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신
-
임진왜란 때 동래읍성을 지키다 순절한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익도(益都). 할아버지는 참찬(參贊) 김계장(金繼長)이다. 김대연(金大連)[?~1592]은 할아버지 김계장의 반대로 벼슬에 뜻을 두지 않았으나 친분이 있던 동래 부사 송상현(宋象賢)의 추천으로 관직을 받았다. 임진왜란 때 동래읍성 인생문(人生門)을 지키던 중 적의 공격으로 사문(四門)이 무너지자 왜병...
-
부산 지역에 묘소가 있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여용(汝用). 호는 축은(築隱). 할아버지는 광정대부·첨의평리·상호군 영부사 겸 판부사를 지낸 김원현(金元絃)이고 아버지는 판도 판서 김대덕이다. 아들은 문과에 급제하여 청도 군수를 지낸 김순생(金荀生)이고, 손자는 세종(世宗) 때 진사를 지낸 김계인과 한림·예문관 검열·사헌부 집의·참판·한...
-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 김해 김씨 서강공파 입향조. 본관은 김해(金海). 호는 유곡(裕谷). 아버지는 김계금(金係錦)이며, 어머니는 의성 김씨(義城金氏)이다. 3남 1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증손이 임진왜란 때 공훈을 세운 김일개(金一介), 김일덕(金一德), 김일성(金一誠)이다. 김보문(金寶文)은 1425년(세종 7)에 태어났다. 병마절제도위(兵...
-
조선 후기 경상 관찰사로 부임하여 명지 염전의 운영을 원활히 하였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계용(季容), 호는 초천(蕉泉). 증조 할아버지는 김만근(金萬謹)이고, 할아버지는 김진륜(金鎭崙)이며, 아버지는 김무택(金茂澤)이다. 어머니는 해평 윤씨(海平尹氏)로 윤득영(尹得永)의 딸이다. 부인은 송재위(宋載緯)의 딸이다. 김상휴(金相休)[1757~1827]는 175...
-
임진왜란 때 동래성에서 순절한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유한(維翰). 아버지는 노일(盧馹)이라고 전한다. 부인은 여흥 이씨(驪興李氏)로 이경옥(李慶沃)의 딸이다. 노개방(盧蓋邦)[1563~1592]은 경상북도 밀양시 무안면 가례리 서가정에서 태어났다. 1588년(선조 21) 식년시 병과(丙科)에 24위로 급제하였다. 고향인 밀양과 가까운 곳에서 근무하기 위해 자...
-
조선 후기 부산 다대동 몰운대에 있는 ‘정운공 순의비(鄭運公殉義碑)’의 비문을 지은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공기(公紀), 초명은 민종렬(閔鍾烈). 증조 할아버지는 우참찬 민진후(閔鎭厚)이고, 할아버지는 사헌부 대사헌 민우수(閔遇洙)이며, 아버지는 민백겸(閔百兼)이다. 어머니는 이구(李絿)의 딸이다. 민종현(閔鍾顯)[1735~1798]은 1756년(영조 32)...
-
조선 초기 동래현의 염장관이자 동래 지역 역모 사건의 주모자. 박중질(朴仲質)은 조선 초기 동래 지역에서 일어난 역모 사건의 주모자로 알려져 있다. 『태조실록(太祖實錄)』에 염장관(鹽場官)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염전 담당 관리였던 것으로 짐작되나 염전 이름이나 구체적인 업무는 알 수 없다. 박중질이 가담한 역모 사건에 대해 『태조실록』은 비교적 자세히 적고 있다...
-
조선 후기 경상도 관찰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치회(穉晦), 호는 우란(友蘭). 할아버지는 예조 판서와 함경도 관찰사를 지낸 서유녕(徐有寧)이고, 아버지는 군수(郡守)를 지낸 서응보(徐應輔)이다. 어머니는 김현주(金顯柱)의 딸이고, 부인은 심능식(沈能植)의 딸이다. 동생은 병조 판서, 예조 판서를 지낸 서대순(徐戴淳)이다. 서희순(徐熹淳)[1793~1...
-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부산에서 전공을 세운 별전 공신. 본관은 은진(恩津). 은진 송씨(恩津宋氏)의 시조인 판원사(判院事) 송대원(宋大原)의 11대 후손이다. 할아버지는 진사 송세감(宋世勘)이고, 아버지는 제용감 직장(直長) 송종(宋琮)이다. 부인은 숙부인 함안 조씨(咸安趙氏)이다. 송창문(宋昌文)은 1564년 9월 10일 충청도 회덕에서 태어나 1610년 10월 12...
-
임진왜란 때 순절하여 부산 반송 삼절사(盤松三節祠)에 배향된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언신(彦信). 눌재(訥齋) 양성지(梁誠之)의 5세손으로, 고조 할아버지는 승지 양찬(梁瓚)이고, 증조 할아버지는 사헌부 지평 양숙(梁淑)이며, 할아버지는 봉사 양윤지(梁允智)이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양사재(梁思齋)이다. 어머니는 죽산 박씨(竹山朴氏)이다. 양지(梁誌)[155...
-
임진왜란 때 다대진성 전투에서 순절한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아버지는 인종(仁宗) 때 외척으로 권세를 누렸던 윤임(尹任)이다. 윤흥신(尹興信)[?~1592]은 1582년(선조 15)는 진천 현감에 부임하였으나 문자를 해독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쫓겨났다. 1592년(선조 25)에 다대진 첨절제사로 임명되었고, 부임 후 얼마 되지 않아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왜군은 4월...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영가대(永嘉臺)의 이름을 지은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시(子時), 호는 동주(東州)·관해(觀海). 증조 할아버지는 종친부 신당부수(宗親府神堂副守)를 지낸 이정(李禎)이고, 할아버지는 병조 판서 이희검(李希儉)이며, 아버지는 이조 판서 이수광(李睟光)이다.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金氏)로 의금부 도사 김대섭(金大涉)의...
-
조선 후기 기장에 유배된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택지(擇之), 호는 지호(芝湖)·소백산인(小白山人). 아버지는 우의정 이후원(李厚源)이다. 이선[李選)[1632~1692]은 1657년(효종 8) 진사가 되었다. 1664년(현종 5) 춘당대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에 올랐고, 예문관 봉교(奉敎), 사간원 정언(正言), 교리(校理), 이조 좌랑 등을 역...
-
고려 후기 기장현 감무를 지낸 문신. 본관은 경원. 아버지는 미수(眉叟) 이인로(李仁老)로, 서자이다. 이세황(李世黃)의 행적을 알 수 있는 자료는 거의 없다. 이세황이 간행한 이인로의 문집 『파한집(破閑集)』의 발문에 ‘동각에 있다가 기장현으로 좌천되었다’라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1232년(고종 19) 국자감 학유로 있다가 『파한집』을 간행한 1260년(원종 1)...
-
조선 전기 부산포 첨절제사를 지낸 문신. 조선은 건국 후 국방 문제를 감안, 무질서하게 입국하는 왜인들을 통제하기 위해 1407년(태종 7) 부산포(富山浦)[동래]와 내이포(乃而浦)[일명 제포], 1426년(세종 8) 염포(鹽浦)[울산] 등 삼포를 개항하고 왜관(倭館)을 설치, 교역 또는 접대의 장소로 삼았다. 조선에서는 이 삼포에 한하여 일본 무역선의 내왕을 허락하였다...
-
조선 후기 양산[지금의 부산광역시 북구 지역]의 군수를 지낸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경학(景學). 아버지는 이익성(李益誠)이고, 동생은 이택하(李澤夏)이다. 이유하(李游夏)[1767~?]는 1786년(정조 10) 생원시에 급제하고, 1795년(정조 19) 문과 별시에 병과 2등으로 급제하였다. 1801년(순조 1) 예조의 부정자(副正字)로 벼슬 생활을 시작하여...
-
고려 후기 동래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할아버지는 호장 정지원(鄭之遠)이고, 아버지는 동래의 안일 호장(安逸戶長) 정문도(鄭文道)이다. 부인은 검교 장작감(檢校將作監) 고익공(高益恭)의 딸이다. 아들은 정제(鄭濟), 정점(鄭漸), 정택(鄭澤), 정항(鄭沆)이다. 손자는 「정과정곡(鄭瓜亭曲)」을 지은 정서(鄭敍)이다. 정목(鄭穆)[1040~1105]은 1072...
