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초등학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665
한자 初等學校
영어의미역 Elementary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선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95년 5월 1일 - 사립 개성학교 설립 인가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96년 3월 1일연표보기 - 사립 개성학교 개교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1년 3월 31일 - 소학교가 초등학교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9년 6월 4일연표보기 - 삼육국민학교 개교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0년 5월 16일연표보기 -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국민학교 개교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6년 3월 1일 - 초등학교가 초등학교로 개칭
관련 기관/단체 사립 개성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봉래 새싹길1
관련 기관/단체 삼육국민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전원 2길 9
최초 소재지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국민학교 - 부산광역시 연제구 교대로 37

[정의]

부산 지역에 설립되어 있는 초등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 기관.

[개설]

초등학교는 아동들에게 기본적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학교이다. 부산의 초등학교는 국민 교육을 국가의 기본 기능으로 인식한 국가 정책에 따라 의무 교육으로 실시되고 있다. 1948년 「헌법」 제16조 “모든 국민은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와 의무가 있다.”는 규정에 따라 부산에서도 1950년부터 초등 교육을 의무 교육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취학 연령은 만 5~6세로 특히 만 6세가 많으며, 교육 기간은 6년이다.

[연원 및 변천]

고려 시대 이후 조선 시대까지 이어져 온 서당은 서서히 발흥하던 근대 교육의 필요성에 의해 근대적인 형태의 교육 기관으로 대체되어 왔다. 이 시기 교육입국론이 점차 파급되면서 정부 또한 「소학교령」이란 법령을 반포하고 주요 도시에 관·공립 소학교를 설립하는 등 근대 교육 시행에 노력을 가하였다. 그러나 점차 관·공립 소학교가 일제 식민 정책을 수행하는 교육 기관으로 전락하는 모습이 보이자 사립 학교 설립 운동이 일어났다.

부산에서도 이에 따라 근대적 초등 교육 기관이 개교하였다. 1895년 5월 설립 인가를 받고 1896년 개교한 사립 개성학교가 부산에서는 최초의 근대 초등 교육 기관으로 현 봉래초등학교의 전신이다. 이때의 교육 과정은 보통과와 고등과로 나누었다. 보통과는 수신·작문·습자·산술·체조 등을 가르쳤고, 고등과는 보통과의 교과목 이외에 한국 지리·역사·외국 지리·이과·도화·외국어 등이 있었다. 갑오개혁 이후에는 대대적으로 근대적인 초등 교육 기관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부산에서는 1904년에 다대초등학교의 전신인 다대포사립실용학교가 개교하였다.

일제 통감부 설치 이후 1906년의 「보통학교령」에 의해 소학교의 명칭은 보통학교(普通學校)로 바뀌었다. 이때를 보통학교령기라고 한다. 보통학교의 수업 연한은 4년으로 단축되었고, 교과목에서는 일본어와 실과 등이 추가되었다. 1907년 현 부산진초등학교의 전신인 사립 육영학교가 설립 인가를 받았고, 현 내성초등학교의 전신인 공립 동래보통학교가 개교하였다. 같은 해 1년제의 사립 구명학교도 개교하였는데 현 구포초등학교의 전신이다. 1908년 현 영도초등학교의 전신인 사립 옥성학교와 사하초등학교의 전신인 사립 양정학교가 개교하였으며, 현 청룡초등학교 전신인 사립 명정학교가 개교하였다. 1912년 현 광일초등학교의 전신인 일본인 제1소학교가 개교하였는데 이후 부산에는 제2, 제3의 소학교들이 계속 생겨나기 시작한다.

