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2745 |
---|---|
한자 | 釜山藝術高等學校 |
영어의미역 | Busan High School of Arts |
이칭/별칭 | 부산예고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체육공원로 20[부곡동 산7-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정훈 |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사립 특수목적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예술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능력을 계발, 신장시켜 미래를 창조하는 참된 예술인을 육성한다’이다. 교훈은 ‘밝고 참된 마음, 높고 깊은 생각, 곱고 알찬 솜씨’이다.
[변천]
동래학원이 1985년 12월 30일에 부산예술고등학교로 인가를 받아, 1986년 3월 10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하였다. 1987년 3월 2일에 현 교사로 이전하였다. 1989년 2월 10일에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25회 졸업식을 통해 388명이 졸업하여 총 9,34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8월 30일에 제10대 김삼영 교장이 취임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예술고등학교는 전문성을 추구하는 예술인을 기르기 위하여 여러 가지 교육 프로그램을 전개하고 있다. 전공 기초를 튼튼히 하고 기량을 높이기 위하여 실기의 비중을 높여 실기 고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음악과는 정기 연주회와 실내악 경연 대회, 입학식 축하 공연으로, 미술과는 27회에 이른 예솔 미전으로, 무용과는 25회 걸친 무용 정기 공연[부산 문화 회관 대극장]으로 학생들이 전공에서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만들고 있다. 피아니스트 잭 와인락 교수를 초청[2011년 11월 25일]하여 마스트 클라스를 가지는 등 저명한 예술가를 초청하여 공개 레슨을 가지거나 특강을 함으로써 예술의 더 넓은 세계를 접할 기회를 학생들에게 주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권녕운/작곡 금수현]
하늘에 높이 솟은 저 금정산은/ 배달 혼과 한가지 새 빛이 나네/ 굳센 기운 잠긴 힘 겹겹이 쌓이어/ 이 학원의 꽃으로 피어났도다.
2. 교목: 소나무로 영원한 지조를 나타낸다. 어려움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의연한 기상, 예술에의 영원한 사랑과 지조를 상징한다.
3. 교화: 동백으로 신중함을 나타낸다. 흰 줄기와 반짝이는 푸른 잎 속에서 짙붉게 피는 꽃은 진지함 속의 아름다움을 상징한다.
[현황]
2012년 기준 총 30학급에 1,186명[남 208, 여 978]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음악과 6학급에 243명[남 52, 여 191], 미술과 3학급에 118명[남 15, 여 103], 무용과 1학급에 40명[남 3, 여 37], 2학년은 음악과 6학급에 234명[남 51, 여 183], 미술과 3학급에 122명[남 14, 여 108], 무용과 1학급에 39명[남 9, 여 30], 3학년은 음악과 6학급에 234명[남 39, 여 195], 미술과 3학급에 122명[남 17, 여 105], 무용과 1학급에 34명[남 8, 여 26]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32명, 전공 강사 66명, 실기 강사 418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4명으로 총 532명이 근무하고 있다. 합주실, 국악실, 연습실 등의 음악 전공실과 일반 미술실, 서양화실, 한국화실 등의 미술 전공실, 그리고 한국 무용실, 발레실, 현대 무용실 등의 무용 전공실을 비롯하여 도서실, 컴퓨터실, 우창 회관, 벽연재[전통 예절관], 일신 갤러리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