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민종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941
한자 閔鍾顯
영어음역 Min Jonghyeon
이칭/별칭 공기(公紀),민종렬(閔鍾烈),문목(文穆)
분야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144 몰운대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우정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여흥
대표관직|경력 이조 판서
출생 시기/일시 1735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56년 - 정시 문과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781년 - 우부승지에 임명, 『국조보감』 찬집
활동 시기/일시 1783년 - 성균관 대사성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785년 - 『태학지』 저술
활동 시기/일시 1786년 - 동지경연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788년 - 비변사 당상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797년 - 예조 판서, 홍문관 제학, 이조 판서, 판의금부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98년 - 정운공 순의비 비문을 지음, 평안도 관찰사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798년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1806년 - 시호를 받음
묘소|단소 민종현 묘 -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신진리

[정의]

조선 후기 부산 다대동 몰운대에 있는 ‘정운공 순의비(鄭運公殉義碑)’의 비문을 지은 문신.

[가계]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공기(公紀), 초명은 민종렬(閔鍾烈). 증조 할아버지는 우참찬 민진후(閔鎭厚)이고, 할아버지는 사헌부 대사헌 민우수(閔遇洙)이며, 아버지는 민백겸(閔百兼)이다. 어머니는 이구(李絿)의 딸이다.

[활동 사항]

민종현(閔鍾顯)[1735~1798]은 1756년(영조 32)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768년(영조 44) 세자시강원 문학(世子侍講院文學)이 되었다. 이어 홍문관 부교리(弘文館副校理)로 있다가 일시적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성균관 대사성, 형조 참판을 지냈으며 1783년(정조 7) 성균관 대사성으로서 영재 교육에 대한 방책을 올렸다.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가 되었으나 부하인 율관(律官)의 잘못으로 삭직당했다. 이듬해 사헌부 대사헌을 거쳐 1786년(정조 10)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 홍문관 부제학,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예조 판서, 홍문관 제학, 장악원 제조를 거쳐 1797년(정조 21) 예조 판서, 홍문관 제학, 이조 판서, 판의금부사로 재임 시 임금이 정호인(鄭好仁)을 석방시키라고 하자 명을 거두어들일 것을 청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였다. 1798년(정조 22)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몰운대 정상 부근에 있는 ‘정운공 순의비(鄭運公殉義碑)’의 비문을 지었다. 그해 평안도 관찰사로 옮겨 재임 중 세상을 떠났다. 민종현은 의례(儀禮)에 매우 밝아서 국가의 예식(禮式)에 대한 상소를 많이 올렸다.

[학문과 저술]

국조보감 찬집 당상(國朝寶鑑纂輯堂上)으로 『국조보감(國朝寶鑑)』을 찬집하였다. 1785년(정조 9) 성균관의 제도, 교과, 학생들의 생활 등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태학지(太學志)』[14권 14책]를 저술하였다.

[묘소]

민종현의 묘는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신진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1806년(순조 6) 문목(文穆)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