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광역시에 있는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설립 운영되는 기관. 「공공 기관의 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 제2조 등에 의하면, 공공 기관은 국가 기관, 지방 자치 단체, 법률에 의하여 설치된 각급 학교, 「지방 공기업법」에 따른 지방 공사 및 지방 공단, 「공공 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공 기관, 그리고 특별법에 의하여 설립된 특수 법인 등을 망라하는 개념...
행정 사법 기관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준정부 기관인 대한법률구조공단의 지부. 대한법률구조공단 부산지부(大韓法律救助公團釜山支部)는 「법률 구조 법」[법률 제11002호, 2011. 8. 4] 제8조에 의거, 「법률 구조 법」에 의한 사업[법률 구조]을 효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옹호하고 법률 복지의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2년 6...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대통령 직속 자문 기관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의 부산 지역 회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부산지역회의는 「대한민국 헌법」 제92조와 「민주 평화 통일 자문 회의법」[법률 제10309호, 2010. 5. 20]에 의거, 조국의 민주적 평화 통일을 위한 정책의 수립 및 추진에 관하여 대통령에게 건의하고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설...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제2심 법원. 부산고등법원(釜山高等法院)은 「부산고등법원 설치에 관한 법률」[법률 제3827호, 1986. 5. 12]에 의거, 항소 및 항고 사건과 선거 소송 등의 심판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7년 9월 1일 부산고등법원으로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 5-1번지에 개원하여 3개의 재판부와 사무국으로 발족하였다. 2001년...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사법 기관[제1심 법원]. 부산지방법원(釜山地方法院)은 「남조선 과도 정부 법령 제192호」[1948. 5. 4]에 의거, 헌법을 수호하고 사법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사법 기관으로 설립되었다. 1948년 6월 1일 부산지방심리원[1947년 1월 1일 미군정청에 의해 설치]을 변경하여 부산지방법원으로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사법 기관[제1심 법원].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은 부산 지역에서 「각급 법원의 설치와 관할 구역에 관한 법률」[법률 제3655호, 1983. 5. 21]에 의거하여 헌법을 수호하고 사법 정의를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8년 9월 1일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재송동 1133번지에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관할 구역: 동래구,...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제1심 법원. 부산가정법원(釜山家庭法院)은 「각급 법원의 설치와 관할 구역에 관한 법률」[법률 제10536호, 2011. 4. 5]에 의거, 가정에 관한 사건과 소년에 관한 사건에 대한 심판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2011년 4월 11일 부산지방법원 가정지원[2001년 3월 1일 개원]이 승격되어 부산가정법원으로 부산광역시 연제구...
-
부산광역시에 있는 부산지방법원 산하의 등기 사무 기관. 부동산 등기, 상업 등기, 동산·채권 담보 등기, 선박 등기 등의 등기 사무는 국가 기관인 법원이 관장하고 있다. 대법원으로부터 관할 구역 내의 등기 사무를 위임받은 법원은 지방 법원과 각 지원들이며, 부산 지역에는 부산지방법원과 동부지원이 등기 사무를 관장하고 있다. 등기 사무는 단순한 행정 민원 업무와는 달리 이...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고등 검찰청. 부산고등검찰청[釜山高等檢察廳]은 항소 사건의 소송 유지와 국가를 상대로 하는 소송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7년 9월 1일 부산고등검찰청으로 부산광역시 서구 부용동 2가 16번지에 개청하였다. 2001년 9월 12일 부산광역시 서구 부용동 2가 16번지에서 연제구 거제동 1501번지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지방 검찰청. 부산지방검찰청(釜山地方檢察廳)은 범죄 수사를 비롯한 공소의 제기와 유지, 국가를 상대로 하는 소송 처리 등의 검사의 사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8년 8월 2일 부산지방검찰청이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에 개청하였다. 1959년 7월 2일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 1번지로 이전하였고, 1984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부산지방검찰청 산하의 지청. 검사(檢事)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법무부 장관 소속으로 설치된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은 부산광역시 동래구·금정구·해운대구 등지에서 범죄 수사를 비롯한 공소의 제기와 유지, 국가를 상대로 하는 소송 처리 등 검사의 사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8년 9월 1일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재송동 113...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변호사들로 구성된 공법인. 부산지방변호사회(釜山地方辯護士會)는 「변호사 법」[법률 제10922호, 2011. 7. 25] 제64조에 의거, 변호사의 품위를 보전하고, 변호사 사무의 개선과 발전을 도모하며, 변호사의 지도와 감독에 관한 사무를 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8년 7월 부산지방변호사회로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법무부 산하 특수 법인.