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918
한자 釜山文化女子高等學校
영어공식명칭 Busan Culture Girl's High School
이칭/별칭 부산문화여고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469번길 50[우동 1025-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립 고등학교
설립자 한독학원
전화 051-746-8238
홈페이지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http://bs-moonhwa.hs.kr)
개교 시기/일시 1969년 3월 6일연표보기 - 한독여자실업학교로 개교
개교 시기/일시 2004년 3월 1일 - 한독문화여자고등학교로 재개교
이전 시기/일시 1976년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469번길 50[우동 1025-8번지]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82년연표보기 - 한독여자실업학교에서 한독여자실업고등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6년 8월 28일연표보기 - 한독여자실업고등학교에서 한독경영정보여자고등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4년 3월 1일연표보기 - 한독경영정보여자고등학교에서 한독문화여자고등학교로 개칭[재개교]
개칭 시기/일시 2009년 1월 23일연표보기 - 한독문화여자고등학교에서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한독여자실업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
주소 변경 이력 한독여자실업학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469번길 50[우동 1025-8]
현 소재지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469번길 50[우동 1025-8]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인간 교육, 국제화 교육, 직업 기술 교육, 평생 학습 교육’이다. ‘인간 교육’은 정직하고 근면하며 화합과 봉사 정신을 겸비한 사람을 기르며, ‘국제화 교육’은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외국어 능력을 갖춘 사람을 기르고, ‘직업 기술 교육’은 무한 경쟁의 지식 정보화 시대에 대처할 수 있는 기능과 능력을 갖춘 사람을 기르며, ‘평생 학습 교육’은 자신의 삶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훈은 ‘사랑을 원리로[성실을 바탕으로 사랑과 믿음이 충만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인간을 존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바람직한 인격 형성], 기술을 목표로[국제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슬기롭게 적응할 수 있는 창의성과 전문성을 갖춘 유능한 직업여성으로서의 자질 함양], 검약을 생활로[친절·청결·질서를 생활화하고, 항상 창의성을 계발하면서 근면하고 절약하는 충실한 생활 태도의 확립과 바람직한 한국의 여성상 실현]’이다.

[변천]

1969년 3월 6일에 한독여자실업학교로 설립되어 개교하였다. 1976년에 남구 우암동 교사에서 해운대구 우동의 현 교사로 이전하였다. 1982년에 한독여자실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96년 8월 28일에 한독경영정보여자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야간부를 폐지하였다. 2004년 3월 1일에 특성화 고등학교인 한독문화여자고등학교로 다시 개교하였다. 2009년 1월 23일에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8대 노오영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42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2만 2488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의 교육 중점 활동은 인간 존중을 지향하는 기초 기본 교육 충실, 지식 기반 사회를 이끌 인적 자원 개발, 학교 경영 자율화로 책임 운영제 확립, 3대 기본 교육 운동의 지속적인 추진, 소질과 적성에 맞는 특성화 교육 강화, 외국어·정보화 교육 강화, 독서 교육을 통한 인성 지도 강화, 선진화된 학교 교육 환경 조성이다. 학교 특색 사업은 글로벌 인재 양성반을 통한 글로벌 인재 양성이다. 그 목적은 첫째, 기능 기술 및 외국어 능력을 겸비한 글로벌한 산업 인재를 양성하고,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의 알찬 직업 교육을 실현하는 데 있다. 이러한 특색 사업을 실현함으로써 ‘해외 인턴십을 통한 특성화 고등학교 진로 선도에 따른 직업 교육 활성화와 글로벌 인재 양성반 운영’으로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알찬 운영, 영어[외국어] 의사소통 능력 함양 기회 제공, 학생들의 자존감 증진으로 교육 포부 수준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김태홍/작곡 이상근]

수평선 바라보는 오붓한 기슭에/ 영롱한 꿈을 가꾸어 꽃을 피운다/ 창조하는 자유를 누리고/ 생활하는 슬기를 익힌다/ 오! 오늘의 보람 찬란히 내일은/ 빛나라 우리의 요람/ 그 이름도 아름다운 부산문화여고.

2. 교표: 시작과 끝이 없는 큰 원형은 세계화를 상징하며, 이 원형을 둘러싼 다섯 개의 둥근 날개는 배꽃잎이다. 이는 배꽃의 정갈함을 바탕으로 순수와 조화를 이루는 진리에 기초하여 지혜와 지식을 갈고닦으며, 서로 협력하면서 전문 지식으로서 세계를 이끌어 가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원 안의 학교 이름을 둘러싼 작은 원은 세계를 향한 원대한 포부를 가지고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표출하면서 부드럽고 온화한 덕성을 나타낸다. 원 안에 표기된 1965년은 학교의 설립 연도를 의미하고, ‘C’는 ‘culture’, ‘G’는 ‘girl’의 이니셜을 뜻한다. 전체적으로 교표는 초록색으로 되어 있는데, 초록은 자연과 더불어 청순한 심성으로 생활하자는 뜻으로, 뜨거운 정열과 창의성으로 기술을 연마하고 꿈을 펼쳐 나가자는 의미로 영원한 발전과 희망을 상징한다.

3. 교목: 동백나무이다. 강인하면서도 아름다운 내면의 가치를 추구하는 동백나무는 정열적인 의지로 세계를 이끌어 갈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학생의 기상을 담고 있다.

4. 교화: 국화이다. 고결한 품성과 청결함이 돋보이는 국화는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학생이 지녀야 할 온유하면서도 성실한 삶의 자세를 나타낸다.

[현황]

2012년 기준 총 24학급에 732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8학급에 236명, 2학년은 국제 관광과 2학급, 유아 교육과 2학급, 패션 디자인과 2학급, 보건 간호과 2학급에 248명, 3학년은 국제 관광과 2학급, 유아 교육과 2학급, 패션 디자인과 2학급, 보건 간호과 2학급에 248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58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6,616㎡로, 이 중 교사 대지 면적이 2,056㎡, 체육장 면적이 4,560㎡이다. 디자인 실습실, 패션 준비실, 항공 운항 실습실, 병원 코디네이트실, 과학실, 음악실, 미술실, 컴퓨터실, 도서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