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유대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059
한자 柳大華
영어음역 U Daewha
이칭/별칭 실백(實伯),낙곡(樂谷)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112번길 61[수안동 421-5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구지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성별
본관 문화
대표관직 동래 부사
출생 시기/일시 1576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18년 - 증광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23년 - 안악 군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24년 - 중화 군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26년 4월연표보기 - 동래 부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27년연표보기 - 동래 부사 퇴임
활동 시기/일시 1639년 - 동부승지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40년 - 형조 참의에 임명, 파직
몰년 시기/일시 1646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한양 - 서울특별시
부임|활동지 동래부 동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421-56지도보기
묘소|단소 유대화 묘 - 팔봉리 한포곡

[정의]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가계]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실백(實伯), 호는 낙곡(樂谷). 아버지는 감역(監役) 유척(柳滌)이다.

[활동 사항]

유대화(柳大華)[1576~1646]는 한양에서 태어나, 1605년(선조 38) 음직으로 참봉을 지내다가 1618년(광해군 10) 증광 문과에 급제하였다. 1623년(광해군 15) 안악 군수에 임명되었고, 1624년 중화 군수로 이괄(李适)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공신록에 이름을 올렸다. 1626년(인조 4) 동래 부사로 부임하였다. 『동래부지(東萊府誌)』에 따르면 유대화는 1626년 4월에 부임하여 1627년 퇴임하였다. 1639년(인조 17) 동부승지가 되고 병조 참의를 역임하였다. 형조 참의이던 1640년 두 사람이 죽은 살인 사건을 다루면서 형벌을 함부로 내렸다는 이유로 사간원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묘소]

유대화의 묘는 충청북도 충주시의 남부 팔봉리 한포곡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