 지성껏 섬기자’이다. 1952년 7월 3일에 동성학원[1952년 6월 25일 설립] 산하 부산동성고등학교로 부산동성중학교[2005년 폐교]와 함께 부산진구 범일...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공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가슴과 슬기로운 지혜를 갖춘 미래를 선도하는 창의적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겨레의 참된 어머니가 되자’이다. 1967년 1월 14일에 부산수영종합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20일에 개교 및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1973년 3월 1일에 부산동여자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그해...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립 예술 특수목적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따뜻한 품성을 지닌 글로벌 예술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창의, 정성, 노력’이다. 1973년 11월 23일에 부산공예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4년 3월 16일에 동구 초량동에서 개교하였다. 1980년 11월 8일에 부산공예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8년 1...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신의 꿈을 실현하기 위한 도덕적이고 창의적인 능력인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책임지는 사회인, 능력 있는 기술인, 신실한 도덕인’이다. 1953년 9월 18일에 덕원고등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54년 11월 13일에 인가를 받았다. 1964년 12월 26일에 덕원상업고등학교로 학칙을 변경하여 상업 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특성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체계적인 인성 교육을 통하여 따뜻한 인간성과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고, 현장 학습 위주의 다양하고 전문적인 특성화 교육으로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여성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이다. 교훈은 ‘지성껏 배우자! 지성껏 일하자! 지성껏 섬기자!’이다. 1953년 4월 18일에 신민여자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특성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인간 교육, 국제화 교육, 직업 기술 교육, 평생 학습 교육’이다. ‘인간 교육’은 정직하고 근면하며 화합과 봉사 정신을 겸비한 사람을 기르며, ‘국제화 교육’은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외국어 능력을 갖춘 사람을 기르고, ‘직업 기술 교육’은 무한 경쟁의 지식 정보화 시대에 대처할 수 있는 기능과 능...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에 있는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감각을 갖춘 미용인, 미래 지향적인 전문 교육, 봉사하는 사회인 육성’이다. 교훈은 ‘창조적인 미(美), 개성적인 미(美)’이다. 1972년 2월 10일에 불우 청소년을 위한 동평재건중학교로 부산진구 부암동에서 개교하였다. 1976년 3월 4일에 고등부를 설립하였으며, 1977년 3월에...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 교육 방법을 통한 미래형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근면(勤勉), 관용(寬容), 봉사(奉仕)’이다. 1955년 7월 1일에 구포상업고등학교로 북구 구포동에서 개교하였다. 1971년 3월 2일에 구포여자상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77년 2월 26일에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1998년 12월 29...
-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4가 에 있는 특성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기초 학력을 갖춘 전문 직업인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올바른 인성, 창조하는 신지식인’이다. 1972년 12월 26일에 한성학원[1955년 3월 12일 설립] 산하 금성여자종합고등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를 받아, 1973년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8학급, 493명]과 함께...
-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예의 바르고 부지런한 산업 기술인 육성’이다. 교훈은 ‘창의·성실’이다. 1970년 3월 26일에 가락종합고등학교로 개교하였다. 1974년 3월 1일에 김해상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77년 3월 1일에는 김해여자상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9년 1월 1일에 부산광역시 교육청으로 편입되었...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2가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실력과 인격과 사랑을 고루 지닌 자랑스러운 창의적인 서향인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자율, 협동’이다. 1983년 1월 20일에 사하여자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1984년 1월 7일에 부산서여자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4년 2월 28일에 사하구 하단동의 사하여자...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진취적 기상과 도덕적인 행동이 조화된 창의적이고 도덕적인 유능한 기술인의 육성’이다. 교훈은 ‘진취적 기상, 도덕적 행동, 창의적 기술’이다. 1991년 8월 5일에 서부산공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6년 3월 1일에 사상구 덕포동에서 개교[10학급]하였다. 2007년 10월 31일에 부산에...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따뜻한 품성과 실력을 갖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자활하는 사람이 되자, 협동하는 사람이 되자, 근면한 사람이 되자’이다. 1905년(고종 42) 11월에 고교서(高橋恕)[당시 부산공립고등소학교장] 외 유지의 주도로 거류민단에서 고등 여학교 신설의 건이 가결되었다. 1906년(고종 4...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앞날을 내다보며 스스로 배우고 실천하는 참된 일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튼튼한 뿌리, 슬기로운 잎, 성실한 꽃, 봉사하는 열매’이다. 1953년 11월 13일에 동주학원 산하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서구 동대신동 2가 87번지에서 개교하였다. 이후 1962년에 부여상학원[설립자 김창덕]이...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 3가에 있는 특성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적인 영상 예술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바르게, 다르게, 다 함께’이다. 1954년 9월 10일에 부산남여자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55년 4월 25일에 영도구 신선동 3가에서 개교하였다. 2001년 3월 1일에 부산영상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200...