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485
한자 鄭誧
영어음역 Jung Po
이칭/별칭 중부(仲孚),설곡(雪谷)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정용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청주(淸州)
대표관직 좌사간대부
출생 시기/일시 1309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26년 - 과거 급제 뒤 예문 수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334년 - 전의시 직장으로 천수절의 서장관에 선발
활동 시기/일시 1342년 - 울산으로 유배됨
활동 시기/일시 1344년 - 유배에서 풀려 좌사간대부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345년연표보기 - 사망

[정의]

고려 후기 동래의 여러 정경을 시로 남긴 문신.

[가계]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중부(仲孚), 호는 설곡(雪谷). 할아버지는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정해(鄭瑎)이고, 아버지는 판선공(判繕工) 정책(鄭責)이다. 최문도(崔文度)의 사위이며, 아들은 정추(鄭樞)이다.

[활동 사항]

정포(鄭誧)[1309~1345]는 1326년(충숙왕 13) 과거에 급제하였고, 얼마 뒤 예문 수찬으로 원나라에 표(表)를 올리러 가다가 마침 원나라에서 귀국 중이던 충숙왕을 배알하게 되어 총애를 받았다. 충혜왕 때 전리 총랑(典理摠郞)에서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가 되었으나, 당시의 잘못된 정치를 바로잡고자 상소하였다가 도리어 파면되었다. 이때 어떤 이가 정포가 원나라로 망명하려 한다는 참언을 하여 끝내 울주(蔚州)[지금의 울산]로 유배당하였다.

유배 중에도 오히려 태연자약하여 활달한 장부의 기질을 잊지 않고 풍류 생활을 즐겼다. 유배지에서 풀리자 다시 출세의 의지를 가지고 원나라에 건너갔으며, 원나라 승상인 베케부카[別哥不花·別哥普化]가 정포를 보고 매우 호감을 가져 원나라 황제에게 추천하였으나, 그 뒤 얼마 안 되어 3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동문선(東文選)』에는 동래와 관련된 「동래 잡시(東萊雜詩)」라는 연작시가 전하는데, 아마도 정포가 울산으로 유배되던 기간에 지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 시를 통해 고려 후기 동래의 모습을 부분적으로 그려 볼 수 있다. 시에서는 동래 관아, 소하정(蘇嘏亭), 해운대, 적취헌(積翠軒), 동래 온천, 화도(花島)의 풍경들과 충렬왕 때 동래 현령으로 부임한 홍간(洪侃)과 이름을 알 수 없는 주씨라는 수령의 선정(善政)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

시에 의하면 동래의 관아는 매화 언덕에 의지해 있고, 민가는 온천천을 따라 죽 늘어서 있는 모습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소하정에 대해서는 옛날 신선이 놀았다는 전설과 그 터가 동래 관아의 동쪽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였다. 해운대에 대해서는 터조차 없이 황폐하다고 하였는데, 동래 관아에서 해운대에 이르는 수영강 연변에는 민가가 죽 늘어서 있는 풍경을 노래하고 있다. 또 동래의 객관인 적취헌의 풍경은 산자락에 연하여 대나무로 둘러싸여 있음을 전하고, 동래 온천에 대해서는 2년 동안 토질로 고생하다가 반나절의 목욕으로 속진을 다 씻었다고 할 정도로 효험이 좋았음을 읊고 있다.

한편 화도는 현재 어느 곳을 가리키는지 알 수 없지만 나비가 떼를 지어 날고, 작은 못에는 물고기가 뛰어논다는 표현을 보면 누정이 있는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배 타고 물 구렁을 찾아가기도 하고, 지팡이 짚고 언덕에 올라보기도” 하였다는 표현을 보면 정포는 동래의 곳곳을 누비면서 그 경치의 아름다움과 동래 사람들의 인정에 깊은 인상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학문과 저술]

정포는 최해(崔瀣)의 문인으로 이곡(李穀) 등과 사귀며 시문과 글씨에 뛰어난 재질을 보였다. 그러나 문집인 『설곡 시고(雪谷詩藁)』가 전하지 않으므로 구체적인 문학과 사상을 파악할 수 없다. 다만, 이제현이 쓴 「설곡 시서(雪谷詩序)」에서 정포의 불행하였던 일생에 대하여 애석해하는 글귀들이 나타나는바, 이를 통하여 그의 인물됨과 재식(才識)의 일단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색의 「설곡 시 고서(雪谷詩藁序)」에서 정포의 시를 “맑아도 고고(苦孤)하지 않고, 화려해도 음탕하지 않아 사기(辭氣)가 우아하고 심원하여 결코 저속한 글자를 하나도 쓰지 않았다”라고 하여 높은 수준의 시경(詩境)을 성취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