1941년 「국민학교령」에 의해 부산의 초등 교육 기관의 명칭도 국민학교로 변경되었다. 1949년 삼육국민학교를 시작으로 1965년 혜화국민학교까지 5개의 사립 국민학교가 개교하였으며, 1960년에는 국립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국민학교가 개교하였다. 국민학교라는 명칭은 계속 이어져 오다가 1996년 3월 1일부터 초등학교로 개칭되어 현재는 ‘초등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교육 활동]

1. 교육 과정

초등 교육 기관은 학생의 학습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 능력 배양과 기본 생활 습관을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교육 과정은 1954년 이후로 2010년까지 크게 9차례 바뀌었는데, 1955년의 1차 교육 과정 개정이 이루어졌고, 1963년의 2차 교육 과정 개정에서는 반공 교육을 강조하여 실시하였다. 1973년의 3차 교육 과정에서는 산업 사회에서의 자질을 강조하였다. 1981년의 4차 교육 과정 개정을 거쳐 1987년의 5차 교육 과정 개정이 이루어졌다. 1992년 국제 사회의 개방과 정보화 사회에서의 도덕성, 공동체 의식, 민주성, 창의성 등을 강조한 6차 교육 과정 개정이 있었다.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하기 위한 1997년의 제7차 교육 과정 개정 및 2007년 개정 교육 과정, 2009년 개정 교육교육 과정 등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 개정에 맞추어 부산에서도 교육 과정 지침을 작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현재는 교육 과정에서도 전체적인 틀의 변화 대신에 부분적인 수시 개정으로 교육 과정을 만들어 가고 있다.

현재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에 따라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교육 과정 편성 운영·지침」을 마련하고 있다. 1차에서 4차까지는 도덕, 국어, 사회, 산수, 자연, 체육, 음악, 미술, 실과 등의 9개 과목이 있었다. 5차에서는 1~2학년에 통합 교육 과정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1, 2학년은 2011년 3월 1일부터, 초등학교 3, 4학년은 2012년 3월 1일부터, 초등학교 5, 6학년은 2013년 3월 1일부터 2009년 개정 교육교육 과정이 적용되었는데, 교과 편제 및 시간 배당 교과군과 학년군 별로 학교 단위의 교육 과정 운영에 유연성을 강조한 점이 특징이다.

초등학교 교육 과정은 교과군과 창의적 체험 활동으로 편성되어 있다. 교과군은 국어, 사회/도덕, 수학, 과학/실과,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 등으로 하되, 초등학교 1, 2학년은 국어, 수학,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로 한다. 또 창의적 체험 활동은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한편 초등학교의 학기는 2학기제로 되어 있으며, 1년 43주 190일 이상의 수업 일수로 교육 과정을 운영하도록 편제되어 있고, 보통 1시간 수업은 40분이다. 학기는 3월 2일부터 시작하며, 입학식과 함께 교육 과정이 시작된다.

2. 정책 방향

2012학년도 부산 교육은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 인재 육성’을 그 정책 방향으로 삼고, 첫째 지·덕·체·정 등을 잘 갖춘 알찬 교육, 둘째 서로 존중하고 신뢰받는 깨끗한 교육, 셋째 함께 만들어 가는 따뜻한 교육 등을 주요 교육 시책으로 정했다.

