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580 |
---|---|
한자 | 釜山映像藝術高等學校 |
영어의미역 | Busan Visual Arts High School |
이칭/별칭 | 부산영상예술고교,부산영상예고,영상예술고등학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상길 100[신선동 3가 71-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명희 |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에 있는 공립 특수목적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적인 영상 예술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바르게, 다르게, 다 함께’이다.
[변천]
1954년 9월 10일에 부산남여자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55년 4월 25일에 영도구 신선동 3가에서 개교하였다. 2001년 3월 1일에 부산영상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2007년 10월 31일에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25대 안연균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56회 졸업식을 통해 171명이 졸업하여 총 2만 427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는 2001년 3월 1일 대한민국 최초의 영상 분야 특성화 고등학교[특정 분야 인재 및 전문 직업인 양성을 위한 특성화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고등학교]로 개편된 이래, 인성 교육 강화와 창의력 신장 교육, 발전적 비전 제시 등을 통한 창의·인성 교육, 기초·기본 교육의 충실과 교실 수업 개선, 방과 후 학교 운영의 내실화 등을 통한 학력 신장 교육, 영상 예술 인재 교육 강화와 전문 동아리반 운영, 진로·직업 교육의 내실화 등을 통한 전공 심화 교육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 특색 사업으로 전문 동아리 활동을 통한 영상 예술 인재 육성, 가정과 연계한 흡연 학생의 금연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2002년 12월 21일에 우수 시설 학교로 지정[교육부]되었고, 2003년 12월 23일에는 전국 교육 과정 최우수 학교로 선정[교육부]되었다. 2004년 5월 6일에 실업계 고등학교 재정 지원 사업 평가 우수 학교로 선정[교육부]되었고, 2006년 1월 5일에 중국 상하이의 공강중학과 자매결연을 맺었다. 2011년 4월 19일에 2010학년도 특성화 고등학교 평가 결과 최우수 학교로 선정[교과부]된 바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홍두흘/작곡 이상근]
봉래산 높은 봉은 울이 되었고/ 동해의 넓고 푸른 뜰을 바라며/ 여기 사랑으로서 한 형제 이룬/ 성스러운 우리 집 진리의 전당/ 성스러운 우리 집 진리의 전당/ 영상예술고 영상예술고/ 미래를 장식할 꿈도 크거라/ 희망을 찬양하는 노래 크도다/ 희망을 찬양하는 노래 크도다.
2. 교목: 소나무이다. 변하지 않는 꿋꿋한 기상과 곧은 인품으로 미래를 개척하고 생활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3. 교화: 개나리이다. 희망을 가지고 새롭게 개척해 가는 강인한 생명력으로 더불어 함께 조화되는 즐겁고 행복한 삶을 이루어 가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4. 교조: 까치이다. 반가운 소식을 매일 전하듯이, 기쁨이 충만하여 매일 새롭게 도약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현황]
2012년 3월 기준 총 24학급[각 학년별 영상 제작과 2학급, 영상 연출과 2학급, 연기과 2학급, 영상 디자인과 2학급[특수 학급 1학급]]에 556명[남 278, 여 278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8학급에 201명, 2학년은 8학급에 185명, 3학년은 8학급에 170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60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6명으로 총 78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2만 2230.55㎡로, 체육관, 미술실, 음악실, 컴퓨터실, 과학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