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332
한자 韓配夏
영어음역 Han Baeha
이칭/별칭 하경(夏卿),지곡(芝谷),청은군(淸恩君),한부사(韓府使)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112번길 61[수안동 421-5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구지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청주
대표관직 동래 부사|공조 판서
출생 시기/일시 1650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93년 -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706년 8월연표보기 - 동래 부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707년 - 금정진 관아 건립
활동 시기/일시 1708년 11월연표보기 - 동래 부사 퇴임
활동 시기/일시 1709년 - 충청도 관찰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720년 - 청은군에 책봉
몰년 시기/일시 1722년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82년 - 신도비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725년 - 관작 삭탈 후 회복됨
출생지 안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부임|활동지 동래부 동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421-56지도보기
묘소|단소 한배하 묘 -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광생리
관련 유적 칠산동 동래유치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246 동래유치원지도보기

[정의]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가계]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하경(夏卿), 호는 지곡(芝谷). 증조 할아버지는 한덕급(韓德及)이고, 할아버지는 한수원(韓壽遠)이며, 아버지는 청원군(淸原君) 한성보(韓聖輔)이다. 친아버지는 판관 한성익(韓聖翼)이다.

[활동 사항]

한배하(韓配夏)[1650~1722]는 1693년(숙종 19) 문과에 급제하여 세자시강원 설서(說書), 사간원 정언, 세자시강원 필선(弼善)을 역임하였다. 사간원에 있을 때 민진후(閔鎭厚)[1659~1720] 등 임금의 외척을 견제해야 한다는 내용의 상소를 올렸다. 1706년(숙종 32) 동래 부사에 임명되었다. 『동래부지(東萊府誌)』에는 한배하가 1706년 8월 동래 부사에 임명되어 10월에 임지에 왔으며, 1708년(숙종 34) 11월 임기를 마쳤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배하는 1707년 금정산성 중성(中城)을 쌓고 성의 관리를 위해 금정진 관아[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280]를 지었다.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246번지한배하의 선정을 기리는 거사비가 남아 있다. 또 동래부 백성들이 생사당(生祠堂)을 지어 한배하를 제향하였다는 이야기가 「한부사의 젓가락」이라는 설화를 통해 전해지고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배하가 동래 부사가 되어 부임하였을 때 극심한 가뭄으로 논바닥이 갈라져 백성들은 하늘만 쳐다보며 한숨을 짓고 있었다. 이에 한배하는 객사 앞에 장작을 쌓게 하더니 “이곳에 와서 참상을 보게 되니, 이는 나의 부덕이 원인이다. 내 목숨을 버릴 것이니 죽은 뒤에 부디 백성들이 편히 살게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하고는 장작더미에 불을 붙이라고 명하였다. 감히 불을 지피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없어 한배하가 엄하게 하인들을 꾸짖자 한 하인이 눈물을 흘리며 불을 지폈다. 장작더미 위에 태연히 앉아 있는 한배하의 옷깃에 불이 붙는 순간 하늘에서 검은 구름이 몰려오더니 굵은 빗줄기가 이틀간이나 쏟아졌다고 한다.

한배하는 동래 부사에 이어 1709년(숙종 35) 충청도 관찰사로 나갔다. 남의 땅을 몰래 점유했다는 이유로 탄핵당해 무주 부사(茂朱府使)로 좌천되었다가 지의금부사, 내의원 제조, 공조 판서를 역임하였다. 1725(영조 1)년 죽은 지 3년 만에 충훈부 당상을 지낼 당시 화원에게 목호룡(睦虎龍)의 초상을 그리도록 강요하였다 하여 관작을 삭탈당했으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져 관작이 회복되었다.

[학문과 저술]

윤증(尹拯)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아버지 한성보는 송시열(宋時烈)의 가르침에 따라 노론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였으나 한배하송시열을 극렬하게 비판하며 소론으로 돌아섰다.

[묘소]

한배하의 묘는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광생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1720년(숙종 46) 청은군(淸恩君)에 봉해졌다. 1975년 한배하 거사비(韓培厦居思碑)[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246 동래유치원]를 고쳐 세웠고, 1982년 문중에서 신도비를 건립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