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특수 목적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예술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능력을 계발, 신장시켜 미래를 창조하는 참된 예술인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밝고 참된 마음, 높고 깊은 생각, 곱고 알찬 솜씨’이다. 동래학원이 1985년 12월 30일에 부산예술고등학교로 인가를 받아, 1986년 3월 10일에 개교 및 제1회...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특수 목적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심성의 인성 교육, 지식 문화를 선도할 인재 육성, 국제화 시대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이 되자, 큰 희망을 품고 꾸준히 노력하자’이다. 1985년 1월 9일에 부산외국어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7일에 개교하였다. 1988년 2월 11일에 제1회 졸업생...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에 있는 특수 목적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을 갖춘 창의적 융재 과학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정직, 창의, 열정’이다. 2011년 8월 3일에 부산일과학고등학교로 교명을 확정하고, 2012년 3월 5일에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으로 진병화가 취임하였으며, 2013년 3월 4일에 제2회 입학식을 통해 121명이 입학하였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동차 산업을 선도할 창의적이고 국제화된 영 마이스터 육성, 학생·교사·학부모가 만족하는 학교 분위기 조성, 3유(有)[인사, 칭찬, 청결]·3무(無)[무결석, 무흡연, 무폭력] 운동 적극 추진’이다. 교훈은 ‘성실, 봉사, 창의’이다. 1997년 3월 3일에 부산자동차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9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에 있는 농어촌 자율형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슬기롭고, 올바르고, 굳센 인간 육성’이다. 교훈은 ‘정직, 책임, 봉사’이다. 1974년 1월 5일에 장안고등학교로 설립 인가[9학급]를 받았다. 1978년 10월 1일에 장안종합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5년 1월에 경상남도 교육청에서 부산광역시 교육청으로 이...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창의력과 덕성을 갖춘 유능한 기술인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성실(誠實), 근면(勤勉), 협동(協同)’이다. 1938년 3월 2일에 동래공립농업실수학교로 설립 인가[1년제]를 받아, 그해 6월 1일에 수영구 수영동[경상남도 동래군 남면 남수리]에서 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진취적 기상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창조적이고 능동적인 실업인 육성’이며, 교훈은 ‘연꽃처럼 맑고 깨끗하게’이다. 1950년 6월 26일에 영남학원[설립자 이우룡]이 부산시 서구 서대신동에서 영남상업고등학교를 개교하여, 1952년 3월 15일에 주간 6학급, 야간 6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 기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적인 신직업인 양성’이다. 교훈은 ‘성실한 마음, 자율적 생활, 창조하는 힘’이다. 1972년 1월 14일에 부린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5일에 개교하였다. 1979년 3월 1일에 동래상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8년 3월 1일에는 부산정보관광고등...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에 있는 학력 인정 평생 교육 시설 학교. 교육 목표는 ‘성실하고 친절하며 장인 정신을 가진 창의적인 전문 조리인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친절, 창의’이다. 1972년 4월 20일에 개교하였으며, 1987년 9월 21일에 문교부 학력 인정 사회 교육 시설인 동원여자상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3년 2월 28일에 학력 인정 사회 교육...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경쟁력 있는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근면, 협동, 자활’이다. 1972년 12월 26일에 부산중앙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3년 3월 6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하였다. 2011년 3월 2일에 제18대 진광효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9일에 제37회 졸업식을...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창의적인 여성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근검 성실하고 봉사하는 여성’이다. 1972년 6월 7일에 금정여자고등학교[가칭]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12월 26일에 부산중앙여자고등학교로 교명을 확정하였으며, 1973년 3월 7일에 동래구 명륜동에서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학력, 지도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이다. 교훈은 ‘바르고 굳세고 슬기로운 사람이 되자’이다. 1967년 10월 5일에 부산개성종합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8년 3월 12일에 부산진구 부전동의 개성중학교 구내에서 개교하였다. 1973년 11월 1일에 부산진구 초읍동의 신축...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 정보화 사회를 대비한 독창성과 창의성이 풍부한 여성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고운 마음, 밝은 슬기로 스스로를 갈고닦자’이다. 1972년 12월 29일에 성신학원 산하 연희여자종합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3년 3월 2일에 개교하였다. 그해 10월 27일에 연희여자상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특성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를 선도하는 창의적이고 품성이 바른 경영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예절 바르고 성실하며 유능한 자활인이 되자’이다. 1954년 9월 21일에 부산북여자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10월 25일에 부산진구 부전동의 부산개성중학교 구내에서 개교하였다. 1955년 8월 9일에 경남여자상...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특수 목적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 사고와 넉넉한 품성을 바탕으로 명예를 존중하고 국위를 선양할 수 있는 체육인 육성’이다. 교훈은 ‘극기(克己)’이다. 1972년 12월 29일에 부산체육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3년 3월 5일에 영도구 동삼동에서 개교하였다. 같은 해 6월 4일에 부산체육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특성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실력과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전문인을 기르는 좋은 학교’이다. 