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부산지부(韓國法務保護福祉公團釜山支部)는 「보호 관찰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10220호, 2010. 3. 31] 제71조에 의거, 죄를 지은 사람으로서 재범 방지를 위하여 보호 관찰, 사회봉사, 수강(受講) 및 갱생 보호(更生保護) 등 체계적인 사회 내 처우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2동에 있는 법무부 산하 정부 기관. 김해출입국·외국인사무소(金海空港出入國·外國人事務所)는 「출입국 관리 사무소 직제」[대통령령 제13151호, 1990. 10. 29]와 「법무부와 그 소속 기관 직제」[대통령령 제24116호, 2012. 9. 21] 제48조에 의거, 출입국 관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게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3...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법무부 산하 교정 시설. 부산구치소(釜山拘置所)는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법률 제10865호, 2011. 7. 18] 제11조와 제12조,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법무부령 제700호, 2010. 5. 31] 제150조에 의거, 미결 수용자[형사 피의자 또는 형사 피고인으로서...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1동에 있는 법무부 산하 교정 기관. 부산교도소[釜山矯導所]는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법률 제10865호, 2011. 7. 18] 제11조와 제12조,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법무부령 제700호, 2010. 5. 31] 제150조에 의거, 수형자[징역형·금고형 또는 구류형의 선고를 받...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1동에 있는 법무부 산하의 정부 기관. 부산보호관찰소(釜山保護觀察所)는 「보호 관찰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10220호, 2010. 3. 31] 제14조에 의거, 보호 관찰, 사회봉사, 수강 및 갱생 보호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9년 7월 1일 부산보호관찰소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개청하였다. 1993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1동에 있는 정부 기관[준사법 기관]. 부산보호관찰심사위원회(釜山保護觀察審査委員會)는 「보호 관찰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10220호, 2010. 3. 31] 제5조에 의거, 보호 관찰에 관한 사항을 심사·결정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8년 12월 31일 「보호 관찰 법」의 공표로 소년 보호 관찰 제도가 도입되었고, 1989년 5월...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의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45년 10월 21일 국립 경찰이 창립되어, 미군정에 의해 1946년 10월 21일 경상남도 경찰국이 제7관구경찰청으로 변경되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동시에 제7관구경찰청이 경상남도 경찰국으로 재변경되었고, 19...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94년 1월 22일 북부경찰서 관내에서 7개 동을 분리하여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임시 청사에서 부산강서경찰서로 개서하였고, 1996년 1월 18일 강서구 명지동의 신축 청사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부산광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82년 4월 30일 부산금정경찰서 신설이 결정[대통령령 제10805호]되어, 1982년 5월 6일 부산동래경찰서와 부산해운대경찰서의 관내에서 관할을 조정하여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개서하였다. 2010년 11월 30일 부산기...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2010년 11월 30일 부산해운대경찰서[기장지구대, 일광파출소, 장안파출소]와 부산금정경찰서[정관파출소, 철마파출소] 관내에서 관할을 조정하여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에 부산기장경찰서를 개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남구와 수영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68년 9월 12일 부산동래경찰서와 부산북부경찰서의 관내에서 관할을 조정하여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부산남부경찰서를 개서하였고, 2008년 7월 28일 대연동의 신축 청사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부산광...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45년 10월 21일 국립 경찰 창설로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에 경상남도 경찰국 동래경찰서로 개서하였다. 1977년 11월 17일 해운대경찰서가 개서하여 관내의 9개 파출소[해운대 1·2, 석대, 비행장, 송정, 반송 1·2,...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동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45년 10월 21일 국립 경찰 창설로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경상남도 경찰국 북부산경찰서로 개서하였다. 1957년 7월 26일 동부산경찰서로 변경되었고, 부산진경찰서의 신설로 7개 파출소[부전, 범일, 당감, 범전, 양정, 전포...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북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95년 3월 1일 사상구가 북구에서 분구함에 따라, 7월 2일 기존의 북부경찰서에서 부산사상경찰서와 분리[구포 1·2·3, 화명, 금곡, 만덕 1·2, 덕천 1·2의 9개 파출소로 이관]하여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북부경찰서로 개...