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222
한자 釜山體育中學校
영어공식명칭 Busan Sport Middle School
이칭/별칭 부산체육중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중리북로 21[동삼동 550-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중학교
전화 051-400-3090
홈페이지 부산체육중학교(http://busport.ms.kr)
개교 시기/일시 1973년연표보기 - 부산체육학교로 개교
개교 시기/일시 2013년 3월 - 재개교
개칭 시기/일시 2013년 3월연표보기 - 부산체육학교에서 부산체육중학교로 개칭[재개교]
최초 설립지 부산체육학교 - 부산광역시 영도구 중리북로 21[동삼동 550-2]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체육중학교 - 부산광역시 영도구 중리북로 21[동삼동 550-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창의적 사고와 넉넉한 품성을 바탕으로 명예를 존중하고 국위를 선양할 수 있는 체육인 육성’이다. 교훈은 ‘땀이 강물이 되고 신이 잠에서 깨고’이다.

[변천]

1973년에 부산체육학교로 개교하였다. 1975년까지 중학교 교육 과정으로만 운영하다가 1976년에 부산체육고등학교가 개교되면서 2012년까지 체육 고등학교 교육 과정으로만 운영하였다. 2012년 10월 31일에 태종대중학교 체육 학급[2개 학년 각 1학급]과 신설 체육 중학교 신입생을 합하여 2013년 3월에 부산체육중학교로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으로 김창민이 취임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체육중학교는 특수 학교에 맞는 교육 과정을 운영하여 스포츠 국제 경쟁력 제고에 맞는 체육 영재 육성과 인간 교육에 충실하고 있다. 이에 먼저 일반 교과 운영과 전문 교과 운영을 구분하며, 창의적 체험 활동을 실시하는데, 창의적 체험 활동은 동아리 운영, 자율 활동, 봉사 활동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학교 특색 사업은 첫째, 종목별 체력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출전 체력 인증제 실시이다. 스포츠의 과학화가 이루어지면서 경기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체육학의 연구도 놀랄 만큼 발전해 왔다.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은 체력 측정 평가의 가치가 크다는 현실을 중시한 결과이다. 체력 측정은 신체 활동의 효과 및 그 효과가 존재하는 모든 요인에 대한 측정을 통하여 체육 활동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글로벌 선수 육성을 위한 스포츠 선진국 국제 교류 강화이다. 스포츠 선진국의 우수한 기술, 훈련 과정, 경기 운영 방법을 습득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훈련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본교 선수들의 잠재력을 계발하고 운동 기량을 향상시켜 국제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선수를 육성한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박지홍/작곡 이상근]

보아라 여기 남해 푸른 바다엔/ 충무의 슬기가 넘쳐흐르고/ 장엄한 태종대의 산과 들에는/ 화랑의 기개가 굽이치누나/ 그 슬기와 기개를 고이 받들어/ 우리는 빛내리 부산체육중/ 우리는 빛내리 부산체육중.

2. 교목: 월계수이다.

3. 교화: 동백이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3학급에 72명[남 43, 여 29]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1학급에 27명[남 14, 여 13], 2학년은 1학급에 20명[남 11, 여 9], 3학년은 1학급에 25명[남 18, 여 7]이 재학하고 있다. 종목은 육상, 체조, 수영, 조정, 양궁, 역도, 레슬링, 유도, 정구, 근대 3종, 사격, 그 외 일반이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9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3명으로 총 14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4만 2920㎡로, 이 중 교사 면적이 5,929㎡, 운동장 면적이 1만 4071㎡이다. 스포츠 과학 교사실, 컴퓨터실, 복싱부실, 조정부실, 양궁부실, 유도부실, 수영부실, 체조부실, 레슬링부실, 역도부실, 다목적 연습장 체조부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