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393
한자 韓國-大學東釜山-
영어공식명칭 Korea Polytechnic VII, Dong Busan Campus
이칭/별칭 한독부산직업훈련원,한독부산직업전문학교,한국산업인력공단 한독부산직업전문학교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산단4로 2-69[달산리 938-4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재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직업 교육 특수 대학
전화 051-609-6000
홈페이지 한국폴리텍대학 동부산캠퍼스(http://dongbusan.kopo.ac.kr/)
설립 시기/일시 1972년 9월 1일연표보기 - 한독부산직업훈련원 설립
이전 시기/일시 2000년 2월 12일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94년 7월 1일연표보기 - 한독부산직업훈련원에서 한독부산직업전문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8년 1월 1일연표보기 - 한독부산직업전문학교에서 한국산업인력공단 한독부산직업전문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6년 3월 1일연표보기 - 한국산업인력공단 한독부산직업전문학교에서 한국폴리텍대학 동부산캠퍼스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0년 5월 16일 - 한국, 독일 양국 간 직업 훈련원 설립 약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7년 5월 10일 - 공공 직업 훈련 법인으로 전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2년 3월 18일 - 한국직업훈련관리공단에 통합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4월 26일 - 독일 로버트 보쉬 공업 학교와 자매결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2월 22일 - 고등 3년 과정 해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3월 2일 - 기능사 1년 과정 입학
최초 설립지 한독부산직업훈련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 1동 153-8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한국산업인력공단 한독부산직업전문학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938-40
현 소재지 한국폴리텍대학 동부산캠퍼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산단 4로 2-69[달산리 938-4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에 있는 한국폴리텍대학 캠퍼스.

[설립 목적]

한국폴리텍대학 동부산캠퍼스는 「한·독 양국 간의 직업 훈련원 설립 협정」에 의거, 한독부산직업훈련원으로 출범하여 독일의 선진 교육 훈련 기법을 한국에 도입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1970년 5월 16일 한국과 독일 양국이 직업 훈련원 설립 약정을 체결하였다. 1972년 9월 1일 부산직할시 동래구 온천 1동 153-8번지에 한독부산직업훈련원을 개원하고 고용노동부 직할 3년 과정 제1기생이 입학하였다. 1977년 5월 10일 공공 직업 훈련 법인으로 전환하였다. 1982년 3월 18일 한국직업훈련관리공단에 통합되었다.

1990년 4월 26일 독일 로버트 보쉬 공업학교와 자매결연을 하였다. 1993년 2월 22일 고등 3년 과정이 없어지고 1993년 3월 2일 기능사 1년 과정생이 입학하였다. 1994년 7월 1일 한독부산직업전문학교로, 1998년 1월 1일 한국산업인력공단 한독부산직업전문학교로 각각 개칭하였다. 2000년 2월 12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938-40번지로 신축 이전하였다. 2006년 3월 1일 기능 대학과 직업 전문학교가 통합됨에 따라 한국폴리텍대학 동부산캠퍼스로 통합 출범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국폴리텍대학 동부산캠퍼스는 2013년 현재, 1년 과정의 직업 교육 훈련을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비는 물론 실습 재료비, 기숙사비, 식비 모두 무료이다. 이론과 실기 교육 비율은 3대 7로 절대적 현장 실무 적응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기계[CNC 선반, 머시닝 센터, 컴퓨터 응용 기계], 산업 설비[자동화 용접, 특수 용접], 전기 제어[전기 시스템 제어], 전자 통신[전자·통신], 자동차[그린카 정비] 직종을 운영하고 있으며, 입학자는 월 20만 원의 수당과 5만 원의 교통비를 지급 받는다. 입학 자격은 연령 제한 없이 15세 이상이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직업 교육의 우수한 노하우와 장비를 활용하여 중소 업체에 대한 현장 애로 기술 지도와 장비 공동 활용, 직종별 기술 교류회, 세미나 및 워크숍 개최, 국책 기술 개발을 통한 기업 지원 사업도 활발히 펼쳐 나가고 있다.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동일고무벨트, 성동조선해양, 도스코, 삼성전자서비스, 현항공산업 등은 물론,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지역본부 등 국내외 유수의 500여 개 산업체와 산학 협력을 체결하여 모범적인 산학 연구 및 실습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부경대학교, 동명대학교, 양산대학교와 양해 각서[MOU: Memorandum of Understanding]를 체결하는 등 학·학 교류 협력을 활성화하고 있다.

[현황]

한국폴리텍대학 동부산캠퍼스의 조직은 학장 아래 교학팀, 행정팀, 산학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학팀 아래 컴퓨터응용기계학과, 산업설비학과, 전기제어학과, 스마트전자제정과, 자동차학과 등이 있다. 캠퍼스 내 건물로 대학본관, 기술1교육관, 기술2교육관, 기술3교육관, 하이테크노센터, 후생관[식당], 화랑관[생활관]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폴리텍대학 동부산캠퍼스는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 육성에 주력하여 최근 3년 평균 자격증 취득률이 97%에 달하고 있으며, 100% 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기업 전담제 등을 통하여 취업을 지원해 주고 있다. 한국폴리텍대학 동부산캠퍼스는 앞으로 FL시스템, 채용 맞춤 교육, 기업 전담제 전략을 대폭 강화하는 등 기업체와 산학 협력을 통한 수요에 맞는 현장 중심 교육 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 향후 동부산권 글로벌 기술 리더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실무형 인재 육성 전문 직업 교육 훈련 기관으로 교육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취업으로 연결하여 ‘입학이 곧 취업’, ‘평생 직업의 꿈이 실현되는 곳’이 될 수 있도록 산업 현장과 지속적인 연계를 통해 철저한 실무 중심 교육에 주력하고 있다.

여성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하여 IT직종, 전자, CAD 등 여성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여성 단체 등 유관 기관과 여성 인력 개발 협의체를 구축하여 여성 전문 직종 교육 훈련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 산업 단지 등과 공조 체제를 강화하여 조선 해양, 자동차 부품 전문 인력 양성 기관 특성화 학교로 발돋움하고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한** 부산 폴리텍대학교가 엣날 한독 직업전문학교아닌가요 그 폴리텍대학교 1년만 하면운 졸업인걸로 알고있는데 2019.02.1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