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78년 10월 1일 기존의 북부경찰서를 부산진경찰서로 변경하여, 변경된 부산진경찰서와 남부경찰서의 관할을 조정하여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구 영남제분 공장을 임시로 임대]에 북부경찰서로 개서하였다. 1979년 5월 10일 삼락동...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사하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89년 8월 1일 서부경찰서에서 분리[14개 파출소]하여,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부산사하경찰서로 개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부산광역시 사하구 관내에서 시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의 보호, 범죄의 예방·진압 및...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2가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서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57년 7월 26일 중부산경찰서[구 부산경찰서]에서 분리하여,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2가에 서부산경찰서로 개서하였다. 1959년 4월 13일 서대신동 2가의 현 청사 부지로 이전하였고, 1963년 1월 1일 부산서부경찰서...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연제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91년 12월 2일 동래, 부산진, 남부경찰서의 관할 조정으로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연산경찰서가 개서하였고, 2001년 7월 1일 부산연산경찰서로 변경하였다. 2006년 3월 1일 부산동래경찰서로부터 거재지구대를 이관 받아...
-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교동 1가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영도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45년 10월 21일 국립 경찰이 창설되면서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부산수상경찰서[1920년 1월 20일 일제 강점기에 설치된 부산수상경찰서가 전신]로 개서하였고, 1947년 10월 8일 영도의 대교동으로 이전하였다. 1...
-
부산광역시 중구 대창동 1가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중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전신은 1913년 2월 부산부 영정(榮町)에 개서한 일본의 부산경찰서이며, 1945년 10월 21일 국립 경찰이 창설되면서 부산광역시 중구 대창동 1가에 부산경찰서로 개서하였다. 1946년 5월 18일 미군정에 의해 제15구경찰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57년 7월 26일 북부산경찰서가 동부산경찰서로 변경되면서, 8월 1일 동부산경찰서에서 7개 파출소[부전, 범일, 당감, 범전, 양정, 전포, 문현동]와 3개 지서[가야, 용암, 대연]를 이관 받아, 부산진경찰서로 부전동[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977년 11월 17일 동래경찰서에서 7개 파출소[해운대 1·2, 석대, 비행장, 송정, 반송 1·2, 서동, 반여]를 이관 받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해운대경찰서로 개서하였다. 1995년 3월 1일 기장군이 부활하여...
-
일제 강점기 부산에 있던 일제의 통치 기구. 부산수상경찰서는 부산경찰서 수상파출소에서 분리되어 1920년 1월에 신설된 기관으로 해상 관련 업무를 관할하던 일제의 대표적 탄압 기구 중 하나이다. 부산수상경찰서는 부산항 내에서 사법·행정·위생·치안의 경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부산수상경찰서는 1920년 1월 20일 부령 제8호로 신설되었다...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국토해양부 소속 해상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광역시 해안의 해상 치안 및 경비 구난 업무 등을 담당하기 위함이다. 1972년 6월 2일 내무부 치안국 해양경찰대 산하 부산 지구 해양경찰대로 감만동의 제8 부두에서 신설되었고, 1991년 7월 23일 부산해양경찰서[경찰청 해양경찰대 산하]로 변경되었다. 1996년 8월 8일 경찰청...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국토해양부 소속 해상 치안 행정 기관. 설립 목적은 대한민국 남해[울산 앞~여수 앞바다]의 해상 치안과 경비 구난 업무 등을 담당하기 위함이다. 2006년 2월 22일 해양수산부 소속의 4개 지방해양경찰본부 직제 신설이 결정[대통령령]되어, 4월 1일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부산지방해양경찰본부로 개청하였다. 2006년 12월 1일 남해지방...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국토교통부 소속의 철도 공안 기관. 설립 목적은 철도 시설 및 열차의 치안 서비스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기 위함이다. 1963년 4월 18일 철도 공안 제도 설치[교통부 법무관실]가 결정되어, 1963년 9월 1일 부산지방철도청 철도 공안 담당관실이 초량동의 부산역 구내에 개소[부산, 대구, 구포역에 지소]하였다. 2004년 12월 31일 철...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청 산하 부산광역시 관할 소방 기관. 1897년 10월 1일 부산 거주 일본인이 화재로 부터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50명의 인원으로 부산소방조를 편성·운영한 것이 부산 소방의 효시이며, 이 부산소방조를 기초로 1939년 일제에 의해 관설 부산소방서가 설치되었다. 1945년 광복과 더불어 일본인으로부터 소방 시설 및 장비 일체를 인...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 부산광역시 강서소방서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772호, 2012. 7. 11] 제17조에 의거, 관할 구역 내 화재의 예방과 진압, 인명의 구조와 구급 활동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2년 9월 2일 부산광역시 강서소방서로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서 개서하여 오늘에 이...