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454 |
---|---|
한자 | 三光初等學校 |
영어의미역 | Samgwang Elementary School |
이칭/별칭 | 삼광초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제도로 434[강동동 4359-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서은지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슬기로우며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육성’이다.
[변천]
1934년 3월 31일에 가락공립보통학교 부설 제도간이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으며, 1943년 7월 19일에 가락보통학교 제도분교장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6년 8월 31일에 가락삼광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78년 2월 15일에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부산직할시로 편입되었다. 1980년 6월 1일에 삼광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96년 3월 1일에 삼광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9월 1일에 제28대 허동길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65회 졸업식을 통해 4명이 졸업하여 총 3,872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삼광초등학교는 기초·기본 교육에 충실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영어 교육의 기반을 조성하고 있으며, 독서·과학·정보 통신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가정과 연계한 인성 지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정체성 확립 교육 및 체험 환경 교육을 시행하여 기초 기본 습관 및 기초 질서를 내면화하고자 한다. 또한, 학교 체육을 활성화하고 성교육 실시 및 비만아 지도를 통해 심신이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고자 한다. 학교 특색 교육으로 ‘슬기로운 어린이 되기[知] 과학자의 꿈을 키우는 탐구 과학 교실’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균형 있는 과학 교육을 실현하여 창의적인 사람을 육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진로 교육과 함께 인성 교육, 독서 교육, 생활 지도 등 다각적인 효과를 이루고자 ‘더불어 사는 어린이 되기[德] 책과 삼광 가족이 함께하는 꿈이 움트는 곳’과 난타 교육을 통해 정신과 체력이 모두 건강한 어린이를 만드는 ‘건강한 어린이 되기[體, 情] 두둥둥 난타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작곡 오수용]
찬연히 빛난 역사 이어 온 가야/ 수로왕 고도에 문화는 깃들고/ 구지봉 솟은 줄기 향토의 맥박/ 가락국 옛터에 닦아서 세운/ 우리 삼광 어린이 배우는 터전/ 아아 문화의 높은 전당 우리 삼광교.
2. 교목: 향나무. 변함없는 푸른 잎은 정직을, 곧게 뻗은 가지는 냉철한 판단력을, 은은한 향기는 겸손을 나타낸다.
3. 교화: 장미로 사랑을 상징한다.
4. 교조: 청둥오리이다.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찾아오는 철새 무리 중 가장 많은 청둥오리는 삼광 어린이와 친숙하고 강인함을 나타낸다.
5. 교색: 노랑이다. 항상 꿈과 희망이 가득한 삼광 어린이가 되기를 바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4학급에 28명[남 12, 여 16]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1학급에 5명[남 1, 여 4], 2학년은 1학급에 7명[남 5, 여 2], 3학년은 5명[남 2, 여 3], 4학년은 1학급에 3명[남 1, 여 2], 5학년은 4명[남 2, 여 2], 6학년은 1학급에 4명[남 1, 여 3]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6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5명으로 총 13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1만 4338㎡로, 이 중 운동장 면적이 4,800㎡, 학습원 면적이 3,800㎡, 야외 학습장 면적이 35㎡이다. 체력 단련실, 돌봄실, 과학실, 컴퓨터실, 어학실, 도서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