교훈은 ‘마음을 갈고 몸을 다듬어 사회에 이바지하는 사람이 되자’이다. 1966년 11월 7일에 선화학원 산하 선화여자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67년 1월 18일에 선화여자상업고등학교로 변경 인가를 받아, 196...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적이고 도전 정신이 강한 미래 기술인 육성’이다. 교훈은 ‘창의·성실·책임’이다. 1977년 12월 16일에 동명문화학원[1977년 4월 11일 설립] 산하 동원공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아, 1978년 3월 6일에 제1회 입학식[600명]과 함께 남구 용당동에서 개교하였다. 1979년...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특수 목적[해양 분야 마이스터] 국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직업의식과 전문 지식 및 평생 학습 능력을 갖춘 글로벌 해운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국가에 충성하는 사람, 생활에 근면한 사람, 직무에 성실한 사람, 상호 협동하는 사람’이다. 1977년 8월 30일에 국립한국선원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8년 3월 27일에 영...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나는 자랑스러운 한얼인이다’이다. 한얼인이란 한얼과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 부모와 스승을 존경하는 사람, 나눔과 봉사를 실천하는 사람, 솔선수범하고 창의적인 사람, 자유․정의․평화를 지키는 사람, 노인과 어른을 공경하는 사람, 자기와 타인을 존중하는 사람, 인성과 마음이 아름다운 사람, 정직 성실하고 신의 있는 사람...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사립 특수 목적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참된 사람[Be Truthful]’이다. 1994년 9월 16일에 신민학원[이사장 윤호랑] 산하 부일외국어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1995년 3월 2일에 개교하였다. 2001년 3월 10일에 부일학원 산하[이사장 서춘석]로 바뀌었으며, 20...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특성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인성 교육에 바탕을 둔 첨단 기술 연마로 창의적이고 성실한 기술인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誠實), 창의(創意), 연마(硏磨)’이다. 1992년 6월 30일에 신민학원 산하 부일전자공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3년 3월 2일에 사하구 감천동에서 개교하였다. 2001년 3월 1일에 부일전자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우리는 몸과 마음을 튼튼히 하여 열심히 배우고 익혀 조국과 겨레에 필요한 사람이 된다’이다. 1997년 1월 13일에 부흥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8대 박...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정보화 사회를 선도할 창의력[知]과 올바른 인성[德]을 지닌 건강하고[體] 기본[情]이 바로 된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바르게[사고의 규범], 의좋게[관계의 규범], 성실하게[행동의 규범]’이다. 2001년 5월 1일에 분포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3년 3월 4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세계 인류를 사랑으로 섬기는 좋은 세계관을 가진 미래 지도자 육성’이다. 교훈은 ‘1. 나는 하나님과 사람과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 되련다, 2. 나는 마음껏 자라며, 마음껏 생각하며, 마음껏 일하는 사람이 되련다, 3. 나는 웃는 자와 같이 웃고, 우는 자와 같이 우는 사람이 되련다, 4. 나는 조국과 인류...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사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세계 인류를 사랑으로 섬기는 좋은 세계관을 가진 미래 지도자 육성’이다. 교훈은 ‘1. 나는 하나님과 사람과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 되련다, 2. 나는 마음껏 자라며, 마음껏 생각하며, 마음껏 일하는 사람이 되련다, 3. 나는 웃는 자와 같이 웃고, 우는 자와 같이 우는 사람이 되련다, 4. 나는 조국과...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사립 특수 목적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우는 예술적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1. 나는 하나님과 사람과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 되련다, 2. 나는 마음껏 자라며, 마음껏 생각하며, 마음껏 일하는 사람이 되련다, 3. 나는 웃는 자와 같이 웃고, 우는 자와 같이 우는 사람이 되련다, 4. 나는 조국과 인류가 나를...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가지고 실천하며 아름다운 심성을 가진 인간 육성’이다. 교훈은 ‘개성(個性), 지혜(智慧), 배려(配慮)’이다. 2007년 10월 31일에 사상고등학교로 설립 인가[18학급]를 받아, 2008년 3월 4일에 사상구 덕포동에서 개교하였다. 2010년 3월 1일에 제2대 김원도 교장이 취임하였다. 2...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더불어 살며 창조적 지성으로 미래를 개척해 나가는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큰 뜻을 품고 열심히 노력하여 겨레와 인류의 등불이 되자’이다. 1983년 1월 20일에 사직고등학교로 설립 인가[30학급]를 받아, 그해 3월 2일에 금정구 부곡동의 동현중학교 교사에서 개교하였다. 1983년 7월 4일에 동래구 사...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를 선도할 수 있는 자주적이고 창의적이며 건강한 몸과 사고력을 갖춘 예절 바른 여성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사랑[愛]을[忠孝禮, 사상을 바탕으로 화목한 가정의 구성원이 되고, 이웃과 나라를 사랑할 줄 아는 여성을 기른다], 최선(最善)을[자신의 소질과 능력을 계발하고 창의력을 발휘하여 자아실현을 위...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사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의적인 능력을 갖춘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사랑을 심고 뜻을 펴자’이다. 1974년 12월 27일에 삼성학관 산하 삼성여자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5년 3월 3일에 사하구 감천동에서 개교하였다. 학급 수가 꾸준히 증설되어 1986년부터 45학급[학년당 15학급]으...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종합형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 기반 사회를 주도할 도덕적이고 창의적인 민주 시민의 육성’이다. 교훈은 ‘창의적인 정신, 밝고 열린 마음, 탐구하는 젊음’이다. 1972년 12월 29일 부여상학원 산하 동래여자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3년 3월 5일에 제1회 입학식[8학급, 490명]과 함께 동래구 사직동에서 개교하...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던 산업체 부설 사립 고등학교. 주식회사 삼화[삼화고무]에서 근로하는 여공에게 고등학교 과정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7년 12월 3일에 주식회사 삼화에 부설된 삼화여자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8년 3월 7일에 동구 범일동에 개교하였다. 1983년 7월에 조견여자상업고등학교를 통합하면서 연제구 거제동으...