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 부산광역시 금정소방서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772호, 2012. 7. 11] 제17조에 의거, 관할 구역 내 화재의 예방과 진압, 인명의 구조와 구급 활동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3년 7월 29일 금정소방서로 부산직할시 금정구 부곡동에서 개서하였다. 1995년 1월...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 부산광역시 기장소방서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772호, 2012. 7. 11] 제17조에 의거, 관할 구역 내 화재의 예방과 진압, 인명의 구조와 구급 활동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2010년 8월 26일 부산광역시 기장소방서로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에서 개...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 부산광역시 남부소방서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772호, 2012. 7. 11] 제17조에 의거, 관할 구역 내 화재의 예방과 진압, 인명의 구조와 구급 활동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6년 1월 6일 부산광역시 남부소방서로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서 개서하여 오늘에 이...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 부산광역시 동래소방서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772호, 2012. 7. 11] 제17조에 의거, 관할 구역 내 화재의 예방과 진압, 인명의 구조와 구급 활동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7년 6월 1일 동래소방서로 부산직할시 동래구 수안동에서 개서하였다. 1988년 9월...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방본부 산하 소방서. 부산광역시 부산진소방서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772호, 2012. 7. 11] 제17조에 의거, 관할 구역 내 화재의 예방과 진압, 인명의 구조와 구급 활동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4년 12월 10일 개성소방서와 부산부두소방대를 병합하여 북부산소방서로 부산시 부산진구...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 부산광역시 북부소방서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772호, 2012. 7. 11] 제17조에 의거, 관할 구역 내 화재의 예방과 진압, 인명의 구조와 구급 활동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9년 8월 6일 부산북북소방서로 삼락동에서 개서하였다. 1994년 12월 20일 119...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 부산광역시 사하소방서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772호, 2012. 7. 11] 제17조에 의거, 관할 구역 내 화재의 예방과 진압, 인명의 구조와 구급 활동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4년 12월 20일 사하소방서로 신평동에서 개서하였다. 1989년 1월 1일 강서구 녹...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 1897년 10월 1일 일본인들에 의해 조직된 부산소방조(消防組)가 전신이다. 부산광역시 중부소방서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772호, 2012. 7. 11] 제17조에 의거, 관할 구역 내 화재의 예방과 진압, 인명의 구조와 구급 활동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39년...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 부산광역시 항만소방서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772호, 2012. 7. 11] 제17조에 의거, 관할 구역 내 화재의 예방과 진압, 인명의 구조와 구급 활동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1년 7월 25일 항만소방서로 부산직할시 동구 좌천동에서 개서하였다. 1995년 1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 부산광역시 해운대소방서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772호, 2012. 7. 11] 제17조에 의거, 관할 구역 내 화재의 예방과 진압, 인명의 구조와 구급 활동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8년 10월 14일 해운대소방서로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우동에서 개서하였다. 1993년...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 인력 양성 교육 기관. 1987년 1월 9일 발대한 부산직할시 소방본부 교육대가 전신이다. 1998년 11월 30일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의 현 부산광역시 소방본부 부지로 이전하여 소방학교 설치와 개교를 준비하였다. 부산광역시 소방학교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772호, 20...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국토해양부 산하 정부 기관. 부산지방국토관리청(釜山地方國土管理廳)은 관할 구역 내 국토 건설[국도, 국가 하천, 국가 산업 단지 등]을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9년 6월 내무부 산하 부산지방건설국으로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296-3번지에 개청하였다. 1962년 6월 건설부 산하로...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국토해양부 산하 정부 기관. 1981년 7월 12일 대통령이 한강 이외 주요 하천에 대한 홍수 예보 시설의 설치에 대한 검토 지시를 내렸으며, 1983년 12월 14일에는 건설부 장관이 낙동강 유역 홍수 통제 시스템의 설치에 대한 검토 지시를 내렸다. 이에 12월 29일 낙동강 홍수 예보 시설 계획을 수립하고, 1986년 2월 15일 홍수...