-
고려 전기 부산 지역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정과정곡(鄭瓜亭曲)」을 지은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아명은 사문(嗣文), 호는 과정(瓜亭). 증조할아버지는 정문도(鄭文道)이고, 할아버지는 정목(鄭穆)[1040~1105]이다. 정목은 젊은 나이에 초시에 합격하여 세도가인 고익공(高益恭)의 사위가 되고, 관등이 3품까지 올라 문벌 가문으로 올라서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아버지는 정항...
-
고려 후기 동래 현령을 지낸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공권(公權), 호는 원재(圓齋). 뒷날 자를 이름으로 썼다. 할아버지는 판선공(辦繕公) 정책(鄭㥽)이고, 아버지는 설곡(雪谷) 정포(鄭誧)이다. 아들은 정총(鄭揔), 정승(鄭拯), 정탁(鄭擢), 정지(鄭持)를 두었다. 정추(鄭樞)[1333~1382]는 1353년(공민왕 2) 문과에 급제하였고 예문관 검열을 거...
-
고려 후기 동래의 여러 정경을 시로 남긴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중부(仲孚), 호는 설곡(雪谷). 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정해(鄭瑎)이고, 아버지는 판선공(判繕工) 정책(鄭責)이다. 최문도(崔文度)의 사위이며, 아들은 정추(鄭樞)이다. 정포(鄭誧)[1309~1345]는 1326년(충숙왕 13) 과거에 급제하였고, 얼마 뒤 예문 수찬으로 원나라에...
-
고려 전기 부산 동래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자림(子臨). 증조 할아버지는 동래 호장 정지원(鄭之遠)이고, 할아버지는 동래 안일 호장 정문도(鄭文道)이며, 아버지는 대부경 정목(鄭穆)이다. 어머니는 검교 장작감(檢校將作監) 고익공(高益恭)의 딸이다. 부인은 강릉군부인 왕씨(江陵君婦人王氏)로, 숙종(肅宗) 때의 공신 왕국모(王國當)의 딸이다. 형은 어사잡단 정점(鄭...
-
임진왜란 때 동래읍성에서 순절한 문신. 본관은 직산(稷山). 사헌부 지평 조변(趙抃)의 5세손으로, 고조 할아버지는 무주 현감 조소동(趙召仝)이고, 증조 할아버지는 병절교위(秉節校尉) 조명눌(趙明訥)이며 할아버지는 오위 부사과(五衛副司果) 조순거(趙順琚), 아버지는 수의부위(修義副尉) 조준(趙準)이다. 어머니는 파평 윤씨(坡平尹氏)이고, 아들은 조정로(趙廷老)이다. 조영...
-
조선 후기 김해 부사를 지낸 부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도가(道可), 호는 모담(慕潭). 시조는 고려 때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를 지낸 홍은열(洪殷悅)이고, 5대조는 숭록대부(崇祿大夫)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홍언수(洪彦修)이며, 증조 할아버지는 대호군(大護軍) 홍형노(洪亨老), 할아버지는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홍잠(洪潛)이다. 아버지는 가선대부(嘉...
-
조선 전기 부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영민(永敏), 호는 우헌(寓軒). 남양 홍씨(南洋洪氏) 우헌 문중의 시조이다. 기록에 따르면 증조할아버지는 홍언수(洪彦修)이고, 할아버지는 홍약(洪約)으로 두 사람 모두 판중추부사를 지냈다. 아버지는 대호군 홍형노(洪亨老)이다. 부인은 숙부인 김씨(淑夫人金氏)로, 이조 참의 김덕신(金德信)의 딸이다. 아들은 홍만복(洪蔓復)으...
무신
-
부산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활동한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운서(雲瑞), 호는 도정(陶亭). 경순왕(敬順王)의 27세손으로 아버지는 양산 군수를 지낸 김취(金鷲)이다. 아들은 통덕랑 김경유(金慶裕)이고, 손자는 조선 후기 유명한 유학자인 오정(鰲亭) 김방한(金邦翰)이다. 김윤룡(金潤龍)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이 되어 왜군과...
-
임진왜란 때 동래읍성 전투에서 전사한 무신. 본관은 김해. 자는 운손(雲遜), 호는 지곡(池谷). 가락 후손 김녕군 목자 김목경(金牧卿)의 10세손이다. 김희수(金希壽)[?~1592]는 군자감 판관으로, 1592년 4월 왜군이 동래읍성에 쳐들어오자 동래읍의 군·관·민과 향리, 관노 등을 독려하여 끝까지 항전하다 전사하였다. 김희수의 묘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
-
고려 후기 부산 동래읍성을 쌓은 무신. 박위(朴葳)는 고려 말 우왕(禑王) 때 우달치(迂達赤)[고려 후기에 창설된 몽골식 군관]가 되었다. 1375년(우왕 2) 겨울 왜구의 노략질로 폐허가 된 김해의 부사가 되어 난민을 구호하고 부서진 집들을 고치는 등 복구 작업에 힘썼다. 당시 왜구들은 쓰시마[對馬]와 이키시마[壹岐島]에 근거지를 두고 수시로 고려 연안에 칩입, 노략질...
-
조선 후기 경상좌수영 통주사(統舟師)를 지낸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덕옹(德翁), 호는 노계(蘆溪), 무하옹(無何翁). 밀약 박씨(密陽朴氏)의 시조는 신라를 세운 박혁거세(朴赫居世)이고, 경명왕(景明王)의 아들 밀성 대군(密城大君) 박언침(朴彦忱)이 밀양을 관향으로 삼았다. 중시조는 박혁거세의 43세손인 박진록(朴晋祿)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집경전 참봉 박정(朴挺)이고,...
-
임진왜란 때 경상좌도 수군절도사를 지낸 무신. 본관은 울산(蔚山). 자는 청원(淸源). 할아버지는 박한(朴捍)이고, 아버지는 별제(別提) 박영무(朴英珷)이다. 어머니는 직장(直長) 정인걸(鄭仁傑)의 딸이다. 박홍(朴泓)[1534~1593]은 23세 때인 1556년(명종 11)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에 임명된 이후 강계부 판관, 종성 부사 등을 지냈다. 1592년...
-
조선 후기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몰운대에 있는 정운공 순의비(鄭運公殉義碑)의 비문을 새긴 무신.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자겸(子謙). 문정(文貞) 서성(徐渻)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서일수(徐逸修)이다. 서유대(徐有大)[1732~1802]는 1757년(영조 33) 음직(蔭職)으로 선전관(宣傳官) 벼슬을 받고, 1759년 사복시 내승(司僕寺內乘)으로서 무과에 급제하였...
-
왜의 포로 출신으로, 임진왜란 직후 조선과 일본의 국교 재개에 활약한 무신. 『선조실록(宣祖實錄)』에는 가계는 알 수 없다고 적혀 있으나 『경주손씨 세보(慶州孫氏世譜)』[권1, 26쪽]에 따르면 손문욱(孫文彧)은 손경원(孫敬源)의 8세손으로, 생전의 이름은 손요인(孫要寅)이다. 무과에 급제했으며, 행흥양 현감, 순천 병마절제도위(兵馬節制都尉)를 지내고, 전쟁...
-
임진왜란의 첫 전투인 부산진성 전투에서 공을 세운 무장. 신옥(辛沃)[?~1592]은 영월 신씨(寧越辛氏) 판서공파 22세손으로 기장 입향조이다. 경기도 지역에서 무관 생활을 하다가 1591년(선조 24) 부산진 첨절제사 정발(鄭撥) 밑에 무장으로 들어간 것을 계기로 기장에 입향(入鄕)하였다. 어릴 때 효자로 이름나 『삼강록(三綱錄)』에 등재되었다. 1592년(선조 25...
-
부산에 선정비가 있는, 조선 후기 김해 부사를 지낸 무신. 유덕옥(柳德玉)은 무관 출신이지만 장흥 부사, 해미 현감 등 지방 관아의 수령으로 백성을 고루 보살핀 충직한 관리였고, 효자로도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본관은 전주, 자는 윤보(潤寶). 아버지는 호조 좌랑(戶曹佐郞) 유위(柳偉)이고, 아들 유작(柳綽)은 병과에 급제하여 정언, 지평, 장령을 거쳐서 서산...