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가진 주체적인 사람, 민주 시민 의식을 기초로 바람직한 인성 함양을 통한 합리적이고 긍정적인 사람, 학력 신장과 과학적 사고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능력 있는 사람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정도(正道)’이다. 1976년 12월 1일에 성도학원[설립자 김상훈] 산하 성도고등학교로 인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가톨릭 건학 정신을 바탕으로 서로 사랑하고 봉사하며 인격을 도야하고, 지식과 기능을 연마·함양하여 즐겁게 더불어 사는 민주 시민으로서 미래 사회에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는 창의력을 겸비한 건강한 여성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Ad CARITEM Per VERITATEM[진리에서 애덕으로]’이다. 뜻은 ‘주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과 실무 능력을 갖춘 맞춤형 글로벌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근면, 실력, 보은’이다. 1974년 1월 5일에 성심학원[1973년 6월 20일 설립 인가] 산하 성심여자실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6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하였다. 같은 해 11월 19일에 부산성심여...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를 선도할 수 있는 애국적이고 도덕적이며 창조적인 민주 시민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되고 아름답고 부지런하자’이다. 1986년 2월에 학교 설립을 신청하여 그해 3월에 학교 부지를 확보하였고, 같은 해에 소정학원의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87년 12월 18일에 성일여자고등학교로 인가를 받았고, 1...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진리와 사랑으로 세계를 향한 창의적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더 큰 믿음으로, 더 큰 배움으로, 곧고 올바른 사람이 되자’이다. 1963년 12월 14일에 성지공업고등학교로 인가를 받았으며, 2007년 8월 27일에 종합형 고등학교로 전환 인가를 받았다. 2008년 7월 18일에 일반계 고등학교로 전환 인가를...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특성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품성과 미래 사회를 선도할 실력을 갖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협동, 창조, 근검’이다. 1974년 2월 12일에 광민학원[1973년 6월 20일 설립] 산하 부산서면여자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각 학년 상업과 4학급, 총 12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제1회 입...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고, 슬기롭고, 부지런하며, 튼튼한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꿈과 열정, 사랑과 봉사’이다. 2007년 5월 17일에 센텀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8년 3월 4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2대 구자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3회 졸...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에 있었던 비인가 대안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품성을 지닌 창의적인 식품 과학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하나님을 경외하자’이다. 1988년 2월 5일에 한일물산 부설 시온실업고등학교로 인가를 받아 의상과 4학급, 전자과 2학급, 기계과 2학급을 편성하고, 동년 3월 7일에 개교식 및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2008년 3월 3일에 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성과 덕성을 갖춘 건강하고 자주적인 민주 시민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지성과 덕성을 갖춘 건강한 자주인’이다. 1997년 12월 24일에 신도고등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를 받아, 1998년 3월 5일에 개교 및 입학식을 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6대 노민구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에 있는 농어촌 특별 전형 대상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실력을 길러 나눌 수 있는 따뜻한 품성과 지혜를 지닌 인간 육성’이다. 교훈은 ‘정의로운 사람, 감사하는 사람, 배려하는 사람’이다. 2007년 11월 15일에 신정고등학교[정관 신도시 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9년 3월 4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하였다. 20...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특성화 실업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첫째,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계획된 정의 교육, 둘째, 고객 감동을 위한 학력 신장과 취업 역량 강화, 셋째, 수요자 만족을 위한 즐거운 학교 구현, 넷째, 변화를 선도하는 참스승상 구현’이다. 교훈은 ‘진리 탐구와 정의 구현’이다. 1975년 11월 26일에 소년의 집 학원[1973년 2월 6...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덕체(智德體)의 조화된 힘을 길러 정보화·세계화 시대를 대비하는 창의력이 풍부한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입지, 성실, 봉사’이다. 1987년 1월 12일에 성신학원 산하 양정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2일에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법인 변경으로 무산학원 산하로 바뀌었...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원대한 포부와 진취적 기상을 기른다, 강인한 체력과 굳건한 의지를 기른다, 너그러운 도량과 따뜻한 인간애를 기른다, 창의적 정신과 건전한 생활관을 기른다, 민주 시민의 자질과 올바른 국가관을 기른다, 합리적인 사고와 냉철한 판단력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스스로 다스리고 하나로 뭉쳐 연제에서 세계로 미...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실력과 품위를 갖춘 기본이 바로 선 당당한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자율, 협동, 봉사’이다. 1975년 11월 14일에 영도여자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6년 3월 1일에 영도구 동삼동[영도여자중학교 교사]에서 개교하였다. 1977년 3월 3일에 영도구 동삼동의 현 교사로 이전하였다....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사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학력이 충실한 학생[知], 심성이 바르고 고운 학생[德], 꿈을 가진 강인한 학생[体]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뿌리 깊은 나무가 되자’이다. 1992년 12월 1일에 우석학원[1989년 5월 17일 설립 인가] 산하 예문여자고등학교로 개교 인가를 받아, 1993년 3월 5일에 개교[7학급, 338명]하였...
