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766
한자 大眞情報通信高等學校
이칭/별칭 대진정보통신고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수림로 92[장전동 657-1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창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립 고등학교
설립자 대진학원
전화 051-582-8121
홈페이지 대진정보통신고등학교(http://www.pdj.hs.kr)
인가 시기/일시 1995년 10월 30일 - 대진전자공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
개칭 시기/일시 1996년 8월 5일연표보기 - 대진전자공업고등학교에서 대진전자정보고등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2년 3월 2일연표보기 - 대진전자정보고등학교에서 대진정보통신고등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3월 31일 - 정보 통신 특성화 고등학교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 교육용 로봇 활성화 학교 지원 사업에 선정
최초 설립지 대진전자공업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수림로 92[장전동 657-13]지도보기
현 소재지 대진정보통신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수림로 92[장전동 657-1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창의적 사고로 미래를 준비하는 참된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목표 아래 학교 경영 방침인 창의 인성 교육 내실화, 직업 기초 능력 및 학력 신장, 창의적 기술인 양성 등을 실현하고자 한다. 교훈은 ‘성실, 경건, 신념’이다.

[변천]

대순진리회의 종지인 음양 합덕, 신인 조화, 해원 상생의 기본 이념을 바탕으로 하여 1995년 10월 30일에 대진전자공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6년 3월 5일에 전자과[3학급], 전자 계산기과[3학급], 전자 통신과[3학급], 디자인과[3학급]를 편성하여 제1회 입학식[674명]을 거행하였다. 같은 해 8월 5일에 대진전자정보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1년 3월 31일에 정보 통신 특성화 고등학교로 지정받아, 2002년 3월 2일에 대진정보통신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4일에 제15회 졸업식을 통해 276명이 졸업하여 총 6,842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에 제3대 구기노 교장이 취임하였다.

[교육 활동]

대진정보통신고등학교는 3무[무폭력, 무흡연, 무결석] 운동 실천 및 인성 교육 실천 학교로, 전국 유일의 정보 통신 특성화 학교로 선정되어 정보 통신 분야에 우수한 인력을 배출해 왔다. 2007년에 부산광역시 특성화 모델 학교, 변화 선도 학교로 선정되었으며, 2011학년도에는 교육용 로봇 활성화 학교 지원 사업에 선정[교육학술정보원]되었고, 제3회 정보 과학 인재 양성 최우수 학교로 선정[교육과학기술부 상 수상]되었다.

1996년에 학생 생활 지도 우수 학교로 선정되어 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으며, 1997년에는 교육부 지정 인터넷 활용 교육 시범 학교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에 전국 시·도 교육청 평가 학교 정보화 분야 평가에서 전국 1위를 하였으며, 1998년에는 교육 활동 유공 학교 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2006년에 제8회 국제 로봇 올림피아드 세계 대회[호주]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였고, 2008년에 2008 국제 로봇 올림피아드 전국 대회에서 은상을 수상하였다. 같은 해에 국제 로봇 소프트웨어 경진 대회에서 금상을 수상[교육부 장관상]하였다. 2009년부터 교육용 로봇 시범 학교로 선정되어 운영하였으며, 그해에 교원 능력 개발 평가 선도 시범 학교를 운영하였다.

2010년에 2010 로봇 올림피아드 전국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같은 해에 전국 과학전람회 전국 대회에서 입상[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 수상]하였으며, 전국 학생 로봇 경진 대회에서 입상[교육과학기술부 장관 표창]하였다. 2011년부터 교육용 로봇 활성화 학교 지원 사업에 선정[교육학술정보원]되어 운영하였으며, 동년에 제3회 정보 과학 인재 양성 최우수 학교로 선정되어 교육과학기술부상을 수상하였다. 2012년에는 발명 특허 지원 사업에 선정[특허청]되어 운영하였으며, 직업 기초 능력 강화 지원 사업에도 선정되어 운영하였다. 그해에 로봇 동아리 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운영하였으며, 대한민국 좋은 학교에 선정되고 경주 세계 APEC 교육 장관 회의 박람회에 참가하였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오한석/작곡 이영조]

태백 정기 이어받은 금정산 아래/ 이 겨레의 새 역사를 이루기 위해/ 슬기로 닦아 나갈 진리의 터전/ 성실하게 쌓아 가 대진의 전당/ 영원히 영원히 길이 빛나리 온 누리에/ 빛나리 대진 대진 우리의 대진.

2. 교목: 소나무이다. 소나무는 사시사철 푸르고 온갖 풍상(風霜)에도 잘 견디는 강인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절개와 불굴의 의지를 상징한다. 이러한 소나무는 자자손손 지켜 온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을 한 점 흐트러짐 없이 지키고 이어 가려는 대진인의 기상을 상징하고 있다.

3. 교화: 무궁화이다. 무궁화는 7~8월에 줄기차게 피고 특히 매일 이른 새벽에 피며, 100일 동안 매일 새 꽃이 피어나 계속 신선한 모습을 보여 준다. 이러한 무궁화의 생태학적 특성은 쓰러지면 곧 새롭게 일어서는 우리 민족성을 그대로 나타내어 끈기를 상징한다. 이와 같이 무궁화는 어떠한 역경에 처하더라도 굴하거나 좌절하지 않는 대진인의 정신을 상징하고 있다.

4. 교조: 학이다. 학의 고고한 기상은 선비의 이상적인 성품을 상징한다. 또한 학은 장수(長壽)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새로서 학을 물건에 새기면 장수, 행복, 풍요의 운이 찾아 든다고 하였다. 그 고결함과 순수함 때문에 우리나라 사람들의 특별한 애착을 받고 있는 길조인 학은 오늘날 분단국가의 하나 됨을 위한 순수성을 부르짖는 대진인의 상징이 되고 있다.

5. 교수: 소이다. 소는 인내와 끈기, 근면함과 노력을 상징하는 동물로서 언제 봐도 해맑은 눈동자와 근면함 때문에 우리 민족의 삶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녀 왔으며, 특히 농경 사회에서는 모든 가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축이었다. 사찰에서 수행자의 구도 과정을 ‘소를 찾는 그림’으로 표현하고 있듯이, 소는 또한 진리를 상징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소의 성질을 닮아 항상 근면 성실하며 진리를 찾아서 끝없이 정진하는 대진인을 상징한다.

[학교 현황]

2013년 현재 총 36학급에 879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로봇 전자과 3학급에 75명, 컴퓨터 정보과 3학급에 76명, 인터넷 정보 통신과 3학급에 75명, 멀티미디어 디자인과 3학급에 75명, 2학년은 로봇 전자과 3학급에 70명, 컴퓨터 정보과 3학급에 73명, 인터넷 정보 통신과 3학급에 75명, 멀티미디어 디자인과 3학급에 68명, 3학년은 로봇 전자과 3학급에 75명, 컴퓨터 정보과 3학급에 75명, 인터넷 정보 통신과 3학급에 69명, 멀티미디어 디자인과 3학급에 73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73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6명으로 총 91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1만 3989㎡, 연면적은 1만 7061㎡, 건축 면적은 2,862㎡, 운동장 면적은 8,120㎡이다. 정보 관리실, 디지털 정보실, 정보 통신실, 디지털 회로실, 멀티미디어 디자인실, IT 실습실, 연극부실, 미술실, 디지털 전자실, 통신 시스템실, 멀티미디어실, 프로그래밍실, 제과 제빵 조리실, 영어 전용 교실, 체력 단련실, 인터넷 응용실, 컴퓨터 제어실, 디자인실, 소묘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