-
조선 후기 부산 첨사로 정공단(鄭公壇)을 조성한 무신. 이광국(李光國)[?~1779]은 1739년(영조 15) 호환(虎患)을 막은 공으로 품계가 올라가고, 1743년(영조 19) 다시 가선대부(嘉善大夫) 품계를 받았다. 내금장(內禁將), 오위장(五衛將), 충장장(忠壯將) 등을 지냈으며 중간에 지방관으로도 나갔다. 1764년(영조 40) 부산 첨사로 부임한 이광국은 임진왜...
-
조선 후기 경상 좌수사를 지낸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아버지는 이계도(李繼道)이고, 아들은 이희진(李喜震), 이희겸(李喜謙), 이희태(李喜泰), 이희복(李喜復), 그리고 서자 이희장(李喜杖), 이희석(李喜惜) 등이다. 아들 이희겸이 무과에 급제한 1689년(숙종 15)의 방목[『기사 원자 정호 증광 별시 문무 전시 방목(己巳元子定號增廣別試文武殿試榜目)』]에는 이희겸이 과의교위...
-
임진왜란 때 부산진성 전투에서 순절한 무신. 본관은 공주(公州). 고조 할아버지는 임파 현령 이진이고, 할아버지는 1513년(중종 8) 생원이 된 이함이며, 아버지는 성균관 유생 이석간이다. 이석간은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으나 뜻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학업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내려갔다. 어머니는 이린의 딸이다. 형은 기장 현감 이정견이다. 이정헌(李庭憲)의 집안은 고조...
-
임진왜란 때 부산진성 전투에서 순절한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고(子固), 호는 백운(白雲). 경주 정씨(慶州鄭氏)는 고려 때 정진후(鄭珍厚)가 군기윤(軍器尹)에 책봉된 이후 대대로 재상을 배출한 명문가이다. 선조인 양경(良景) 정희계(鄭熙啓)는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개국을 도운 공로로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졌다. 고조 할아버지는 정희계의 손자로 한성 판윤...
-
임진왜란 때 부산포 해전에서 전사한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창진(昌辰). 아버지는 훈련원 참군 정응정(鄭應禎)이다. 정운(鄭運)[1543~1592]은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대산리에서 태어났다. 1570년(선조 3) 무과에 급제하여 1579년(선조 12) 훈련원 봉사가 되고, 1580년에 금갑도 권관과 거산도 찰방을 역임하였다. 강직한 성격 탓에 일시 파직되었...
-
부산 무민사에 배향된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동주(東州). 평장사(平章事) 최유청(崔惟淸)의 5세손으로 아버지는 사헌규 정(司憲糾正) 최원직(崔元直)이고, 어머니는 지씨(智氏)이다. 부인은 문화 유씨(文化柳氏)이다. 서녀는 우왕(禑王)의 두 번째 부인인 영비 최씨(寧妃崔氏)이다. 최영(崔瑩)[1316~1388]은 왜구와 홍건적의 침입이 잦았던 고려...
-
신라 때 부산 지역에서 왜구와 싸운 장수. 황룡(黃龍)은 구포 지역을 지키던 신라의 장수였다. 삼국 시대 때 왜구의 침입이 잦았는데, 구포 지역은 고 김해만(古金海灣)의 동쪽에 자리해 왜구가 우리나라 내륙으로 진출하려면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요충지였다. 왜구들은 쓰시마[對馬]에서 출발하여 고 김해만으로 들어온 다음 구포와 양산강 입구의 물금을 거쳐 양산 지구대를 타고 북...
동래부사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초명은 강대진(姜大進), 자는 면재(勉哉)·학안(學顔), 호는 춘간(春磵)·한사(寒沙)·정와(靜窩) 등이다. 아버지는 사간원 사간 강익문(姜翼文)이고, 어머니는 합천 이씨(陜川李氏)이다. 강대수(姜大遂)[1591~1658]는 1610년(광해군 2)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청직(淸職)을 거쳤다. 1614년(광해군 6...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기중(期中), 호는 표운(豹雲)·정은(貞隱).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강이구(姜彛九)이다. 강로(姜㳣)[1809~1887]는 1837년(헌종 3) 진사시를 거쳐 1848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50년(철종 1) 홍문관 정자(正字), 홍문관 응교를 거쳐 1857년(철종 8) 사간원 대사간이 되었다. 1...
-
조선 후기 경상 좌도 수군절도사를 지낸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명서(命瑞), 호는 물기재(勿欺齋). 조선 성종(成宗) 대에 이름을 떨친 문신 강희맹(姜希孟)[1424~1483]의 11세손으로 고조 할아버지는 숙종(肅宗) 때 함양 군수를 지낸 강필주(姜弼周)이고 아버지는 강주복(姜柱復)이다. 아들은 강재호(姜在浩)이다. 강응환(姜膺煥)[1735~1795]은 전라...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석여(錫汝). 할아버지는 강석제(姜碩齊)이고, 아버지는 진사 강선(姜橏)이다. 어머니는 윤욱(尹勖)의 딸이고, 부인은 권부(權扶)의 딸이다. 강필리(姜必履)[1713~1767]는 충청남도 당진에서 태어났다. 1747년(영조 23)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767년(영조 43) 세상을 뜰 때까지 20여 년 동안...
-
조선 전기 동래 부사 출신으로 의병장을 지낸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이순(而順), 호는 제봉(霽峰)·태헌(苔軒). 증조 할아버지는 고자검(高自儉)이고, 할아버지는 형조 좌랑 고운(高雲)이며, 아버지는 사간원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이다. 어머니는 진사 서걸(徐傑)의 딸이다. 아들은 고종후(高從厚), 고인후(高因厚), 고유후(髙由厚), 고용후(高用厚)이다. 고경명...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초명은 구명규(具命奎), 자는 성오(性五), 호는 존재(存齋). 대사성을 지낸 구성(具宬)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구종주(具宗柱)이고, 아버지는 구혁(具爀)이며, 어머니는 이만저(李曼著)의 딸이다. 아들은 형조 판서를 지낸 능은군(綾恩君) 구윤명(具允明)이다. 구택규(具宅奎)[1693~1754]는 1714년(숙종...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거(仲車), 호는 소천(蘇川). 할아버지는 예조 판서 권협(權悏)이고, 아버지는 진사 권위중(權偉中)이다. 권대재(權大載)[1620~1689]는 1658년(효종 9)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병조 좌랑·창평 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1660년(현종 1) 전라도 도사일 때 과거 시관(試官)으로서 물의를 일으...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정(子定), 호는 유회당(有懷堂) 또는 수만헌(收漫軒). 증조할아버지는 만회(晩悔) 권득기(權得己)이고, 할아버지는 탄옹(炭翁) 권시(權諰)이며, 아버지는 현감 권유(權惟)이다. 어머니는 송시열(宋時烈)의 딸이다. 고모부는 명재(明齋) 윤증(尹拯)이다. 권이진(權以鎭)[1668~1734]은 호서 지방의 명문...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호는 금초(錦樵).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 감찰을 지낸 김상기(金相箕)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김직이며, 아버지는 진사 김재현(金載顯)이다. 김석의 집안은 김상기 대에 상주에 정착하였다. 김석(金鉐)[1804~?]은 1850년(철종 1) 4월 철종(哲宗) 즉위식을 기념하여 치러진 경과 증광 별시(慶科增廣別試)에서 문과...