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056 |
---|---|
한자 | 宋希璟 |
영어음역 | Song Huigyeong |
이칭/별칭 | 정부(正夫),노송당(老松堂)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구지현 |
[정의]
조선 전기 회례사로 일본에 다녀온 문신.
[가계]
본관은 신평(新平). 자는 정부(正夫), 호는 노송당(老松堂). 신평 신씨의 시조인 송구진(宋丘進)의 5세손으로, 아버지는 송현덕(宋玄德)이다. 고손자는 「면앙정가(俛仰亭歌)」를 지은 송순(宋純)[1493~1582]이다.
[활동 사항]
송희경(宋希璟)[1376~1446]은 고려 말 우왕 때 충청남도 연산(連山)[충청남도 논산의 옛 지명]에서 태어났다. 1402년(태종 2) 과거 급제 후 한림원 벼슬을 거쳐 사간원 정언이 되었다. 1404년(태종 4) 사간원과 사헌부의 마찰에 휘말려 담양에 유배되었다. 1411년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1420년(세종 2)에는 회례사(回禮使)에 뽑혀 아시카가 막부[足利幕府]가 있는 일본 교토[京都]에 파견되었다. 1424년(세종 6) 노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외직을 요청하여 함양 목사로 나갔고, 이듬해 은퇴하여 담양에 은거하였다.
송희경이 일본에 다녀와서 쓴 『노송당 일본 행록(老松堂日本行錄)』에 따르면 회례사 일행은 1420년(세종 2) 2월 5일 즈음 동래에 내려갔고, 15일 부산포를 출발해 초량에서 하룻밤을 잔 다음 이튿날 쓰시마[對馬島]에 도착하였다. 송희경은 동래의 동헌에 묵을 때 관원 및 일본 승려와 여러 편의 시를 주고받았다. 교토 방문을 마친 회례사 일행은 9월 26일 제포[현 진해시]로 들어와, 김해를 거쳐 서울로 향하였다.
[학문과 저술]
회례사로 일본에 다녀온 일을 기록한 『노송당 일본 행록』이 전한다.
[묘소]
송희경의 묘는 전라남도 담양군 봉산면 제월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