-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도로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유지 관리 사업소. 부산광역시 건설안전시험사업소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46조]에 의거, 시역 내 광역 시도의 포장도로 유지 관리, 터널 및 교량 등의 안전 점검, 건설 공사 품질 시험, 과적 차량 단속 등을 실시하여 시민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1동에 있는 농업 기술 개발 및 보급 기관. 부산광역시 농업기술센터는 농업인들에게 새로운 농업 기술을 신속히 보급하고 시민들에게 농업과 관련된 유용한 생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제20조]에 의해 설립되었다. 1957년 6월 부산시 농업교도소로 부산시 동래구 안락동에서 설치되었다. 1962년 4월 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상수도 공급 및 관리 기관.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22조]에 의거, 상수의 안정적 공급과 급수 서비스의 향상을 기하고 상수도 사업의 공공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1989년 9월 1일 부산직할시 상수도사업본부로 남천동에서 발족하였다. 1991년 4월 25일 산하에 수질검사소를 개소하였고,...
-
국회, 중앙 행정 기관과의 업무 협조를 위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서 운영 중인 부산광역시 산하의 사무소. 부산광역시 서울본부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24조]에 의거, 서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앙 행정 기관과의 긴밀한 업무 협조 체제 구축을 통한 시정 업무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1996년 12월 26일 부산광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설치되는 재난 구제 목적의 비상설 행정 기관. 부산광역시 재난안전대책본부는 부산광역시 지역에 자연 재난, 인적 재난, 기반 재난[기반 시설의 마비나 감염병 등] 등이 발생하거나 발생이 우려되는 경우, 또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설치되는 경우 비상설로 설치되는 기구이다. 「재난 및 안전 관리 기본법」[법률 제11346호, 2012. 2...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국토해양부 소속 정부 기관. 부산지방해양안전심판원(釜山地方海洋安全審判院)은 「해난 심판 법」[법률 제5153호, 1996. 8. 8]과 「해양 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법률 제10802호, 2011. 6. 15]에 의거, 해양 사고에 대한 조사 및 심판을 통하여 해양 사고의 원인을 밝힘으로써 해양 안전의 확보에 이바지하...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병무청 산하의 지방 병무청. 부산지방병무청은 「병역법」[법률 제10866호, 2011. 7. 21]에서 규정하는 병역 의무에 따른 병역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2년 10월 1일 국방부 직할 경상남도병무청으로 부산시 부산진구 부전동에서 개청하였다. 1967년 5월 18일 경상남도지방병무청과 부산시지방병무...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법무부 산하 정부 기관. 부산출입국·외국인청(釜山出入國·外國人廳)은 「출입국 관리 사무소 직제」[대통령령 제13,151호, 1990. 10. 29]와 「법무부와 그 소속 기관 직제」[대통령령 제24116호, 2012. 9. 21] 제48조에 의거, 출입국 관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게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9년 6월...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의 부산 지역 지원. 한국승강기안전공단 부산지원은 「승강기 시설 안전 관리법」[법률 제9384호, 2009. 1. 30] 제15조의 3에 의거, 승강기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고 승강기 안전 관리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12월 4일 지식경제부 설립 한국승강기관리원 부산...