-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에 있는 학력 인정 평생 교육 시설 학교. 교육 목표는 ‘교양이 풍부하고 예절 바른 사람, 창의적인 사고로 미래를 준비하고 탐구하는 사람, 스스로 참여하고 봉사하는 덕성스런 사람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예절, 지혜, 봉사’이다. 1967년 2월 10일에 설립 인가[중등부]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개교한 동래 신성재건청소년학교에서, 1972년...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일반계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식 기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력[知]과 인성[德]을 겸비한 건강[體]한 학생을 육성하여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적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근면, 창의’이다. 1984년 12월 17일에 백문학원[1982년 11월 8일 설립 인가] 산하 용인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일반계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믿음 위에 배움 쌓아 세계를 주도하는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믿음의 사람[Person of beliving], 배움의 사람[Person of learning], 일하는 사람[Person of working]이다. 1964년 12월 12일에 복음학원[1964년 10월 설립] 산하 정화여자고등학교로 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에 있는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능력과 품위를 갖춘 창의적인 민주 시민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내 주변을 맑게 하고[수신(修身), 신의(信義)], 남과 어울려서[인화(人和), 협동(協同)], 내 힘으로 살 수 있는 사람이 되자[면학(勉學), 자립(自立)]’이다. 1988년 11월 10일에 동암학숙이 설립...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공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전한 인성을 바탕으로 지식·정보화 사회를 주도하는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인재를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자율(自律), 협동(協同), 경애(敬愛)’이다. 1981년 11월 25일에 주례여자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3월 5일에 사상구 주례동에서 개교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13대 정...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사립 대안 교육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학생들이 그리스도의 형상을 지속적으로 닮아 감으로써 전인격적인 성숙의 결실을 볼 수 있도록 의인의 삶을 가르치는 것이다. 교훈은 ‘하나님 나라의 시민, 세계의 청지기’이다. 2001년 2월 27일에 지구촌고등학교로 인가를 받았으며, 2002년 3월 11일에 개교[교사 8명, 학생 8명]하였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일반계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가톨릭 정신에 바탕을 둔 지혜와 도덕성을 갖춘 21세기의 창의적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진리, 사랑, 지혜’이다. 1989년 11월 25일에 성모학원[1962년 설립] 산하 지산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0년 3월 3일에 520명으로 개교하였다. 1993년 2월 11일에 제1회 졸업식을 통...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기본이 정립된 생활 태도를 바탕으로 자아실현에 최선을 다하는 심신이 건강한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이기고[克己], 물처럼 착하게[至善者如水] 그리고 이긴다[超克無爲自然]‘이다. 1984년 12월 17일에 충렬고등학교로 설립 인가[36학급]를 받아, 1985년 3월 4일에 동래구 명장동에서 개교하였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던 산업체 부설 사립 고등학교. 태광산업에서 근로하는 여공에게 고등학교 과정의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984년 5월 31일에 산업체 부설 학교 설립 계획을 승인받았다. 1987년 12월 31일에 태광산업에 부설된 태광여자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8년 3월 1일에 금정구 구서동에서 개교하였다. 가장 규모...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던 산업체 부설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태화고무에서 근로하는 여공들에게 고등학교 과정의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발전은 물론, 국가의 교육 수준을 향상시키며, 산업체에 양질의 인력을 공급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었다. 1983년 11월 23일에 태화고무에 부설된 태화여자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4년 3월 15일...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사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인성 교육을 강화하여 인간 존중 사상 기르기, 학력 신장을 위한 기초·기본 교육의 충실, 교육 환경 조성 및 관리 충실, 교육의 전문성·자율성 신장,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인적 자원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誠實), 현숙(賢淑), 자비(慈悲)’이다. 1984년 2월 9일에 문교부로부터 학산학원 산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실천적 인성 함양과 자기 주도적인 학습력을 길러 실력 있고 예의 바른 해강인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따뜻하고 넉넉한 마음으로 자신을 일깨우고 닦아 새로움을 창조하는 사람이 되자’이다. 2004년 12월 27일에 해강고등학교로 설립 인가[43학급]를 받았으며, 2006년 3월 4일에 개교 및 입학식을 거행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국가와 민족, 인류 평화에 공헌하는 미래의 지도자 양성’이다. 교훈은 ‘힘써 배우고, 애써 실천하며, 큰 뜻을 기르자’이다. 1967년 설립된 동광학원[현 동해학원]이 1979년 4월 14일에 해운대고등학교의 설립 계획을 승인받았다. 이후 1980년 1월 24일에 해운대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그...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4H-MEET 운영을 통한 조선 기자재 핵심 기술 인력 양성’이다. ‘4H’는 Happy[행복한 학교], High level[고수준], Human tech[인성 중심], Hybrid technology[복합 기술]를 의미하며, ‘MEET’는 Marine, Equipment Engineering Teac...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학력 신장 강화와 창의성, 인성 교육을 통해 특성화 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하고, 진로 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통해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관광 전문 인력 육성’이다. 교훈은 ‘맑은 눈동자, 뜨거운 가슴, 부지런한 손’이다. 1972년 6월 17일에 기식학원 설립 인가를 받고,...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창의력과 인성을 겸비한 한국인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슬기로운 생활, 봉사하는 마음, 겸손한 자세’이다. 1981년 11월 25일에 대연학원[1968년 12월 7일 설립] 산하 해운대여자고등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를 받아, 1982년 3월 4일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따뜻한 마음으로 미래 사회를 주도할 창의적이며 건강한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정숙, 품위, 인내’이다. 1970년 3월 5일에 해우학원[1969년 2월 25일 설립 인가] 산하 해운대여자중학교로 개교하였다. 1982년 8월 18일에 법인명을 송천학원으로 변경하였다. 2010년 3월 1일에...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1가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공동체적 삶을 통한 미래 지향적인 인재 양성’이다. 교훈은 ‘진실, 용기, 실천’이다. 1954년 3월 10일에 재부 무학여자중·고등학교 교사 및 잔여 학생을 인수하여 같은 해 8월 16일에 한나라학원의 설립 인가를 받았고, 1955년 3월 29일에 청구고등학교로 설립 인가[3학급]를 받아 그 해 개교하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창의적인 민주 시민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밝고 굳세게’이며, 교육 정신은 ‘의에 죽고 참에 살자’이다. 학생 생활신조는 ‘웃으면서 일하는 사람이 되자’이다. 1954년 11월 8일에 동구 수정동에 있는 서울 혜화국민학교 교사를 인수하여, 1955년 1월 13일에 혜화여자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지·덕·체·정의 전인 교육을 통해 창의적이고 유능한 미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높게 꿈꾸며 바르게 행동하여 아름다운 사람이 되자’이다. 2001년 12월 30일에 화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를 받아, 2002년 3월 1일에 북구 화명동에서 개교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6대 최만공 교장이 취...
