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208 |
---|---|
한자 | 李光國 |
영어음역 | Yi Gwangguk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473-474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용범 |
[정의]
조선 후기 부산 첨사로 정공단(鄭公壇)을 조성한 무신.
[활동 사항]
이광국(李光國)[?~1779]은 1739년(영조 15) 호환(虎患)을 막은 공으로 품계가 올라가고, 1743년(영조 19) 다시 가선대부(嘉善大夫) 품계를 받았다. 내금장(內禁將), 오위장(五衛將), 충장장(忠壯將) 등을 지냈으며 중간에 지방관으로도 나갔다.
1764년(영조 40) 부산 첨사로 부임한 이광국은 임진왜란 때 부산진성에서 부산 첨사 정발(鄭撥)과 함께 왜군과 싸우다 순절한 병사 및 백성들의 충정을 기리기 위해 부산진성 남문 앞에 정공단을 조성하여 흩어져 있던 비들을 한데 모으고 새로 세우기도 하였다. 또한 일본 세견선(歲遣船)의 출입을 철저히 단속하고 밀무역을 근절하였다. 그 공을 인정받아 1766년(영조 42) 9월 중앙으로 옮겨 오위장으로 영전하였다. 1768년(영조 44) 10월부터 1770년 5월까지 평산 부사를 지낸 뒤 1779년(정조 3) 금위영(禁衛營)의 2번 기사장(二番騎士將)으로 재임하던 중 병으로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