경제 산업 기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통계청 소속 특별 지방 행정 기관. 동남지방통계청은 「통계청과 그 소속 기관 직제」[대통령령 제23209호, 2011. 10. 10]에 의거, 국가 통계 활동에 관한 사무를 지역에서 분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5년 8월 14일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경남통계사무소로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에 개소하였다. 1980년 7월 1일...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정부 기관.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중소·벤처 기업 지원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및 국민 경제 발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전신은 경상남도 요업시험장[1953년], 경상남도 공업시험소[1958년 1월], 부산·경남지구 공업연구소[1967년], 공업진흥청 부산지방공업시험소[1973년 1월 12일] 등을 거쳐 1...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기획재정부 산하 정부 기관. 부산지방국세청(釜山地方國稅廳)은 관할 지역에서 내국세[지방세를 제외한 국세 중 관세를 제외한 세금] 행정을 담당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0년 4월 1일 부산사세청으로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1가 50-4번지에 발족하였다. 1966년 3월 3일 재무부[현 기획재정부] 외청으로 국세청이 발족하여 부...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기획재정부 산하 정부 기관. 부산지방조달청(釜山地方調達廳)은 지방 정부, 지역 내 정부 기관 및 공공 기관이 행하는 물자의 구매·공급 및 관리에 관한 사무와 주요 시설 공사 계약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9년 4월 28일 임시외자총국 부산사무소로 부산시 중구 중앙동 28-8번지[현 부산광역시 중구]에 개소하...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을 동북아 물류 비즈니스 중심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된 지방 자치 단체 조합.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釜山鎭海經濟自由區域廳)은 외국인 투자 기업의 경영 환경과 외국인의 생활 여건을 개선함으로써 외국인 투자를 촉진하고 나아가 국가 경쟁력의 강화와 지역 간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2년...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있는 관세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정부 기관. 1876년 부산이 개항되고 강화도 조약에 의해 일본과의 무역이 개시되자, 조선 정부는 일본과의 무역이 불평등하다고 인식하고 한국 상인만이라도 관세를 수세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찰소가 있던 두모포[현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 동구청 자리]에 두모진해관을 개설하였다. 1. 개항~ 일제강점기 불평등 조약에 따른...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서민 금융 상담 지원 창구. 접근성이 좋은 부산광역시청에 서민 금융 지원 기관들이 상주하면서 서민들의 금융 애로 사항에 대하여 맞춤형 상담 및 지원을 위해 설립되었다. 2012년 5월 15일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연산동] 부산광역시청 2층 민원실 내 서민금융종합지원센터가 설립되었다. 부산광역시와 서민 금융 지원 기...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대규모 건설 공사 수행 기관. 부산광역시 건설본부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23조]에 의거, 부산광역시가 직접 시행하는 각종 대규모 건설 공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8년 7월 7일 부산직할시 종합건설부로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4가에서 발족하였다. 1995년 7월 29일...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3가에 있는 국무총리 직속의 정부 기관. 부산지방공정거래사무소(釜山地方公正去來事務所)는 「독점 규제 및 공정 거래에 관한 법률」[법률 제11406호, 2012. 3. 21]에 의거, 사업자의 시장 지배적 지위의 남용과 과도한 경제력의 집중을 방지하고, 부당한 공동 행위 및 불공정 거래 행위를 규제하여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을 촉진함으로써...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지역 본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법」[법률 제10339호, 2010. 6. 4]에 의거, 근로자가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하고 사업주가 재해 예방에 힘쓰게 하여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8년 12월 7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부산산업안전기술지도원으로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 1동에...