대학교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 교육 목표는 ‘인성 교육, 외국어 교육, 정보화 교육, 산학 협동 교육을 통한 맞춤식 취업 교육’이다. 학훈은 ‘근면(勤勉), 자립(自立), 협동(協同), 신앙(信仰)’이다. 1965년 2월에 동서기독교실업학교로 설립하여 개교하였다. 1970년 5월 28일에 동서학원의 설립 인가를 받고 부산실업전문학교로 예비 인가를 받았...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는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각 학술 분야의 이론과 실무를 연구·교수하고 능력과 인격을 갖춘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지역 사회와 국가, 나아가 인류 사회에 봉사한다’이다. 교훈은 ‘진리, 봉사, 자유’이다. 1955년 3월 22일에 목사 김길창에 의해 경남사범대숙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6월 30일에 서대신동...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는 ‘첫째, 개혁주의 신앙의 정통과 생활의 순결 겸비, 둘째, 넓고 깊은 학문 연구와 기술 습득, 셋째, 하나님의 나라와 인류 사회를 위한 봉사’이다. 교훈은 ‘하나님 앞에서’이다. 1946년 9월에 서구 암남동에서 고려신학교로 출발하였다. 1980년에 고신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82년 고신대학교 영...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과 용당동에 있는 국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는 ‘인류의 밝은 미래를 창조할 교양인·전문인·실천인·개성인·민족인·세계인·녹색인의 육성’이다. 교훈은 ‘미래를 우리 손으로’이다. 1996년 7월 6일에 국립부산수산대학교와 국립부산공업대학교 간의 통합에 의한 국립부경대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설립되었다. 통합 당시 각각의 대학교가 있던 위치를 국립부경대...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특수 국립 대학교의 지역 대학. 교육 목표는 ‘첫째, 고등 교육의 기회 확대 측면에서 경제, 지리, 연령 등의 이유로 대학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원격 교육 방식에 의해 고등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둘째, 일반교양 교육과 더불어 각종 직업에 필요한 전문 교육을 실시하여 국민 교육의 수준 향상에 기여하며, 셋째, 국가 사회 발전...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 교육 목표는 ‘전문적 직업인으로서의 자질과 능력 연마, 국제적 감각과 역량 겸비, 예절 바른 전인적 인간 교육’이다. 학훈은 ‘사랑, 성실, 봉사’이다. 1970년 12월 16일에 화봉학원[1967년 7월 24일 설립 인가] 산하 대동간호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1년 3월 6일에 동래구 수안동 183번지에서 개교하...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는 ‘지성인, 전문인, 평생 학습인, 국제인, 봉사인의 육성’이다. 교훈은 ‘개발, 응용, 창조, 봉사’이다. 2006년 3월 1일에 동명전문대학과 동명정보대학교의 통합에 의해 동명대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2일에 제1회 입학식[학사 과정 2,240명, 석사 과정 63명, 박사 과정 20명]과 함...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사립 대학교. 교육 목표는 ‘대한민국 교육의 근본이념과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학술과 심오한 이론과 응용 방법을 연구·교육하며, 산학 협동으로 국가 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전인 교육을 통해 창조적인 인재를 양성하여 인류 사회 발전에 이바지한다’이다. 교훈은 ‘진리[기독교의 진리를 인격의 터전으로 삼는 교육], 창조[창조적인 능력을 개발하는...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교. 동아대학교는 ‘홍익인간’이라는 건학 이념 아래 ‘심오한 학술 이론과 그 응용 방법을 연구·교육하고 사회에 봉사하며, 자주정신과 민주 시민으로서의 품격을 함양함으로써 민족의 번영과 복지 사회 실현 및 인류 문화 발전에 이바지’함을 대학 이념으로 삼고 있다. 또 ‘자유·진리·정의’라는 교시 아래 ‘새로운 과학적...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교. 교육 목표는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에 입각하여 유능한 직업 기술인 육성을 위한 전문적인 이론과 기술을 연구·교수하며, 교육 체계의 중심을 산학 협동에 두고 성실하고 창의적인 전문 기술인을 양성한다’이다. 학훈은 ‘창의, 성실, 협동’이다. 1966년에 설립된 동의학원이 1972년 7월 31일에 동의전문학교의 설립 인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는 ‘진리를 탐구하는 지성인, 정의를 구현하는 지도자, 창의를 실현하는 세계인’이다. 1966년 10월 22일 동의학원이 설립되어 1976년 12월 31일에 경동공업전문학교의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1977년 3월 1일에 경동공업전문학교로 개교하였다. 1979년 1월 10일에 동의대학으로 승격 개편되었으며,...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 건학 이념은 ‘진리(眞理)·정의(正義)·창의(創意)의 교시(敎是)와 무한불성(無汗不成)[땀을 흘리지 않으면 성공은 없다]의 동주 정신을 바탕으로 참되고 바르고 창의적인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능력과 품성을 기르고자 한다’이다. 교훈은 ‘진리, 정의, 창의’이다. 1977년 7월 30일에 석파학원이 설립되었으며, 정종섭 박사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는 인류의 구원과 복지에 기여할 세계인 양성, 국가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지도자 양성, 학문과 인격을 겸비한 지성인의 양성이다. 교훈은 ‘사랑, 진리, 봉사’이다. 천주교 부산교구는 교구 설정 30주년을 지낸 후 지역 사회의 복음화와 사제 양성을 위해 대학 건립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1988년 6...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 건학 이념은 ‘나라와 겨레에 이바지할 참된 일꾼을 기른다’이다. 