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수언(壽彦), 호는 허주와(虛舟窩). 아버지는 김두명(金斗明)으로, 최신(崔慎)이 윤증(尹拯)을 탄핵했을 때 제자로서 윤증을 변호하였다. 김석일(金錫一)[1694~1742]은 서울에서 태어나 1731년(영조 7) 문과에 급제하였다. 1740년(영조 16) 순천 현감으로 부임하였고, 이듬해 동래 부사로 옮겼다....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인회(仁會). 아버지는 김매순(金邁淳)이고, 친아버지는 김정순(金鼎淳)이다. 김선근(金善根)[1823~?]은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났다. 1855년(철종 6) 생원시에 급제하여 1857년(철종 8) 숭참(崇參), 1861년(철종 12) 공조 정랑을 지냈다. 1863년(철종 14)부터 영유 현령, 덕천 군수, 평양...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수경(壽卿). 아버지는 김익현(金翼鉉)이다. 김영덕(金永悳)[1859~1910]은 서울에서 태어났다. 1877년(고종 14)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규장각 대교(待敎) 벼슬을 받았고, 1885년(고종 22) 여주 목사, 이듬해 이조 참의와 성균관 대사성이 되었다. 1889년(고종 26) 잠시 동래 부사를 지낸 뒤...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천(聖天), 호는 후몽(後夢). 병자호란 때 청과 끝까지 싸울 것을 주장한 예조 판서 김상헌(金尙憲)[1570~1652]의 11세손으로, 아버지는 김병교(金炳喬)이다. 김학진(金鶴鎭)[1838~?]은 1871년(고종 8)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 벼슬을 받았다. 1874년(고종 11) 홍문관 교리를 지냈고,...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아버지는 민건호(閔建鎬)로, 민석호(閔奭鎬)에게 입양되었다. 민영돈(閔泳敦)[1863~?]은 1886년(고종 23)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87년 4월 한림(翰林) 벼슬을 받았고, 6월 시강원 설서(侍講院說書)로 옮겼다. 1888년(고종 25) 시강원 사서(侍講院司書), 1889년(고종 26) 왕세자의 계...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인보(寅甫), 호는 명고(鳴皐). 아버지는 봉정대부 품계를 받은 민영(閔韺)이다. 민응협(閔應恊)[1597~1663]은 1633년(인조 11) 문과에 급제하여 1634년 사헌부 지평에 임명되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난 이듬해인 1637년(인조 15) 임금이 청에 항복하여 소현 세자(昭顯世子)와 봉림 대군(鳳林大君...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대수(大受), 호는 노봉(老峯). 증조할아버지는 민여건(閔汝健)이고, 할아버지는 경주부 윤 민기(閔機)이며, 아버지는 강원도 감사 민광훈(閔光勳)이다. 어머니는 판서 이광정(李光庭)의 딸이다. 부인은 신승(申昇)의 딸과 홍처윤(洪處尹)의 딸이다. 형은 민시중(閔蓍重)이고, 동생은 민유중(閔維重)이며, 아들은 민진장(閔鎭...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겸숙(兼叔). 증조할아버지는 박세규(朴世奎)이고, 할아버지는 박태소(朴泰素)이며, 아버지는 박필사(朴弼思)이다. 박사창(朴師昌)은 1687년(숙종 13)에 태어났다. 1721년(경종 1) 증광 사마시(增廣司馬試)에 진사 2등으로 급제하였고, 1730년(영조 6) 정시 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 13등으로...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박제관(朴齊寬)[1834~?]은 반남 박씨(潘南朴氏)로 명성 황후(明成皇后)의 일가인 민씨파에 속했다. 1859년(철종 10)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흥선 대원군(興宣大院君)이 권력을 잡고 있던 1867년(고종 4) 경기도 암행어사가 되어 탐관오리의 숙청, 우수 관리의 표창, 지방 제도 개선 등에 공헌하였다. 1871년(고종 8)...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학계(學季), 호는 검암(黔巖). 아버지는 진사 박충정(朴忠挺)이다. 박치도(朴致道)[1642~1697]는 1668년(현종 9)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1680년(숙종 6) 지평이 되었다.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에 있을 때 절도정배(絶島定配)[죄인을 외딴섬으로 귀양 보냄]와 추록훈(追錄勳)[공신 명단...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원직(元稷)·무진(戊辰). 증조 할아버지는 서광수(徐廣修)이고, 할아버지는 군수 서유증(徐有曾)이며, 아버지는 영산 현감 서선보(徐善輔)이다. 어머니는 군수 김강(金鋼)의 딸이고, 부인은 이도성(李度誠)의 딸이다. 서경순(徐璟淳)[1808~?]은 1852년(철종 3) 식년시에 생원 3등 37위로 급제하고, 186...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계긍(季肯), 호는 다사(茶史). 증조 할아버지는 좌의정 서명균(徐命均)이고, 아버지는 서유돈(徐有敦)이며, 어머니는 현령 윤광부(尹光孚)의 딸이다. 아들은 서공순(徐公淳)이고, 손자는 서상집(徐相集), 증손자는 서병갑(徐丙甲)이다. 서당보(徐堂輔)[1806~1883]는 1827년(순조 27) 생원시에 급제하...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성집(聖執). 할아버지는 밀양 부사를 지낸 성덕구(成德求)이고 아버지는 성긍주(成肯柱)이며, 어머니는 이두원(李斗源)의 딸이다. 성수묵(成遂默)[1792~1850]은 1792년(정조 16) 서울에서 태어나 1825년(순조 25) 진사로서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829년(순조 29)까지 한림원 직각...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즉행(則行), 호는 연강(烟江). 아버지는 참의 성수익(成壽益)[1528~1598]이고, 아들은 성하연(成夏衍)[1585~?]이다. 성진선(成晋善)[1557~?]은 1594년(선조 27) 문과에 급제하였다. 1597년(선조 30) 전라도 도사로 있을 때 일 처리가 경망스럽고 형벌을 남용한다는 사간원의 탄핵으로...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공회(孔懷). 아버지는 동래 부사 및 경상 관찰사를 지낸 성진선(成晉善)[1557~?]이다. 성하연(成夏衍)[1585~?]은 1613년(광해군 5) 대북파(大北派)가 선조의 적자인 영창 대군(永昌大君)과 그 추종 세력인 소북파(小北派)를 제거한 사건인 계축옥사(癸丑獄事) 후 성균관 유생 이위경(李偉卿)[158...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망여(望如), 호는 월주(月洲).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소동명(蘇東鳴)이다. 소두산(蘇斗山)[1627~1693]은 1652년(효종 3) 진사가 되고, 1660년(현종 1) 식년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성균관 전적을 거쳐 1663년(현종 4) 사간원 정언, 사헌부 지평을 지냈다. 직언을 잘하여 권...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적만(敵萬), 호는 야촌(野村). 아버지는 손신의(孫慎儀)이고, 어머니는 이심근(李深根)의 딸이다. 증손자는 손익현(孫益顯)이다. 손만웅(孫萬雄)[1643~1712]은 1669년(현종 10)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671년(현종 12) 오수 찰방에 임명된 이후 1674년(현종 15) 공조·예조·형조의 좌...