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한국지방재정공제회의 지부. 「한국지방재정공제회법」[법률 제10994호, 2011. 8. 4]에 의거, 지방 자치 단체 등에 대한 효율적인 공제 제도를 확립·운영함으로써 지방 자치 단체의 건전한 재정 운영과 지방 재정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3년 5월 15일 「한국지방재정공제회법」이 제정되어 한국지방재정공제회 부산지부로 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부산지방국세청 산하의 정부 기관. 세무서는 기초 자치 단체 세무과에서 징수하는 지방세와 관세청 소속 세관에서 징수하는 관세 이외의 내국세를 징수하며, 관할 구역은 면적, 인구, 징세 총액에 의해 결정된다. 관할 지역에서 내국세 행정을 담당하는 지방 국세청장의 소관 사무를 시행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92년 2월 1일 동래세무서에서 분리하...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부산지방국세청 산하의 정부 기관. 세무서는 기초 자치 단체 세무과에서 징수하는 지방세와 관세청 소속 세관에서 징수하는 관세 이외의 내국세를 징수하며, 관할 구역은 면적, 인구, 징세 총액에 의해 결정된다. 관할 지역에서 내국세 행정을 담당하는 지방 국세청장의 소관 사무를 시행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51년 4월 2일 동래세무서로 부산광역...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부산지방국세청 산하 정부 기관. 세무서는 기초 자치 단체 세무과에서 징수하는 지방세와 관세청 소속 세관에서 징수하는 관세 이외의 내국세를 징수하며, 관할 구역은 면적, 인구, 징세 총액에 의해 결정된다. 관할 지역에서 내국세 행정을 담당하는 지방 국세청장의 소관 사무를 시행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49년 8월 부산진세무서로 부산광역시 부산...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부산지방국세청 산하 정부 기관. 세무서는 기초 자치 단체 세무과에서 징수하는 지방세와 관세청 소속 세관에서 징수하는 관세 이외의 내국세를 징수하며, 관할 구역은 면적, 인구, 징세 총액에 의해 결정된다. 관할 지역에서 내국세 행정을 담당하는 지방 국세청장의 소관 사무를 시행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68년 4월 2일 부산진세무서에서 분리하...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2가에 있는 부산지방국세청 산하 정부 기관. 세무서는 기초 자치 단체 세무과에서 징수하는 지방세와 관세청 소속 세관에서 징수하는 관세 이외의 내국세를 징수하며, 관할 구역은 면적, 인구, 징세 총액에 의해 결정된다. 관할 지역에서 내국세 행정을 담당하는 지방 국세청장의 소관 사무를 시행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79년 12월 영도세무서에서 분리하...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부산지방국세청 산하 정부 기관. 세무서는 기초 자치 단체 세무과에서 징수하는 지방세와 관세청 소속 세관에서 징수하는 관세 이외의 내국세를 징수하며, 관할 구역은 면적, 인구, 징세 총액에 의해 결정된다. 관할 지역에서 내국세 행정을 담당하는 지방 국세청장의 소관 사무를 시행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79년 4월 2일 부산진세무서에서 분리하...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1가에 있는 부산지방국세청 산하 정부 기관. 세무서는 기초 자치 단체 세무과에서 징수하는 지방세와 관세청 소속 세관에서 징수하는 관세 이외의 내국세를 징수하며, 관할 구역은 면적, 인구, 징세 총액에 의해 결정된다. 관할 지역에서 내국세 행정을 담당하는 지방 국세청장의 소관 사무를 시행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34년 5월 1일 부산부, 양산군,...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 관리 사업소. 국제수산물도매시장 관리사업소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48조의 3]에 의거, 수산물의 원활한 유통 및 공정 거래 질서 확립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1997년 4월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 조성 사업이 국가 지원 사업으로 확정되어, 부지를 확보하였고...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농산물 도매 시장 관리 사업소. 반여농산물도매시장 관리사업소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48조의 2]에 의거, 농산물의 원활한 유통 및 공정 거래 질서 확립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4년 7월 동부권 농산물 도매 시장 건설 계획이 수립되었고, 1995년 3월 개발 제한 구역 내...
-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농산물 도매 시장 관리 사업소. 엄궁농산물도매시장 관리사업소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48조]에 의거, 농산물의 원활한 유통 및 공정 거래 질서 확립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1993년 2월 9일 엄궁 농산물 도매 시장 준공에 앞서 부산직할시 사상구 엄궁동에서 개소하였다. 1993년...
