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200 |
---|---|
한자 | 大淸中學校 |
영어의미역 | Daicheong Middle School |
이칭/별칭 | 대청중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차성서로 3[청강리 69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정훈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조화로운 인격을 갖춘 미래의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감사하는 마음으로 힘써 배우고 봉사하는 사람이 되자’이다.
[변천]
2003년 1월 1일에 대청중학교로 설립 인가[8학급]를 받아, 그해 3월 5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8학급, 192명]을 거행하였다. 2006년 2월 24일에 제1회 졸업식을 통해 207명이 졸업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4대 임연복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0일에 제7회 졸업식을 통해 288명이 졸업하여 총 1,992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대청중학교는 학생 중심의 맞춤형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공동체 의식 함양으로 ‘우리’ 바로 서기 교육을 비롯하여 지역 사회와 연계한 봉사 활동을 하고 있으며, 학생과 전 직원이 아침 독서 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전교생 1인 1종목 학교 스포츠 클럽 가입 및 활동을 하도록 하여 건강한 정신을 함양하도록 하고 있다. 2012년 현재 대청중학교는 ‘행복한 학습 플레너를 활용한 자기 주도 학습력 신장’, ‘학년별 맞춤형 3-Dream 교육을 통한 창의·인성 계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신나는 토요 스쿨 운영’, ‘배려와 나눔의 따뜻한 인성 함양’이라는 특색 사업을 통하여 자기 주도 학습·인성 교육·토요 스쿨 등에 힘쓰고 있다.
2007년 12월 24일에 전국 100대 교육 과정 최우수 학교[독서 논술 부문] 표창을 수상하였고, 2011년 1월 26일에는 영국문화원 주관 아시아 네트워크[CC] 사업 기후 변화 프로젝트 수행 전국 대상을 수상하였다. 2012년 2월 7일에 YCCA와 함께하는 기후 변화 프로젝트 수행 2년 연속 전국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2012년 3월 현재 사교육 절감형 창의 경영 학교를 2년차 운영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정득수/작곡 변해주]
백두산 밝은 정기 한 아름 안고/ 푸르른 동해 바다 나래를 펴면/ 미래의 꿈 세계를 향해 힘차게 달려 나간다/ 청운의 샘이 솟는 희망찬 대청중학교.
2. 교목: 느티나무이다. 넓은 그늘은 봉사하는 마음을, 골고루 퍼진 가지는 조화로운 질서를, 단정한 잎은 예의를, 이러한 품격은 대청인의 기상을 나타낸다.
3. 교화: 동백나무이다. 낮은 기온에도 잘 견디는 강인함과 정열을 상징하는 붉은색 꽃잎, 화합을 뜻하는 겹꽃의 모양, 젊음을 의미하는 진녹색 활엽은 대청인의 모습을 나타낸다.
4. 캐릭터: ‘청비’와 ‘청아’이다. ‘청비’는 대청중학교의 교목인 느티나무를 남학생으로 표현한 것이다. 머리의 나뭇잎은 느티나무의 잎이 차곡차곡 쌓이듯 지식이 쌓임을, 안경은 대청인이 세상을 넓게 본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청소년의 상징인 여드름은 오대양 육대주로 표현하여 대청중학교 출신이 전 세계에서 일익을 담당한다는 뜻을 담았다. ‘청아’는 동백꽃을 발랄한 여학생으로 표현한 것이다. 머리의 빨간 모자는 대청중학교의 교화인 동백꽃을 단순화한 것이며, 여드름은 ‘청비’와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현황]
2013년 3월 2일 현재 총 25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762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9학급에 269명, 2학년은 8학급에 248명, 3학년은 8학급에 245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44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4명으로 총 60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1만 5683㎡로, 이 중 건축 면적이 3,072.69㎡, 운동장 면적이 4,300㎡, 녹지 및 기타 부지 면적이 8,310.31㎡이다. 영어 카페, 영어 전용 교실, 도서실, 미술실, 음악실, 컴퓨터실, 미디어 스페이스, Wee class, 방송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