-
임진왜란 때 동래읍성 전투에서 순절한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덕구(德求), 호는 천곡(泉谷). 아버지는 송화 현감 송복흥(宋復興)이고 어머니 안동 김씨(安東金氏)이다. 송상현(宋象賢)[1551~1592]은 10세 무렵에 경사(經史)에 통달하고, 15세에 승보시(陞補試)[매년 음력 10월 성균관 대사성이 사학의 유생을 모아 12일 동안 시부(詩賦)로 시험을 보던...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계명(季明). 할아버지는 신구(申銶)이고, 아버지는 신사정(申思鼎)이며 친아버지는 신사영(申思永)이다. 어머니는 이수민(李壽民)의 딸이고, 부인은 홍우조(洪禹肇)의 딸이다. 신위(申暐)[1707~?]는 1739년(영조 15) 문과에 급제한 이후 예문관 한림을 시작으로 사간원, 사헌부, 홍문관, 승정원 등의 청...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아버지는 심문(沈雯)이고, 어머니는 홍명주(洪命周)의 딸이다. 심동신(沈東臣)[1824~?]은 1850년(철종 1) 경과 증광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다. 1859년(철종 10) 11월 제주 암행어사로 파견되었고 1863년(철종 14) 사헌부 장령, 1871년(고종 8) 성균관 대사성을 지냈다. 조선이...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율보(栗甫), 호는 학촌(鶴村). 아버지는 사복시 첨정 안정섭(安廷燮)이다. 안진(安縝)[1617~1685]은 1639년(인조 17) 사마시에 급제하고, 1652년(효종 3)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현종 초에 사간원 정언, 영광 군수, 사헌부 장령, 사간원 헌납 등을 지냈다. 1664년(현종 5) 5...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여익(汝益), 호는 추탄(楸灘)·토당(土塘). 아버지는 영의정에 추증된 오희문(吳希文)[1539~1613]이다. 오윤겸(吳允謙)[1559~1636]은 1589년(선조 22) 성균관 유생으로 전강(殿講)에서 으뜸을 하여 영릉 참봉에 임명되었다. 평강 현감이던 1597년(선조 30)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홍문...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공예(公藝). 아버지는 사간원 헌납을 지낸 오현주(吳鉉冑)이고, 형은 사간원 대사간 오정원(吳鼎源)이다. 오한원(吳翰源)[1750~?]은 담양 출신으로, 1775년(영조 51) 문과에 급제하였다. 1792년(정조 16) 등용되어 사헌부 장령, 사간원 헌납, 홍문관 부수찬·수찬을 역임하고 1800년(정조 24)...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직보(直甫), 호는 천수재(踐修齋). 감사 유색(柳穡)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수찬을 지낸 유겸명(柳謙明)이다. 유당(柳戇)[1723~1794]은 1753년(영조 29) 문과에 급제하여 1756년(영조 32) 사헌부 지평에 임명되었다. 그해 신경(申暻)이 자신의 외조부인 박세채(朴世采)의 문묘 배향을 청한 것은...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실백(實伯), 호는 낙곡(樂谷). 아버지는 감역(監役) 유척(柳滌)이다. 유대화(柳大華)[1576~1646]는 한양에서 태어나, 1605년(선조 38) 음직으로 참봉을 지내다가 1618년(광해군 10) 증광 문과에 급제하였다. 1623년(광해군 15) 안악 군수에 임명되었고, 1624년 중화 군수로 이괄(李适...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징보(澄甫), 호는 도계(道溪). 증조할아버지는 유영경(柳永慶)이고, 할아버지는 유열(柳悅)이다. 아버지는 전창위(全昌尉) 유정량(柳廷亮)이고, 어머니는 선조(宣祖)의 여섯째 딸 정휘 옹주(貞徽翁主)이다. 유심(柳淰)[1608~1687]은 1613년(광해군 5) 계축옥사 때 가산을 몰수당하고 호남으로 귀양 간...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로 동래 향교를 중수한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기지(起之). 아버지는 좌의정에 추증된 유림(柳琳)이다. 유지발(柳之發)[1633~1705]은 1654년(효종 5) 생원시에 급제하고 1662년(현종 3)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다. 회양 부사·사간원 정언·사헌부 장령과 지평을 역임하였다. 1674년(현종 15) 임금의 어머니인 인...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여망(汝望), 호는 석호(石湖). 아버지는 대사간 윤황(尹煌)이고, 어머니는 창녕 성씨(昌寧成氏)로 성혼(成渾)의 딸이다. 아들은 윤박(尹搏)과 목천 현감을 지낸 윤륜(尹掄)이다. 며느리[윤박의 처]는 송시열(宋時烈)의 딸이다. 윤문거(尹文擧)[1606~1672]는 1633년(인조 11)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현세(顯世), 호는 지산(芝山). 증조 할아버지는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燮)이고, 할아버지는 윤지함(尹之諴)이며, 아버지는 호조 좌랑 윤엄(尹儼)으로 서화에 필법에 조예가 깊었다. 어머니는 예조 판서 김주(金澍)의 딸이다. 윤민일(尹民逸)[1564~1635]은 1596년(선조 29) 문과에 급제하였다. 성균...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경중(景中). 아버지는 윤좌열(尹佐烈)이다. 윤치화(尹致和)[1821~?]는 1855년(철종 6) 식년시 병과로 급제한 후 검열·정언·지평·부수찬·호조 좌랑을 거쳐 1877년(고종 14) 홍우창(洪祐昌)[1819~?]의 뒤를 이어 동래 부사로 부임하였다. 윤치화가 동래 부사로 재임하던 때는 강화도 조약의 내용을...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차야(次野), 호는 백사(白沙). 증조할아버지는 윤희림(尹希琳)이고, 할아버지는 윤변(尹忭)이며, 아버지는 영의정 윤두수(尹斗壽)이다. 어머니는 황대용(黃大用)의 딸이고, 부인은 심의겸(沈義謙)의 딸이다. 윤훤(尹喧)[1573~1623]은 1597년(선조 30) 정시(庭試) 문과 을과로 장원 급제하였다. 호조...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득보(得甫), 호는 반곡(盤谷)·지비자(知非子). 조선 정종(定宗)의 열 번째 아들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8세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 판서 이경직(李景稷)이고, 아버지는 이후영(李後英)이다. 어머니는 창녕 조씨(昌寧曺氏)로 호조 참판 조문수(曺文秀)의 딸이다. 이덕성의 할아버지인 이경직은 1617년(광해군...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심보(心甫), 호는 몽탄(夢灘). 아버지는 이행건(李行健)[1588~1654]으로,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들어가 독전어사(督戰御史)로서 성을 방어한 공로로 통정대부가 되었다. 어머니는 청송 심씨(靑松沈氏)로 심대후(沈大厚)의 딸이다. 이만웅(李萬雄)[1620~1661]은 1649년(효종 즉위년) 증광 문과에...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이장(而壯), 호는 자암(紫巖). 아버지는 명종(明宗)과 선조(宣祖) 대에 벼슬을 한 강원도 관찰사 이광준(李光俊)이고, 어머니는 평산 신씨(平山申氏)로 선무랑(宣務郞) 신권(申權)의 딸이다. 이민환(李民寏)[1573~1649]은 장현광(張顯光)의 문하에서 공부하여 1600년(선조 33) 별시 문과에 병과로...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면여(勉餘), 호는 양계(陽溪). 본적은 경상북도 성주(星州)이고, 출생지는 경상북도 김천(金泉)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찬귀(李纘貴)이고, 할아버지는 이윤무(李胤武)이며, 아버지는 이상규(李尙規)이다. 어머니는 덕산황씨(德山黃氏)로 황하징(黃河徵)의 딸이다. 첫째 부인은 순천김씨(順天金氏)로 김희장(金喜長)의 딸이고,...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지숙(持叔). 증조 할아버지는 이조 판서에 추증된 이사경(李士慶)이고, 할아버지는 좌승지에 추증된 이후지(李後地)이며, 아버지는 나주 목사로 호조 참판에 추증된 이하악(李河岳)이다. 어머니는 북청 이씨(北靑李氏)로 청흥군(靑興君) 이중로(李重老)의 딸이고 부인은 전의 이씨(全義李氏)다. 양아들은 이의룡(李宜龍)이다. 이...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자민(子敏), 호는 동악(東岳). 증조 할아버지는 용재 이행(李荇)이고, 아버지는 사헌부 감찰 이필(李泌)이다. 친아버지는 진사 이형(李泂)이다. 어머니는 경주 이씨(慶州李氏)이다. 인조(仁祖) 대에 대제학을 지낸 이식(李植)이 오촌 조카이다. 이안눌(李安訥)[1571~1637]은 1589년(선조 22) 진사...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완산(完山). 자는 중선(仲先). 증조 할아버지는 종실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이고, 할아버지는 병자호란 때 어가를 호종하여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에 오른 구천군(龜川君) 이수(李睟)이며, 아버지는 봉산군(蓬山君) 이형신(李炯信)이다. 어머니는 한득일(韓得一)의 딸이다. 이야(李壄)[1648~1719]는 16...
