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097
한자 黃正淵
영어음역 Whang Jeongyeon
이칭/별칭 중립(仲立)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112번길 61[수안동 421-56]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현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창원
대표관직 동래 부사
출생 시기/일시 1821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59년 - 증광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874년 11월연표보기 - 동래 부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875년 8월연표보기 - 동래 부사 파직
출생지 한양 - 서울특별시
부임|활동지 동래부 동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421-56지도보기
관련 유적 동래향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235 동래향교지도보기

[정의]

개항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가계]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중립(仲立). 아버지는 황종헌(黃鍾憲)이다.

[활동 사항]

황정연(黃正淵)[1821~?]은 서울 출신으로 1859년(철종 10) 경과 증광 별시 문과(慶科增廣別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교리, 부교리, 홍문관 부수찬을 거쳐, 1874년(고종 11) 11월 동래 부사에 임명되어 1875년 8월 퇴임하였다. 1875년(고종 12) 2월 모리야마 시게루[森山茂]가 일본 외무성의 서계(書契)[외교 문서]를 갖고 동래에 왔을 때 조선 조정은 서계를 받아들이려 하였으나 실무자인 황정연은 ‘대일본(大日本)’, ‘황상(皇上)’ 등의 용어를 고쳐야 접수하겠다며 서계를 거절하였다. 모리야마 시게루는 이참에 무력시위를 통해 조선을 개항시킬 것을 일본 정부에 건의하였고, 이듬해 운요호 사건[일본 해군 함정이 강화도에 불법 침입한 사건]을 일으켰다. 황정연은 조정으로부터 일본과의 관계를 악화시켰다는 질책을 듣고 동래 부사직에서 물러났다.

[상훈과 추모]

동래 향교[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235]에 황정연 흥학비(黃正淵興學碑)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