지·덕·체·정 등을 잘 갖춘 교육을 위해 창의·인성 교육 내실화와 좋은 교사·교감·교장 양성, 맞춤형 교수-학습 활동 지원을 목표로 삼았다. 창의·인성 교육 내실화를 위하여 부산초등학교에서는 학력 신장 지원이 강화되었다. 학습 플래너와 복습 노트를 활용하고 있으며, 창의적 체험 활동 운영 및 과학과 영재 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독서·토론 교육 및 학교 문화 예술 교육 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인성 교육, 나라 사랑 실천 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좋은 교사·교감·교장 양성을 위해 교원 평가제 및 맞춤형 연수를 받도록 교사들을 격려하고 있다. 또한 역량 있는 우수 교사가 우대 받고 수업 품질이 개선되도록 우수 수업 일반화, 연구 활동 지원, 컨설팅 장학 및 시민과 함께하는 연구 학교 박람회를 개최한다. 맞춤형 교수-학습 활동 지원을 위해 토요 스쿨 및 주 5일 수업제가 운영 중이다. 또한 스마트 교육 추진, 지역 특성 맞춤형 교육, 진로·진학 교육 내실화 및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해 교사 연수 지원 및 부산 영어 독서품제, 부산 실용 영어 능력 평가(BEPA) 등을 운영하고 있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부산글로벌빌리지 정규 과정 및 부산 영어 도서관 독서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서로 존중하고 신뢰받는 깨끗한 교육을 위해 초등학교에서도 학교의 자율성·책무성 강화 방침을 따르고 있다. 교원들은 교내에서 이름표를 달고 초등학교 20개교가 교장 공모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25개교에서 정원의 50% 이상의 교원을 초빙할 수 있도록 학교장의 인사 권한을 확대하였다. 학교 재정 운영의 자율성 및 책무성을 강화하고 학교 위임 전결 규정을 정비했다. 안전하고 깨끗한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해 인권·자율·책임 중심의 생활 지도를 강화하고, 학생 상담 활동 내실화를 꾀하고 있으며, 안전한 교육 시설 여건을 조성하고, 청렴한 부산 교육을 실현하도록 교육청의 지원과 감독이 계속되고 있다. 현장 친화적 고품질 행정 교육을 위해서도 애쓰고 있다.

함께 만들어 가는 따뜻한 교육을 위해 Full Service School로 교육 복지 실현, 학생 체력 및 건강 관리 충실, 교육 공동체의 참여와 협력 확대로 고품질 교육 행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Full Service School로 교육 복지 실현을 위해 방과 후 프로그램 및 돌봄 교실 운영이 확대되었고, 방과 후 학교 자유 수강권제 및 문화 바우처(voucher) 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교육 취약 계층의 학생을 위한 지원을 확대하고 밀레니엄 꿈나무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윤리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1~3학년은 무상 급식을 시행한다. 교육 기부 활성화를 추진하여 지역 사회가 함께 하는 교육 사랑 나눔을 실천하고자 한다. 학생 체력 및 건강 관리 충실을 위해서는 학교 스포츠 클럽 및 엘리트 체육을 활성화하며 학생 정서·행동 발달 선별 검사 및 초등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ADHD[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전수 조사가 실시된다. 학생 비만 예방과 관리를 통해 학생 건강에도 신경 쓰고 있다. 또한 교육청에서는 교육 공동체의 참여와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사교육 경감 및 공교육 만족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학부모 교육 참여를 활성화하며, 공공 도서관 평생 교육 기능 확대 및 평생 학습 지원 체제를 확대하고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에는 2012년 1월 현재 299개[분교장 1개를 미포함]의 초등학교가 있다. 국립 초등학교 1개, 분교 1개를 포함한 292개의 공립 초등학교와 6개의 사립 초등학교가 있다. 학급 수는 7,458개이다. 교육 지원청 별로 살펴보면 남부교육지원청에 60개 학교, 동래교육지원청에 60개 학교, 북부교육지원청에 63개 학교, 서부교육지원청에 57개 학교, 해운대교육지원청에 59개 학교가 소속되어 있다. 북부교육지원청에 도서 지역 2개 학교, 벽지 1개 학교 등 특수지 학교 3곳이 소속되어 있다.

부산의 초등학교에는 2009년 현재 18만 4,511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는데 2003년 28만 8,174명에 비하면 학생 수가 많이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93년 38만 2,889명의 학생이 재학했던 것에 비해서는 48% 정도로 부산의 초등학생 수는 매년 감소세이다. 2009년 현재 학년별 학급 수를 보면 전체 1학년 1,039학급, 2학년 1,169학급, 3학년 1,294학급, 4학년 1,306학급, 5학년 1,366학급, 6학년 1,430학급으로 앞으로의 초등학생 재학생 수도 계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원 수는 2003년 1만 914명으로 현재 1만 73명에 비해 큰 수가 차이 나지 않는데,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줄었음을 알 수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