-
개항기 동래 부사 겸 부산항 감리를 역임한 관료.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치만(稚萬), 호는 강암(剛庵). 아버지는 사과 이승조(李承祖)이며, 을사조약 때 분사(憤死)한 조병세(趙秉世)의 사위로, 부인은 양주 조씨(楊州趙氏)이다. 이용직(李容稙)은 1852년 12월 24일에 태어났다. 1875년(고종 12)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877년 한림의 권점(圈點)을...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사징(士徵), 호는 귀암(歸巖). 할아버지는 유학자 이윤우(李潤雨)이고, 아버지는 이도장(李道長)이며, 어머니는 김시양(金時讓)의 딸이다. 이원정(李元禎)[1622~1680]은 1648년(인조 26) 사마시를 거쳐 1652년(효종 3) 증광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사헌부 검열, 교리를 거쳐 1660년(현종...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승경(昇卿), 호는 태호(太湖). 아버지는 이지완(李志完)[1575~1617]으로, 시문에 능하여 1606년(선조 39) 명나라의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왔을 때 이호민(李好閔)·허균(許筠) 등과 접반하였다. 광해군(光海君) 초기에 승지와 대사간을 지내고, 1613년(광해군 5) 계축옥사를 다스려 병조 판서에 올랐다....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덕중(德仲). 증조 할아버지는 이초기(李楚奇)이고, 할아버지는 이지성(李之星)이며, 아버지는 이준상(李寯相)이다. 어머니는 김이오(金以嗚)의 딸이다. 이유신(李裕身)[1698~?]은 1725년(영조 1)에 통덕랑으로서 증광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30년(영조 6) 사간원 정언, 사헌부 지평을 거쳐 1...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군칙(君則), 호는 수남(水南). 증조 할아버지는 이해창(李海昌)이고, 할아버지는 이만익(李晩益)이며, 아버지는 이필중(李必重)이다. 어머니는 윤반(尹攀)의 딸이고, 부인은 최상겸(崔尙謙)의 딸이다. 이이장(李彛章)[1708~1764]은 1729년(영조 5) 생원시에 급제하고, 1735년(영조 11) 증광시...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방언(邦彦), 호는 송벽당(松蘗堂). 고조 할아버지는 조선 중엽 한문 사대가의 한 사람인 이정구(李廷龜)[1564~1635]이고, 아버지는 군수 이봉조(李鳳朝)[1644~1701]이다. 이정신(李正臣)[1660~1727]은 음직으로 강릉 참봉에 있으면서 1699년(숙종 25) 문과에 급제하였다. 사간원 정언,...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원길(元吉), 호는 구완(九畹). 증조할아버지는 좌통례에 증직된 이세달(李世達)이고, 할아버지는 현감 이윤우(李允宇)이며, 아버지는 좌찬성에 증직된 이창(李瑒)이다. 어머니는 중종(中宗)의 부마인 능창위(綾昌尉) 구한(具澣)의 딸이다. 이춘원(李春元)[1571~1634]은 20세 때 사마시에 급제하였다. 15...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보춘(普春), 호는 분재(奮齋). 경평군(慶平君) 이륵(李玏)의 5세손으로 증조 할아버지는 동원군(東原君) 이집(李潗)이고, 할아버지는 청릉군(靑陵君) 이모(李模)이며, 아버지는 이언형(李彦衡)이다. 어머니는 홍현보(洪鉉輔)의 딸이고, 부인은 민백상(閔百祥)의 딸이다. 외삼촌은 사도 세자(思悼世子)의 장인인 홍봉한(洪鳳...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하경(夏卿). 증조 할아버지는 이장형(李長亨)이고, 할아버지는 이유(李琉)이며, 아버지는 이유담(李維聃)이다. 어머니는 유양증(兪養曾)의 딸이고, 부인은 민광윤(閔光尹)의 딸이다. 이하(李夏)[1636~?]는 1656년(효종 7) 별시 문과 병과에 7위로 급제하였다. 1661년(현종 2) 승정원 주서(主書)로...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태초(太初), 호는 백봉(白峯). 증조 할아버지는 이상신(李尙信)이고, 할아버지는 이지유(李志裕)이며, 아버지는 이방진(李邦鎭)이다. 어머니는 허경(許儆)의 딸이고, 부인은 이운한(李雲漢)의 딸이다. 이항(李沆)은 1670년(현종 11) 별시 문과 병과에 5등으로 급제하였다.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의하...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우봉(牛峯). 자는 사명(士明). 아버지는 이우(李㘾)이다. 이호성(李鎬性)[1842~?]은 1888년(고종 25)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록(弘文錄)[의정부에서 작성한 홍문관원 후보자의 인선 기록]과 도당록(都堂錄)[홍문록 작성을 위한 의정부의 인선 기록]에 이름을 올렸다. 1889년(고종 26) 직각(直閣)[규장각 종6...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계방(季方), 호는 금시당(今是堂). 할아버지는 종부시 정(宗簿寺正)을 지낸 임영로(任榮老)이고, 아버지는 좌승지 임연(任兗)이며, 어머니는 초계 정씨(草溪鄭氏)로 영의정에 추증된 정유성(鄭惟誠)의 딸이다. 부인은 상산 김씨(商山金氏)로 관찰사 김상(金尙)의 딸이다. 자녀는 임좌(任座), 임방(任埅), 임승(任陞), 임...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내중(來仲), 호는 동계(東溪). 증조 할아버지는 정회원(鄭恢遠)이고, 할아버지는 정지명(鄭之明)이며, 아버지는 정유창(鄭有昌)이다. 친아버지는 정유린(鄭有隣)이다. 부인은 이인징(李麟徵)의 딸이다. 정래주(鄭來周)[1680~1745]는 1705년(숙종 31)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1730년(...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자는 중급(仲及). 증조할아버지는 정광겸(鄭光謙)이고, 할아버지는 정창유(鄭昌兪)이다. 아버지는 정원시(鄭元始)이며, 어머니는 윤원동(尹遠東)의 딸이다. 부인은 송지경(宋持敬)의 딸이다. 정상우(鄭尙愚)는 1756년(영조 32)에 태어났다. 1790년(정조 14) 증광시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793년(정조...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로, 동래부 동헌을 지은 문신. 본관은 동래. 자는 몽뢰(夢賚), 호는 추천(秋川). 동래 정씨 사암공파로 증조 할아버지는 이조 판서 정대년(鄭大年)이고 할아버지는 정휴복(鄭休復)이며, 아버지는 정호(鄭灝)이다. 어머니는 송원(宋瑗)의 딸이다. 정양필(鄭良弼)[1593~1661]은 1615년(광해군 7) 을묘 식년시(乙卯式年試)에 진사 1등으로 급제하...
