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732
한자 釜山廣域市北部敎育支援廳
영어공식명칭 Busan Metropolitan City Bukbu Office Education
영어의미역 Busan Metropolitan Northern Education Office
이칭/별칭 부산북부교육지원청
분야 문화·교육/교육,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백양대로1016번다길 44[구포동 113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성병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공 기관|교육 행정 기관
설립자 부산광역시 교육청
전화 051-330-1200
홈페이지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지원청(http://bukbu.pen.go.kr)
설립 시기/일시 1996년 2월 22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청으로 설립
이전 시기/일시 2009년 8월 7일 - 부산광역시 사상구 온누리 2길 53[감전동]에서 부산광역시 북구 백양대로 1016번 다길 44[구포동 1137번지]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2010년 9년 1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청에서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지원청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 지역 교육청 혁신 종합 평가 최우수 교육청으로 선정
최초 설립지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청 - 부산광역시 사상구 온누리 2길 53[감전동]
주소 변경 이력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청 - 부산광역시 북구 백양대로 1016번 다길 44[구포동 1137]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지원청 - 부산광역시 북구 백양대로 1016번 다길 44[구포동 113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부산광역시교육청 소속 교육 행정 기관.

[설립 목적]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지원청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북구, 강서구 등 3개 구의 교육과 과학, 기술, 체육, 기타 학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각급 학교의 교육 현장을 관리·지도·감독하며, 교육 환경 개선 및 발전을 통하여 학생들의 교육 복지와 학습권 구현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변천]

1996년 2월 22일에 사상구 감전동에서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청으로 개청하였다. 2006년에 지역 교육청 혁신 종합 평가 최우수 교육청으로 선정되었으며, 2009년 8월 7일에 북구 구포동으로 청사를 이전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지원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지원청은 2012년 현재 교육의 기본 방향으로 ‘품성과 실력을 가꾸며 변화하는북부 교육’이라는 교육 미션을 설정하여 지덕체·정을 겸비한 창의 인재를 육성하고, 학력 신장을 위하여 알찬 교육, 깨끗한 교육, 따뜻한 교육 문화 만들기에 힘쓰고 있다.

주요 업무 추진 내용으로 첫째, ‘교육 나눔 디딤돌 학력 향상 프로젝트’ 운영을 통해 교육 공동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학력 향상 디딤돌을 구축하고, 저소득층 및 학습 부진 학생을 위한 교육 나눔 보충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기초 부진 학생에 대한 맞춤형 학력 보충으로 학습 부진을 극복하고, 학습 플래너와 복습 노트를 활용한 자기 주도 학습력 훈련과 함께 학력 향상 달성을 기대하고 있다.

둘째, ‘우리 고장 문화 유적 답사를 통한 우리 역사 바로 알기’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장의 문화 유적을 직접 답사하여 체험함으로써, 향토 문화에 대한 소중함과 자긍심, 국가 정체성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향토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문화에 대한 자긍심 및 국가 정체성 함양을 기대하고 있다.

셋째, ‘희망으로 가는 10대들의 마중물’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Wee 센터에서 운영하는 6개 영역의 특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학교나 가정에서 심리적·정서적으로 상처 입은 마음을 보듬어 주어 새로운 희망과 기대의 싹을 틔울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희망으로 가는 10대들의 마중물’ 프로젝트를 통하여 위기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자아상을 길러 주어 건강한 자아 정체감을 확립시키는 데 도움을 주며, 심리적·정서적 어려움의 극복을 통해 가정 및 학교 적응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넷째, ‘클린 365 북부 교육’ 실현을 위하여 부패 ZERO, 청렴 최상위 교육 지원청을 목표로 하며, 교육 공동체와 함께 만드는 깨끗한 북부 교육 실현으로 신뢰 회복·만족도 제고를 위해 힘쓰고 있다. 다섯째, 교육 복지 중점 학교 공동 사업으로 특별 프로그램인 ‘희망과 행복 드림 봉사단’을 운영하여 교육 복지 지원 대상 학생들을 다양한 봉사 활동에 참여시킴으로써, 수혜의 대상에서 나눔의 주체로 거듭나도록 지원하고 있다.

여섯째, ‘친구와 함께 건강 짱!’ 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량 부족과 식습관 변화에 따른 청소년의 성인병 질환, 그리고 정신 장애 질환 증가 및 저연령화를 대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운동 실천 생활화 및 식습관 개선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자 한다.

[현황]

2012년 현재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지원청의 조직은 교육장을 중심으로 교육 지원국과 행정 지원국, 그리고 초등 교육과, 중등 교육과, 학생 건강 안전과, 행정 지원과, 지역 사회 협력과, 시설 지원과 등 2국 6과 18담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원은 교원 전문직과 교원, 일반직, 기능직을 포함하여 총 95명이 근무하고 있다. 북구 관내 학교로는 2013년 1월 1일 현재 유치원 75개 원, 초등학교 65개 교, 중학교 34개 교가 있다. 직속 기관으로는 북부교육지원청 Wee센터와 북부수학체험교실, 북부발명교실, 북부영재교육원 등이 운영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지원청에서 운영하는 주말 농장 ‘Weekend-Farm’ 프로그램은 교육 복지 우선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관내 교육 복지비 사업 학교에서 추천된 40개 가정이 운영하는 주말 농장 체험 교실이다. 인근 자연환경을 활용한 생태 환경 체험 교실 및 문화 체험 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또한 농장이 위치해 있는 지역의 어르신들을 위한 사회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연계 기관인 해당 농협에서 농장 운영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제반 사항을 협조하여, 각 기관이 가진 자원을 공유하는 기부 문화의 활성화에도 이바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바쁜 일상 속에서 단절되었던 가족 간의 관계에서 벗어나 주말 농장을 통해 의사소통과 체험 활동을 함께하며, 긍정적인 가족 관계 개선 및 자녀의 자존감과 학교 적응력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