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653
한자 李德成
영어음역 Yi Deokseong
이칭/별칭 득보(得甫),반곡(盤谷),지비자(知非子)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로 210[대연동 568-5]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순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전주
대표관직 동래 부사|황해도 관찰사
출생 시기/일시 1655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77년 - 사마시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82년 - 춘당대시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82년 - 부정자 겸 춘추관 기사관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87년 12월 20일연표보기 - 동래 부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89년 - 사직, 낙향
활동 시기/일시 1695년 - 의주부 윤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96년 - 황해도 관찰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99년 - 동지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옴, 파직
활동 시기/일시 1704년 - 충청 감사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704년연표보기 -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2월 29일연표보기 -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관 보물 제1501호 지정
부임|활동지 동래부 동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421-56지도보기
묘소|단소 이덕성 묘 -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어송리

[정의]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가계]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득보(得甫), 호는 반곡(盤谷)·지비자(知非子). 조선 정종(定宗)의 열 번째 아들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8세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 판서 이경직(李景稷)이고, 아버지는 이후영(李後英)이다. 어머니는 창녕 조씨(昌寧曺氏)로 호조 참판 조문수(曺文秀)의 딸이다. 이덕성의 할아버지인 이경직은 1617년(광해군 9) 회답 겸 쇄환사의 종사관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부상록(扶桑錄)』을 썼다.

[활동 사항]

이덕성(李德成)[1655~1704]은 1677년(숙종 3) 진사시에 급제하고, 1682년(숙종 8) 춘당대시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부정자 겸 춘추관 기사관이 되어 『현종실록(顯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병조 정랑, 사복시 정을 거쳐 1687년(숙종 13) 12월 20일 동래 부사에 임명되었다.

숙종(肅宗)이덕성을 동래 부사에 임명하면서 “이덕성은 강직하고 두뇌가 명석하며, 상대를 복종시키는 힘이 있어 먼 나라 사람들을 꺼리게 만들 수 있다”라고 말할 정도로 특별하게 여겼다. 동래 부사일 때 이덕성은 동래 상인의 잠매(潛賣)[물건을 몰래 판매함]와 왜인의 불법 행위를 단속하고 징계하는 데 힘썼다.

1688년(숙종 14) 11월 동래의 조선인과 왜관에 사는 일본인이 인삼을 밀무역하다 발각되는 사건이 일어나자 동래부에서는 조선인을 법에 따라 죽였으나 왜관에서는 일본인을 처벌하지 않았다. 이에 이덕성은 왜인 관수(館守)에게 1663년(현종 4)의 전례(前例)를 들어 처벌을 요구하였다. 전례란 왜관에 머물던 일본인이 허가 없이 왜관을 나와 소통사 김달(金達)을 칼로 찔러 죽인 사건으로, 이때 왜관에서는 가해자를 처벌하지 않았다. 그러자 문위 역관(問慰譯官)으로 쓰시마[對馬]에 파견된 김근행(金謹行)이 도주(島主)에게 이 사실을 알려 가해자를 관문 밖에서 효수하도록 한 사실을 말한다.

이덕성은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숙종의 후궁 소의 장씨(昭儀張氏) 아들[후에 경종(景宗)]을 원자로 정하는 문제로 서인이 축출되고 남인이 세력을 잡음] 때 사직하여 잠시 향리에 머물다가 복귀하여 해주 목사, 병조 참지 등을 지냈다. 1695년(숙종 21) 의주부 윤을 역임하고, 1696년(숙종 21) 황해도 관찰사에 이어 동부승지, 예조 참의를 지냈다. 1699년(숙종 25)에는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갔을 때 법을 어기고 사서(史書)를 구입하다 걸려 파직되었다. 다시 형조 참의, 무주 부사, 강원 감사, 형조 참의를 지내고, 1704년(숙종 30) 충청 감사로 재직 중 병으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덕성은 명필로 이름을 날려 글씨를 많이 남겼다. 대표작은 태종의 헌릉비(獻陵碑), 예조 참의 조한영 비(禮曹參議曺漢英碑), 익위 최휘지표(翊衛崔徽之表)[구례] 등이다. 시문집으로 『반곡집(盤谷集)』이 있다. 이덕성의 유품 132점은 2007년 12월 29일 국가 지정 문화재 보물 제1501호로 지정되었다. 2008년 4월 2일에는 이덕성 가의 문적(文籍) 79점이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84호로 지정되었다.

[묘소]

이덕성은 대흥군 팔봉산[현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어송리에 위치] 해좌 언덕에 묻혔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