-
조선 후기 동래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공리(公理), 호는 정지재(定止齋). 증조할아버지는 정숙(鄭橚)이고, 할아버지는 정태구(鄭台耈)이며, 아버지는 광주부윤을 지낸 정필동(鄭必東)이다. 어머니는 박번(朴蕃)의 딸이다. 정언섭(鄭彦燮)[1684~1748]은 1717년(숙종 43)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하고, 1725년(영조 1) 증광 문과에 장원 급...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원례(元禮). 고조할아버지는 정만화(鄭萬和)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정재해(鄭載海), 할아버지는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낸 정시선(鄭是先), 아버지는 정석년(鄭錫年)이다. 어머니는 이세태(李世泰)의 딸이다. 정이검(鄭履儉)은 1695년(숙종 21)에 태어났다. 1730년(영조 6) 문과 병과에 급제하였다...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경국(景國), 호는 유당(留堂). 아버지는 정희조(鄭喜朝)이다. 정인학(鄭寅學)[1839~1919]은 1870년(고종 7) 생원시에 급제하고 1880년(고종 17) 문묘 작헌례 문과(文廟酌獻禮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81년(고종 18) 홍문관 부교리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882년(고종 19) 홍문관...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성능(聖能), 호는 기주(棋洲). 영의정 정광필(鄭光弼)의 5세손으로 아버지는 형조 판서 정광성(鄭廣成)이고, 어머니는 황근중(黃謹中)의 딸이다. 형은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이고, 사촌은 좌의정 정지화(鄭知和)이다. 부인은 의령 남씨(宜寧南氏)로 오위장 남정(南瀞)의 딸이다. 아들은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으로,...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동망(東望). 호는 국당(菊堂)·삼당(三堂). 아버지는 이조 좌랑 정양우(鄭良佑)이고, 부인은 우의정 강석기(姜碩期)의 딸이다. 정태제(鄭泰齊)[1612~1669]는 1635년(인조 13)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이 되었다. 1639년(인조 17) 사간원 정언, 사헌부 지평, 사간원 헌납을 거...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정현덕(鄭顯德)[1810~1883]의 본관은 초계(草溪)이고, 자는 백순(伯純), 호는 우전(愚田)이다. 1850년(철종 1) 증광 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1862년(철종 13) 오위 부사과(五衛副司果) 등을 역임하고 고종(高宗) 초에 서장관(書狀官)에 임명되어 서형순(徐衡淳)을 따라 청나라에 다녀왔다. 흥선 대원군(興宣大院...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양래(陽來). 아버지는 정제선(鄭濟先)이다. 정형복(鄭亨復)[1686~1769]은 1725년(영조 1) 문과에 급제하여 세자시강원 설서, 홍문관 응교, 사헌부 지평, 사간원 정언, 병조 정랑, 홍문관 수찬, 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1732년(영조 8) 전라도 암행어사로 파견되었고, 1734년 전라도 경차관(敬...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성필(聖必), 호는 간산(幹山). 시호는 문정(文靖). 아버지는 조구영(趙龜永)이다. 조병필(趙秉弼)[1835~1908]은 1871년(고종 8) 수릉 참봉(綏陵參奉)으로 황감제 문과(黃柑製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 사헌부 지평, 사간원 정언 등을 지내고 이듬해에 청송 부사가 되었다. 1874년(고종...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의망(嶷望), 호는 수촌(樹村). 아버지는 참봉 조석(趙碩)이고, 어머니는 별좌(別坐) 이거인(李據仁)의 딸이다. 조세환(趙世煥)[1615~1683]은 1633년(인조 11)에 사마시에 급제하고, 1657년(효종 8)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이 되었다. 이후 예조와 병조의 좌랑, 황주 판관,...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명서(明瑞), 호는 영호(永湖)·제곡(濟谷). 고조할아버지는 인조(仁祖) 때의 공신인 풍안군(豊安君) 조흡(趙潝)이고, 할아버지는 홍천 현감 조도보(趙道輔)이며, 아버지는 이조 판서 조상경(趙商絅)이다. 어머니는 이정태(李廷泰)의 딸이다. 아들은 이조 판서 조진관(趙鎭寬)이고, 손자는 풍은 부원군(豊恩府院君) 조만영(趙...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수초(守初), 호는 용호(龍湖)·정곡(鼎谷). 아버지는 이조 참판에 추증된 조연손(趙連孫)이고, 아버지는 이조 판서에 추증된 조람(趙擥)이며, 친아버지는 용인 현령 조준수(趙俊秀)이다. 아들은 형조 판서 조계원(趙啓遠)이다. 조존성(趙存性)[1554~1628]은 1590년(선조 23)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양주(楊洲). 자는 성등(聖登). 증조 할아버지는 호조 판서 조존성(趙存性)이고, 할아버지는 형조 판서 조계원(趙啓遠)이며, 아버지는 전라 감사 조구석(趙龜錫)이다. 어머니는 밀산군(密山君) 이찬(李燦)의 딸이다. 사촌동생은 노론 4대신 중 한 명으로 판중추부사를 지낸 조태채(趙泰采)이다. 조태동(趙泰東)[1649~1712]은...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겸 의료인.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공윤(公胤), 호는 송촌(松村). 아버지는 지익룡(池翼龍)이다. 지석영(池錫永)[1855~1935]은 한성부 중서훈동 12통 9호[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원동]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서학을 동경하여 중국에서 번역된 서양 의학책을 많이 읽었다. 특히 영국 제너(Edward Jenner)의 종두법(種...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량(子亮). 할아버지는 충청도 관찰사 최상익(崔商翼)[1631~1699]이고, 아버지는 강원도 관찰사 최중태(崔重泰)[1656~?]이다. 최명상(崔命相)[1676~1736]은 1705년(숙종 31) 세자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연명 상소를 올렸고, 1722년(경종 2) 문과에 급제하였다. 승정원 가주서, 사간...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하경(夏卿), 호는 지곡(芝谷). 증조 할아버지는 한덕급(韓德及)이고, 할아버지는 한수원(韓壽遠)이며, 아버지는 청원군(淸原君) 한성보(韓聖輔)이다. 친아버지는 판관 한성익(韓聖翼)이다. 한배하(韓配夏)[1650~1722]는 1693년(숙종 19) 문과에 급제하여 세자시강원 설서(說書), 사간원 정언, 세자시...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치규(稚圭). 아버지는 진사 한문두(韓文斗)[1588~?]이다. 한진기(韓震琦)[1610~1665]는 1649년(효종 원년) 문과 급제 후 사헌부 지평을 지내고 1655년(효종 6) 동래 부사에 임명되었다. 『동래부지(東萊府誌)』에 따르면 한진기는 1655년 4월 동래에 부임하였다. 경상 좌수사와 갈등을 일으...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유성(幼盛), 호는 소운(小芸). 증조 할아버지는 홍낙명(洪樂命)이고, 할아버지는 홍직모(洪稷謨)이며, 아버지는 도정(都正) 홍한주(洪翰周)이다. 홍우창(洪祐昌)[1819~1888]은 1866년(고종 3)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 부수찬, 사간원 헌납을 지내고 1875년(고종 12) 8월 황정연(黃正淵...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군실(君實), 호는 청계(淸溪)·창람(蒼嵐). 아버지는 진사 홍원호(洪遠湖)이고, 어머니는 조정호(趙廷虎)의 딸이다. 아들은 홍천서(洪天敍)이다. 홍위(洪葳)[1620~1660]는 1649년(효종 즉위년) 성균관의 유생일 때 이이(李珥)[1536~1584]와 성혼(成渾)[1535~1598]을 문묘에 배향할 것...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회원(會元), 호는 해월헌(海月軒)·매월헌(梅月軒).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첨의평리문하시중을 역임한 황서(黃瑞)의 후손으로, 증조 할아버지는 황세충(黃世忠)이고 할아버지는 성주 목사 황우(黃瑀)이며 아버지는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 황응징(黃應澄)이다. 어머니는 숙부인(淑夫人) 영덕 정씨(盈德鄭氏)로 충무위 사직...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자우(子羽). 증조 할아버지는 예천 군수 황입중(黃立中)이고, 할아버지는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자 김천역 찰방을 지낸 황면(黃沔)이며, 아버지는 판관 황진구(黃震耈)이다. 어머니는 김계(金棨)의 딸이다. 부인은 이시형(李時馨)의 딸로, 이조 판서를 역임한 황흠(黃欽)의 재종제이다. 황일하(黃一夏...
-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중립(仲立). 아버지는 황종헌(黃鍾憲)이다. 황정연(黃正淵)[1821~?]은 서울 출신으로 1859년(철종 10) 경과 증광 별시 문과(慶科增廣別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교리, 부교리, 홍문관 부수찬을 거쳐, 1874년(고종 11) 11월 동래 부사에 임명되어 1875년 8월 퇴임하였다. 1875년(고종 1...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자유(子由), 호는 만랑(漫浪). 할아버지는 호조 참의와 공조 참의를 지낸 황치경(黃致敬)으로, 성절사 종사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아버지는 목사 황수(黃瀡)이다. 황호(黃㦿)[1604~1656]는 1636년(인조 14) 통신사행 때 종사관으로 정사 임광(任絖), 부사 김세렴(金世濂)을 모시고 일본에 다녀왔...
통신사
-
조선 후기 회답 겸 쇄환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임보(任甫), 호는 도촌(道村). 아버지는 승지를 역임한 강정(姜綎)이다. 강홍중(姜弘重)[1577~1642]은 1606년(선조 39)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서 벼슬살이를 시작하였다. 광해군 때 주서(注書), 세자시강원 정언·세자시강원 문학 등을 거쳐 장령, 필선을 지냈다....
-
조선 후기 회답 겸 쇄환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퇴부(退夫), 호는 삼휴자(三休子)·석촌(石村)·칠송(七松). 고려 공민왕 때 재상을 지낸 경복흥(慶復興)[?~1380]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조 판서에 추증된 경시성(慶時成)[1536~1595]이다. 경섬(慶暹)[1562~1620]은 1590년(선조 23) 증광문과에 급제하였고, 159...
-
조선 후기 경상도 관찰사와 동래 순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명(仲溟), 호는 폐호(閉戶). 권근(權近)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권화(權和)이고, 어머니는 파평 윤씨로 부정(副正) 윤건(尹健)의 딸이다.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할머니 송씨(宋氏) 슬하에서 자라 영의정 윤국형(尹國聲)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부인 파평 윤씨는 윤국형의 딸이다. 아들은 승문원 정자(承文...
