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1013
한자 釜山-大學校
영어공식명칭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오륜대로 57[부곡동 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 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립 종합 대학교
설립자 이갑수[가브리엘] 주교
전화 051-515-5811
홈페이지 부산가톨릭대학교(http://www.cup.ac.kr)
인가 시기/일시 1990년 12월 24일 - 부산가톨릭대학으로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91년 3월 1일연표보기 - 개교
개칭 시기/일시 1999년 12월 9일 - 부산가톨릭대학에서 부산가톨릭대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11월 18일 - 부산가톨릭대학과 지산대학 통합 승인
최초 설립지 부산가톨릭대학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
현 소재지 부산가톨릭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오륜대로 57[부곡동 9]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인류의 구원과 복지에 기여할 세계인 양성, 국가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지도자 양성, 학문과 인격을 겸비한 지성인의 양성이다. 교훈은 ‘사랑, 진리, 봉사’이다.

[변천]

천주교 부산교구는 교구 설정 30주년을 지낸 후 지역 사회의 복음화와 사제 양성을 위해 대학 건립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1988년 6월 17일에 부산가톨릭대학 설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6월 27일 문교부에 대학 설립 승인 신청서를 제출하였다. 문교부로부터 12월 20일 학교 법인 성모학원 소속으로 부산가톨릭대학 설립 승인을 취득하였다. 초대 학장으로 이홍기 신부가 취임하였다.

1990년 9월 23일 부산가톨릭대학 건축 기공식을 가졌고, 12월 24일에 교육부로부터 설립 인가를 취득하였다. 1991년 3월 2일 신입생 18명 편입생 7명으로 개교하였다. 1993년 9월 3일 간호학과 신설 인가를 받았고, 1994년 부산가톨릭대학 신학대학원 신설 인가를 받았다. 4년여의 공사 끝에 성당, 대학 본관, 기숙사 등을 준공하고 1993년 10월 7일 이갑수 주교의 주례와 교황 대사 등 2,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완공 축복식을 가졌다.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 적응하고자 3년에 걸친 지산대학과의 통합 논의를 통해 1999년 11월 18일 통합 승인을 받고, 같은 해 12월 9일 부산가톨릭대학에서 부산가톨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0년 3월 2일 정영한 신부가 초대 총장으로 취임했으며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2001년 3월 2일 제2대 총장 손삼석 신부가 취임했으며, 2005년 9월 1일 제3대 총장으로 손삼석 신부가 연임하게 되었다. 2007년 1월 1일 제4대 총장으로 윤경철 신부가 취임했으며 이후 2011년 1월 1일 제5대 총장으로 윤경철 신부가 연임하게 되었다.

[교육 활동]

2000년대 이후 대만 보인 가톨릭대학교[2000년], 베트남 호치민 인문사회과학대학교[2005년], 일본 성마리아학원대학[2007년] 등과 자매결연을 하였다. 그 외 국내외 많은 대학과 MOU를 체결하고 학술 교류 협정을 맺었으며, 중소기업과 산학 협정을 통해 우수 인재를 취업시키고 있다. 한편 부산가톨릭대학교 설립 목적의 하나인 사제 양성은 신학과에서 매년 15명 전후로 배출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해인/ 작곡 윤용선]

깊은 생각 맑은 마음 밝은 지혜를/ 정성껏 갈고 닦는 우리 배움의 터전/ 성실하고 겸손한 첫 마음으로/ 진리의 등불을 밝히는 우리/ 진리 사랑 봉사를 배우며 하나 되는 곳/ Al-ma Ma-Ter 부산가톨릭대학교.

2. 교목: 은행나무이다.

3. 교화: 장미이다. 장미의 라틴어 어원을 따라가 보면 그리스도와 성모 마리아의 생애를 묵상하는 묵주 기도[Rosario Rosarium]로 연결되며,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대학의 이념과 일맥상통한다. 장미의 꽃말처럼 열정을 가지고 학문의 진리를 탐구하고, 인간 존중과 생명 사랑을 실천하는 부산가톨릭대학교인이 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4. 상징탑: 씨엔시아 엣 빡스이다. 5개 단과 대학을 상징하는 5권의 책이 꼽혀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 대학이 학문의 장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책 위에 지구 모양의 구를 두고 대학의 상징 동물인 비둘기가 지구 밖으로 힘차게 도약하는 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시대를 맞아 현재의 위치를 탈피하여 과감하게 도약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현황]

2013년 3월 현재 5개 단과 대학[신학대학, 간호대학, 보건과학대학, 응용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1개 학부[인성교양부], 19개 학과와 일반 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부속 기관으로 중앙 도서관, 정보 전산원, 교수 학습 개발 센터, 사회 봉사 센터, 산학 협력 센터, 창업 보육 센터, 종합 인력 개발원, 종합 봉사실, 예비군 대대, 학생 생활 상담실, 의무실, 신문사, 방송국, 출판부, 학생 생활관 등이 있으며, 부설 연구소로 병원경영컨설팅연구소, 인문학연구소, 간호과학연구소, 보건과학연구소, 응용과학연구소, 경영사회복지연구소가 있다. 부설 교육 기관으로 평생교육원이, 협력 연구소로 부산교회사연구소가, 협력 교육 기관으로 신학원과 음악교육원이 있다. 전체 학생 수는 약 4,000여 명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