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황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079
한자 黃愼
영어음역 Hwang Sin
이칭/별칭 사숙(思叔),추포(秋浦),문민(文敏)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구지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창원
대표관직 호조 판서
출생 시기/일시 1562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88년 - 문과 장원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94년 - 접반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96년연표보기 - 통신사 정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2년 - 삭탈관직됨
활동 시기/일시 1605년 - 호성선무원종 공신에 책록
활동 시기/일시 1609년 - 진주 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옴
활동 시기/일시 1612년 - 회원 부원군에 책봉
활동 시기/일시 1613년 - 옹진에 유배
몰년 시기/일시 1617년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29년 - 시호를 받음, 우의정에 추증
추모 시기/일시 1964년 - 창강서원에 배향
부임|활동지 동래부 관아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지도보기
묘소|단소 황신 묘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 창강서원
사당|배향지 창강서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

[정의]

조선 후기 통신사 정사로 일본에 다녀온 문신.

[가계]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사숙(思叔), 호는 추포(秋浦). 아버지는 정랑 황대수(黃大受)이다.

[활동 사항]

황신(黃愼)[1562~1617]은 1588년(선조 21)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사헌부 감찰, 음죽 현감, 호조 좌랑, 병조 좌랑, 사간원 정언을 역임하였고,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옥사에 대해 논박했다가 고산 현감으로 좌천당했다. 1591년(선조 24) 왕세자 책봉을 건의하였다가 벼슬을 강등당한 정철(鄭澈)의 일파로 몰려 파직되었다. 1592년(선조 25) 다시 기용되어 세자시강원 사서, 병조 좌랑, 사간원 정언, 사헌부 지평을 역임하였다. 황신은 1594년(선조 27) 명나라 장수 심유경(沈惟敬)의 접반사로 부산에 머물렀고, 강화 회담을 위해 일본에 가는 심유경·양방형(楊邦亨) 일행을 따라 통신사로서 일본에 다녀왔다. 통신사행 후 황신이 쓴 『일본 왕환 일기(日本往還日記)』에 따르면 1596년(선조 29) 8월 3~4일 부산에 체류하였다.

1602년(선조 35) 정인홍(鄭仁弘)의 탄핵으로 삭탈관직되었으나 1605년(선조 38) 임진왜란 때의 공을 인정받아 호성선무원종공신(扈聖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1609년(광해군 1) 진주 부사(陳奏副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이후 호조 참판, 공조 판서·호조 판서를 역임하였다. 1612년(광해군 4)에는 임진왜란 때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을 모신 공으로 위성공신(衛聖功臣) 2등에 책록되고 회원 부원군(檜原府院君)에 봉해졌다. 1613년(광해군 5) 일어난 계축옥사 때 옹진에 유배되어 1617년(광해군 9)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황신은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이다. 문집으로 『추포집(秋浦集)』이 있으며,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뒤 『일본 왕환 일기』를 남겼다.

[묘소]

황신의 묘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 창강서원(滄江書院)에 있다. 원래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부곡리에 있던 것을 1964년 창강서원 내로 이장하였다.

[상훈과 추모]

1629년(인조 7) 문민(文敏) 시호를 받고 우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창강서원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