학훈은 ‘참을 생각하고, 참을 찾고, 참을 행하자’이고, 교육 이념은 ‘대한민국 교육의 근본이념에 입각하여 국가 산업 발전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과 이론을 교수하고 재능을 연마하여 국가 발전에 필요한 전문 직업인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이다. 1979년 11월...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 교육 목표는 ‘소통형 인격 교육으로 사회에 봉사하는 직업인 양성, 현장 밀착형 기술 교육으로 창의적인 기술인 양성, 외국어·리더십 및 소양 교육으로 진취적인 전문인 양성’이며, 교훈은 ‘창의(創意)·진리(眞理)·봉사(奉仕)’이다. 1976년 12월 31일 성지공업전문학교 설립[이사장 정태성] 인가[4개 학과, 800명]를...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국립 교육 대학교. 교육 목표는 ‘국가와 인류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하고, 사표로서의 지도적 인격을 도야함으로써 유능하고 사명감 있는 초등 교원을 양성한다’이다. 교훈은 ‘우리는 사랑과 슬기를 길러 겨레와 인류에 이바지하는 바르고 큰길에 살자’이다. 부산교육대학교의 전신은 1946년에 초등 교원을 양성하기 위해...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국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는 ‘대한민국 교육의 근본이념에 입각하여 학술의 심오한 이론과 응용 방법을 연구하고 가르치며, 국가와 인류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를 양성한다’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창의적이고, 개방적이며, 국가와 사회를 위해 지식을 활용하고 봉사할 줄 아는 참지식인과 글로벌 전문인과 같은 인재상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 교육 목표는 ‘국가관과 민주 시민 의식이 확립된 여성 전문 직업인 양성,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봉사하는 여성 인재 양성, 전문 지식과 기능을 갖춘 현장 실무형 인재 양성, 현장 실습과 취업 지도를 통한 맞춤형 전문 직업인 양성’이다. 교훈은 ‘창의, 성실, 예절’이다. 1968년 12월 14일에 혜화학원[1954년 1...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사립 대학교. 교육 목표는 ‘인내천(人乃天) 정신과 성(誠), 경(敬), 신(信)을 교훈으로 인격을 도야하고, 문화 예술의 창달과 국가 사회 발전은 물론 세계화에 기여할 유능한 전문 예술인을 양성한다’이다. 1993년 11월 18일에 부산예술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4년 3월 11일에 개교하였다. 1998년 11월 23일에 부산문화예...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는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니라"[잠언1:7] 라는 건학 이념에 입각하여 사랑과 봉사를 실천하고자 하는 기독교 정신과 민주 이념을 바탕으로 창의력과 지도자적 인격을 함양시키고, 이를 위해 신의·진실·창의를 교시로 한다. 이에 따라 외국어와 외국 문화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 교수함으로써 다원화된...
-
6·25 전쟁 시기 부산 지역에 임시로 개설된 연합 형태의 고등 교육 기관. 1·4후퇴 이후 부산시청 건물 내에 집무하고 있던 피난 문교부가 ‘전시 교육 특별 조치에 관한 요강’을 제정 발표하였다. 즉 피난 중인 초·중등학교 학생들을 피난지 학교에 편입시키거나 사정이 허락되어 임시 교사라도 준비되는 학교에 대해서는 단독으로 수업을 재개하도록 하고, 한편 대학에 대해서는 원주지 대학...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는 ‘인간 존중의 지성인 육성, 창의력 있는 전문인 육성, 사랑과 봉사의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진리, 창조, 사랑’이다. 1964년 1월 21일에 박영학원 산하 부산여자초급대학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연제구 연산동에서 개교[가정과, 보육과, 국문과, 영문과, 관광과]하였다. 1969...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사립 대학교. ‘홍익인간(弘益人間)과 원융무애(圓融無碍)[만물과 하나 되어 걸림이 없음]’의 건학 이념을 바탕으로 ‘실사구시(實事求是)[사실을 토대로 진리를 탐구]적 학풍 구현과 동양 문화의 세계화’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96년 12월 11일에 성심학원[1973년 6월 20일 설립] 산하 영산국제산업대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인 한국폴리텍Ⅶ대학의 동부산 캠퍼스. 교육 목표는 ‘수용자 중심의 다양한 교육 훈련 과정 운영, 지역 특성화 전략에 부응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최신 시설 및 장비를 갖춘 첨단 교육 구현, 지역 사회와 함께하는 산학 협력 체제 구축’이다. 교훈은 ‘열정, 창조, 실천’이다. 1971년 12월 6일 한독 양국 간 직업...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 한국폴리텍Ⅶ대학의 부산 캠퍼스. 교육 목표는 ‘국가 기간산업·신성장 산업 분야 인력 양성[민간 부분에서 담당하기 어려운 국가 기간산업과 신산업 분야의 산업 학사 학위 과정, 기능장 등 중간 기술 인력 양성], 산업 수요에 맞는 기능 인력 양성[취업을 희망하는 청소년, 고학력 미취업자, 실직자 등을 대상으로 기능 인력[기능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에 있는 고용노동부 산하의 직업 교육 특수 대학. 한국폴리텍대학 동부산캠퍼스는 「한·독 양국 간의 직업 훈련원 설립 협정」에 의거, 한독부산직업훈련원으로 출범하여 독일의 선진 교육 훈련 기법을 한국에 도입하고자 설립되었다. 1970년 5월 16일 한국과 독일 양국이 직업 훈련원 설립 약정을 체결하였다. 1972년 9월 1일 부산직...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국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는 ‘첫째, 융합적 사고를 갖춘 해양 분야 전문인 육성, 둘째, 교양과 인격을 겸비한 성숙한 지성인 양성, 셋째, 국제적 소양을 갖추고 미래를 선도하는 지도자 배출’이다. 교훈[교육 이념]은 ‘진리 탐구, 문화 창조, 인격 도야’이다. 1919년 9월 15일에 한국해양대학교의 전신인 조선총독부 체신국 해원양성소가...
