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홍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203
한자 洪潛
영어음역 Hong Jam
이칭/별칭 영민(永敏),우헌(寓軒)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정용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관
성별
본관 남양
대표관직 강원도 관찰사
출생 시기/일시 1524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76년 - 식년시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89년 - 김해부에 유배
몰년 시기/일시 1589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김해부 태야면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범방 마을
거주|이주지 김해부 태야면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범방 마을
부임|활동지 강릉 - 강원도 강릉시
유배|이배지 김해부 - 경상남도 김해시
묘소|단소 홍잠 묘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범방 마을 금병산

[정의]

조선 전기 부산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영민(永敏), 호는 우헌(寓軒). 남양 홍씨(南洋洪氏) 우헌 문중의 시조이다. 기록에 따르면 증조할아버지는 홍언수(洪彦修)이고, 할아버지는 홍약(洪約)으로 두 사람 모두 판중추부사를 지냈다. 아버지는 대호군 홍형노(洪亨老)이다. 부인은 숙부인 김씨(淑夫人金氏)로, 이조 참의 김덕신(金德信)의 딸이다. 아들은 홍만복(洪蔓復)으로, 자는 익보(益普)이고 호는 남재(南齋)이다. 가선대부의 품계를 받았다고 묘갈명에 적혀 있다. 홍잠의 후손들은 손자 대부터 김해부 태야면[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범방 마을]에서 남양 홍씨 우헌 문중을 이루어 세거하였다. 자손 중에서 김해 부사와 여러 명의 가선대부가 나왔고, 효행 정려를 받아 김해 지역의 세도가로 뿌리를 내렸다. 현재 13대 종손인 홍병주[녹산농협 초대 조합장]가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범방 마을 장전 부락에 살고 있다.

[활동 사항]

홍잠(洪潛)[1524~1589]은 1576년(선조 9) 병자 식년시에 생원 3등으로 급제한 뒤 통정대부로 강원도 관찰사를 지냈다. 청백리로 명성을 얻었으나 1589(선조 22)에 극언 상소를 하였다가 김해부로 유배되었다. 풀려난 지 5일 만에 병으로 세상을 떠나 김해 생림면 안양산(安養山) 자락에 묻혔다.

[묘소]

홍잠의 묘는 현재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범방 마을 금병산에 있다.

[상훈과 추모]

예조 판서와 규장각 직제학을 지낸 숭정대부 홍순형(洪淳馨)이 묘갈명을 지었다. 묘갈명에 따르면 홍잠은 김해 고을에서 받들어 장지를 마련하고, 장례는 강원도장(江原道葬)으로 치렀다. 묘갈명의 내용을 통해 홍잠의 높은 인품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