-
조선 후기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도원(道源), 호는 동명(東溟), 시호는 문강(文康). 할아버지는 사림파의 중심인물로 우의정을 지낸 김효원(金孝元)[1542~1590]이고, 아버지는 통천 군수를 지낸 김극건(金克鍵)이다. 어머니는 홍문관 전한 허봉(許篈)[1551~1588]의 딸이다. 김세렴(金世濂)[1593~1646]은 명문가에서 태...
-
조선 후기 통신사 제술관(製述官)으로 일본에 다녀온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시온(時韞), 호는 추월(秋月). 의령 부원군(宜寧府院君) 충경(忠景) 남재(南在)의 13세손이자, 직제학 남간(南簡)의 11세손이다. 고조할아버지는 남계하(南季夏)이며, 증조할아버지는 남명핵(南溟翮)이다. 남명핵이 서출(庶出)이어서 이후 자손들이 출세에 제한을 받았다. 할아버지는 성균관 진사 남...
-
조선 후기 통신사 종사관으로 일본에 다녀온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운경(雲卿), 호는 호곡(壺谷). 고조할아버지는 남맹하(南孟夏)이고, 증조할아버지는 무주 현감(茂洲縣監) 남복시(南復始)이며, 할아버지는 의빈부 도사(儀賓府都事) 남진(南鎭), 아버지는 남득명(南得明)이다. 어머니는 평산 신씨(平山申氏)로 신복일(申復一)의 딸이다. 부인 평강 채씨(平康蔡氏)는 사헌부 지평...
-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훈중(熏中), 호는 파은(坡隱). 조선 개국 공신인 영의정 남재(南在)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1655년~1656년 경상 관찰사를 지낸 남선(南翧)[1609~1656]이다. 남익훈(南益熏)[1640~1693]은 1672년(현종 13)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들어가 사관에 천거되고, 세자시강원 설서가...
-
조선 전기 회례사로 일본에 다녀온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자는 정부(正夫), 호는 노송당(老松堂). 신평 신씨의 시조인 송구진(宋丘進)의 5세손으로, 아버지는 송현덕(宋玄德)이다. 고손자는 「면앙정가(俛仰亭歌)」를 지은 송순(宋純)[1493~1582]이다. 송희경(宋希璟)[1376~1446]은 고려 말 우왕 때 충청남도 연산(連山)[충청남도 논산의 옛 지명]에서 태...
-
조선 후기 통신사 제술관으로 일본에 다녀온 문신. 본관은 영해(寧海). 자는 주백(周伯), 호는 청천(靑泉). 할아버지는 신성오(申省吾)이고, 아버지는 신태시(申泰始)이며, 작은아버지는 신태래(申泰來)이다. 세 사람은 문장을 잘하여 밀성삼가(密城三家)로 불렸다. 신유한(申維翰)[1681~1752]은 1713년(숙종 39) 증광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1719년(숙종 4...
-
조선 후기 통신사 서기로 일본에 다녀와 『승사록(乘槎錄)』을 쓴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재(子才), 호는 현천(玄川)·손암(遜菴)·물천(勿川). 10대조 원효연(元孝然)은 세종(世宗) 조에 대사헌, 관찰사, 예조 판서 등을 역임한 문반(文班)이었으나 9대조 원맹수(元孟檖)가 무과에 급제 후 훈련관사첨중추(訓練觀事僉中樞)를 지내면서 무반(武班)으로 바뀐 듯하다. 할아버지...
-
조선 후기 통신사 군관으로 일본에 다녀온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사익(士翼). 증조할아버지는 유선기(柳善基)로, 1719년(숙종 45) 통신사 자제군관에 뽑혀 일본에 다녀왔다. 아버지는 방어사(防禦使) 유달원(柳達源)으로 역시 1763년(영조 39) 명무군관으로 통신사행에 참여하였다. 유상필(柳相弼)[1782~?]은 음직으로 여러 무관직을 역임하였다. 1811...
-
조선 후기 다대포 첨사를 지낸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맹기(孟器). 외조카는 영조(英祖)의 열째 딸 화유 옹주(和柔翁主)의 남편 창성위(昌城尉) 황인점(黃仁點)이다. 이해문(李海文)[1712~1772]은 1757년(영조 33) 무과 정시(庭試)에 급제하였다. 훈련원 부정으로 임명되었다가 곧 강령 현감(康翎縣監)이 되었다. 훈련도감의 무겸(武兼), 훈련주부(訓練...
-
조선 후기 통신사 종사관으로 일본에 다녀온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주경(疇卿), 호는 난재(蘭齋). 증조할아버지는 조한영(曺漢英)이고, 할아버지는 조헌주(曺憲周)이며, 아버지는 의흥 현감 조하성(曺夏盛)이다. 어머니는 윤반(尹攀)의 딸이다. 조명채(曺命采)[1700~1764]는 1736년(영조 12)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 사헌부 지평, 홍문관 수찬,...
-
조선 후기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군헌(君獻), 호는 취병(翠屛). 시호는 충정(忠貞). 할아버지는 감찰 조기(趙磯)이고, 아버지는 승지 조희보(趙希輔)이다. 조형(趙珩)[1606~1679]은 1626년(인조 4)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으나 취소되어 다시 시험을 치러 1630년(인조 8) 식년 문과(式年文科)에 병...
-
조선 후기 초량 왜관 신축 공사를 감독하고, 통신사행에 참여한 역관.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정서(廷瑞). 대대로 역관을 지낸 집안으로, 할아버지 홍희남(洪喜男)은 1624년(인조 2)부터 1655년(효종 6)까지 네 차례 통신사행을 하였고, 1636년(인조 14)부터 1659년(효종 10)까지 네 차례 역관사로 일본을 방문하였다. 큰아버지 홍여우(洪汝雨)도 1655년(효종 6...
-
조선 후기 통신사 정사로 일본에 다녀온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사숙(思叔), 호는 추포(秋浦). 아버지는 정랑 황대수(黃大受)이다. 황신(黃愼)[1562~1617]은 1588년(선조 21)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사헌부 감찰, 음죽 현감, 호조 좌랑, 병조 좌랑, 사간원 정언을 역임하였고,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옥사에 대해 논박했다가 고산...
역관·아전
-
조선 후기 한학 역관으로 활약하였던 인물.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계명(季明), 호는 광천(廣川). 할아버지는 김대충(金大忠)이고, 아버지는 김여의(金汝義)이다. 어머니는 함평 이씨로, 전의감 정을 지낸 이몽룡(李夢龍)의 딸이다. 김지남은 19세에 한학 전공으로 역과에 급제한 이후 숙종 말년까지 많은 업적을 쌓아 우봉 김씨 계동공파가 역관 가계로 자리 잡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
조선 후기 부산포에서 출발하는 통신사행의 왜학 역관으로 활약하였던 인물. 본관은 천녕(川寧). 자는 도이(道以), 호는 금곡(錦谷). 현덕윤의 관향인 천녕 현씨(川寧玄氏)는 역관을 비롯하여 기술관을 다수 배출한 중인 가계의 대명사로 꼽혀 왔다. 참고로 천녕 현씨 가문은 고문서, 묘비 자료, 역대 묘 등이 풍부하게 남아 있어, 중인 가계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실제적으로 검토할 수...
-
조선 후기 초량 왜관에 온 쓰시마의 조선어 역관. 할아버지는 소전기우위문(小田幾右衛門)으로 쓰시마에서 주류업, 금융업을 크게 한 상업인으로 알려져 있다. 아버지는 소전등팔랑(小田藤八郞)으로 조선과의 무역을 전담한 쓰시마 특권 상인(特權商人)인 육십인(六十人) 중 한 명이었다. 아들은 역관 소전관작(小田管作)과 무사 소전무작(小田茂作) 등이 있다. 오다 이쿠고로[小田幾五郞...
-
조선 후기 경상 좌수영에서 근무한 영리(營吏). 본관은 진양(晋陽). 부인은 손씨(孫氏)다. 김종직(金宗直)의 제자였던 할아버지 하백연(河白淵)이 무오사화[1498]에 연루되어 영천으로 귀양 갔다가 그곳에서 죽자 하성대(河聖大)의 아버지가 가족을 데리고 고향인 진주로 향하다가 창녕 술정리[현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술정리]에 눌러앉았다. 이후 진양 하씨(晋陽河氏) 술정파(述亭派)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