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252
한자 東峴初等學校
영어의미역 Donghyun Elementary School
이칭/별칭 동현초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동현로 36[부곡동 33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경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초등학교
설립자 부산직할시
전화 070-8620-7000
홈페이지 동현초등학교(http://bs-donghyun.es.kr)
인가 시기/일시 1977년 12월 30일 - 동현국민학교로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7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동현국민학교로 개교[36학급]
개칭 시기/일시 1996년 3월 1일연표보기 - 동현국민학교에서 동현초등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0년 3월 1일 - 서동국민학교로 1,407명 분리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6년 3월 9일 - 교동국민학교로 8학급 299명 분리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8년 5월 10일 - 광주 풍향국민학교와 자매결연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3월 1일 - 다문화 탈북 이해 교실 운영
최초 설립지 동현국민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동현로 36[부곡동 337]지도보기
현 소재지 동현초등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동현로 36[부곡동 33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서로 돕고 깊이 생각하는 건강한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변천]

1977년 12월 30일에 동현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8년 12월 22일에 금정구 부곡동에서 개교[36학급]하였다. 1980년 3월 1일에 서동국민학교로 1,407명을, 1986년 3월 9일에 교동국민학교로 8학급 299명을 각각 분리 이관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동현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11대 안명조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34회 졸업식을 통해 168명이 졸업하여 총 1만 118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동현초등학교는 자율적이고 책임감 있으며 따뜻한 품성을 가진 ‘서로 돕는 어린이’, 스스로 탐구하며 창의적이고 실력이 있는 ‘생각하는 어린이’, 환경을 깨끗이 하며 몸과 마음이 건강한 ‘건강한 어린이’ 구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학교 특색 사업으로 ‘동현 실력 UP 맞춤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학력 신장, 동현-e[easily] 찾아간 문화 예술 현장 체험을 통한 창의·인성 함양 등을 실시하고 있다. 1988년 5월 10일에 광주의 풍향국민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었으며, 2011년 3월 1일에는 다문화 탈북 이해 교실을 운영하였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김광석/작곡 김종태]

구월산 봉우리는 희망의 동산/ 이 고을 새싹들이 여기 모였다/ 푸른 꿈 뜻을 심어 가꾸는 우리/ 영원히 빛나거라 우리 동현교.

2. 교목: 소나무이다. 소나무의 늘 푸른 잎새와 치솟는 푸른 가지, 의연한 자태에서 푸른 꿈과 굳은 뜻, 사랑을 배우라는 의미로 교목으로 지정하였다.

3. 교화: 개나리이다. 개나리의 하나하나 또렷한 꽃잎과 섬세한 색깔에서 아름다운 마음과 협동심을 배우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30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701명[남 337, 여 364]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4학급에 87명[남 42, 여 45], 2학년은 4학급에 106명[남 48, 여 58], 3학년은 5학급에 120명[남 55, 여 65], 4학년은 5학급에 123명[남 65, 여 58], 5학년은 5학급에 125명[남 59, 여 66], 6학년은 6학급에 140명[남 58, 여 82]이 재학하고 있으며, 특수 학급이 1학급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39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2명으로 총 53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1만 6264㎡로, 과학실, 컴퓨터실, 정보 관리실, 도서실, 영어 체험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