대안학교
-
부산광역시에 있는, 공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학습자 중심의 자율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 교육인적자원부에서 2007년에 발간한 『대안 교육 백서[1997~2007]』에서는 대안학교를 학력 인정 여부에 따라 크게 인가형 대안학교와 비인가형 대안학교로 구분하고 있다. 인가형 대안학교는 다시 특성화 대안학교와 위탁형 대안학교로 구분되고, 비인가형 대안학교는...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비인가 대안 학교. ‘우다다’는 ‘우리는 다 다르다’를 줄인 말로 거침없는 우다다학교는 인간 존재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특출한 개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낮은 곳의 삶과 작은 일상을 중요하게 여기는 교육을 지향하며, 세상을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크고 작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극복하는 힘과 용기를 키워 주는 것을 교육...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첫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 둘째, 개성 있고 자율적인 사람, 셋째, 창의성을 가지고 실천하는 사람, 넷째, 건전한 가치관으로 서로 믿는 사람, 다섯째, 현실을 조화롭게 보는 슬기로운 사람, 여섯째, 전통을 바탕으로 올바른 예절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교훈은 ‘참된 교육, 착한 심성, 밝은 생활’이다....
-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에 있는 사립 위탁 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인격을 지닌 창의적인 인간 교육’에 있다. 교훈은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사람이 되자’이다. 2003년 7월에 부산자유학교라는 이름으로 개교를 준비하여 같은 해 9월 30일에 부산광역시 교육청으로부터 위탁 교육 기관으로 정식 지정을 받았다. 2004년 1월 27일자로 부산자유학교로 인가를 받아 그해...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사립 대안 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신체와 의지력, 느낌, 사고력이 조화롭게 자라는 전인 교육 실천’이다. 아이들이 성장함에 따라 배우고 경험하기를 갈망하는 내적·외적 요구들에 풍요롭게 응답하는 교육 내용과 방법을 의미한다. 신라대학교에서 2000년부터 시작된 발도르프 교육 워크샵에 이어 2005년에 신라대학교발도르프교육연수원...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사립 대안 학교. 교육 목표는 인간과 사회, 자연을 상호 보완적인 하나의 유기체로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는 인간, 인종적·민족적 편견과 차별에서 해방되어 천부 인권을 누릴 수 있는 인간, 인종적·민족적 다양성을 창조적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민주적이고 창조적인 세계인, 자신과 사회에 대해 책임질 줄 아는 균형 잡힌 인간, 평화의 문화에 긍정적...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대안 학교[위탁 교육]. 부산광역시 교육청 대안 학교 위탁 교육 기관의 지정 및 학생 위탁 등에 관한 규칙 제2조, 제3조에 의거하여 대안 교육 수요 학생들을 위한 양질의 교육과 자아실현의 수립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2004년 9월 1일에 한국청소년교육원이 설립한 학력 인정 대안 학교[부산광역시 교육청 지정] 양정중학교로 부산...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1동에 있는 비인가형 대안 교육 단체. 온새미학교는 배움과 나눔의 공동체를 교육 이념으로, 공교육의 획일적인 교육에 동화되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다양성과 창의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는 미래 사회의 일원이 되고자 하는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배움의 기회와 건강한 지역 사회 공동체를 만들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립한 대안 교육 단체이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있는 사립 대안 학교. ‘하누리’란 ‘우리는 하나다’라는 순수한 우리말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가 되어 세계 선교의 비전을 품은 기독교 전통 명문 국제 학교가 되고자 하는 바람이 담겨 있다. 건학 이념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나라와 그 뜻을 이룰 수 있는 영성과, 세상에 대한 책임을 다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을 겸비한 진취적인 인재 양성’...
외국인 학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에 있는 외국인 학교.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의 자녀 교육을 위해, 국제적으로 인증 받은 프로그램을 통해 탐구적이며 존경 받을 만한 유능한 개인으로 발전시켜 지적 잠재력을 고무시키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부산국제외국인학교의 전신은 2010년 6월 23일에 폐교된 부산국제학교[ISB:International...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외국인 학교. 학습자들에게 영감과 교육을 제공하여 그들의 사회적, 지적, 정서적, 그리고 신체적 성장을 도모하고, 전 세계 최상위 계층의 대학에 입학을 준비하며 급변하는 세계의 시민과 상호 협력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96년 10월에 해운대구에서 미국인 James F. Haddon에 의해 두 명의 학생과 함...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있는 외국인 학교. 부산에 거주하는 일본인 자녀에 대해 일본국 헌법·교육 기본법·학교 교육법의 취지에 의거하여 초등 및 중등 보통 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75년 10월 1일에 가토 다이스케를 중심으로 한 부산일본인회에 의해 부산일본인학교로 수영구 민락동에서 개교하였다. 2001년 8월 1일에 각종 학교로 인...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외국인 학교. 중국어를 사용하는 외국인, 외국의 시민권 및 영주권 소지자에게 초등 교육을 실시하고, 화교 자녀들에 대한 중화 문화 교육을 통해 중화 문화를 계승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예의겸치(禮義廉恥)’이다. 6·25 전쟁 시기에 자료를 분실하여 자세한 자료가 남아 있지 않지만, 청나라 말, 중화민국 초[淸末民初]에 개...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외국인 학교. 교육 목표는 ‘중국어를 사용하는 외국인, 외국의 시민권 및 영주권 소지자에게 중등 교육 실시’이다. 6·25 전쟁으로 서울에 있던 한성화교초급중학이 부산으로 피난 와, 1951년 6월에 사하구 하단동[현 동아대학교 부지]에서 개교하였다. 1954년 7월에 한성화교초급중학 학생들 중 반이 서울로 돌아가고, 부산에 남아 있는 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