문화 관광 기관
-
2010년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3동에 설립된 시민 교육 기관. 민주시민교육원은 부산의 양서협동조합 운동의 정신을 계승하여,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확산시키고, 사회적 분열과 장벽을 넘어선 시민 속의 상호 이해와 연대의 강화에 힘씀으로써, 민주적 생활양식의 확산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1억 1000여 원의 자발적 시민 기부금으로 2010년 3월 31일 (사)부산민주항...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낙동강 종합 관리 사업 본부. 부산광역시 낙동강관리본부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23조의 2]에 의거, 을숙도 생태 공원과 낙동강의 체계적·종합적 관리를 위하여 설치되었다. 2011년 1월 5일 부산광역시 낙동강사업본부로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설치되었고, 2012년 12월 2...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체육 시설 관리 사업소.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37조]에 의거, 시민의 체위 향상과 체육 진흥을 도모하고 각종 체육 시설의 효율적인 관리 운영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1954년 7월 부산시 공설운동장[구덕 운동장]으로 업무를 개시하였다. 1980년...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충렬사 관리 사업소. 부산광역시 충렬사관리사무소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36조]에 의거, 임진왜란 때 순절한 선열의 넋을 기리고, 호국 충절 사상과 향토 수호 정신 선양을 목적으로 설치된 충렬사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설치되었다. 1972년 충렬사가 부산직할시 유형 문화...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녹지 관리 사업소. 부산광역시 푸른도시가꾸기사업소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44조]에 의거, 도시 녹화, 조림, 사방 사업, 묘목의 생산 공급, 수목의 공해 및 병충해 예방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1992년 6월 18일 「부산직할시 녹지사업소 설치 조례」[조례 제2928호] 및 「...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화명 수목원 관리 사업소. 부산광역시 화명수목원관리사업소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50조]에 의거, 수목 유전자원의 보전과 자원화 촉진 및 수목 전시를 통한 생태 체험 교육장으로의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2005년 12월 30일 공립 수목원 기반 조성 공사[토목,...
생활 복지 기관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국가보훈처 산하 정부 기관. 「국가보훈처와 그 소속 기관 직제」[대통령령 제23948호, 2012. 7. 13] 제2조에 의거, 국가 유공자와 그 유족에 대한 보훈, 참전 군인과 제대 군인에 대한 지원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1년 7월 29일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군사원호청 부산지청으로 설립되었다. 1962년 5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봉사 단체. 적십자의 인도주의 이념에 따라 소외되고 고통 받는 이웃을 위해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이면 언제 어디서나 신속히 달려가 온정의 손길을 펼치며, 불의의 재난과 뜻밖의 재해를 당한 이재민과 저소득층 주민을 위한 구호 활동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8년 1월 1일 경상남도지사와 분리되어 대한적십자사 부산지사로 부산광...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대한적십자사 산하의 부산 지역 혈액원. 대한적십자사에서 혈액 사업은 1958년 2월 대한적십자사가 국립혈액원을 인수하여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을 개원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대통령령 제10285호에 의해 대한적십자사가 국가 혈액 사업을 위탁받고 대한혈액관리협회가 해체되면서 혈액 사업을 전폭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부산혈액원은 9번...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대한적십자사 산하의 혈액 검사 센터. 2004년 발표된 ‘혈액 안전 관리 개선 종합 대책’에 따라, 혈액 검사 센터 통합화 작업을 통해 헌혈 혈액 검사 체계의 표준화와 혈액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9년 2월 19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의 대한적십자사 부산혈액원 내에서 대한적십자사 남부혈액검사센터로 개소하여 오늘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식품과 의약품의 안전한 공급을 담당하는 정부 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청과 그 소속 기관 직제」[대통령령 제23860호, 2012. 6. 19] 제21조에 의거, 국민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양질의 식품·의약품 등의 공급을 보장함으로써 국민 보건 증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6년 4월 6일 부산지방식품의약품청으로 부산광역시 남...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공무원 연금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공공 기관. 설립 목적은 부산, 울산, 경상남도 지역에 주소를 둔 공무원이 퇴직, 사망 또는 공무상 질병, 부상, 폐질을 당한 경우에 적절한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공무원 및 그 유족의 생활 안정과 복리 향상을 위해 현지에서 공무원 연금 및 후생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1993년 2월 5일 후생 복지...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정부 설립 공기업의 지역 본부. 「국민 건강 보험법」[법률 제11141호, 2011. 12. 31] 제13조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정관」[정관 제101-35호, 2012. 12. 21] 제3조에 의거, 국민의 질병·부상에 대한 예방·진단·치료·재활과 출산·사망 및 건강 증진에 대하여 보험 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 보건 향상과 사회 보장 증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정부 설립 공기업의 지역 본부. 「국민 연금법」[법률 제11599호, 2012. 12. 18] 제24조에 의거, 국민의 노령, 장애 또는 사망에 대하여 연금 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의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6년 12월 「국민 연금법」이 공포되어 1987년 9월 국민연...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정부 출연 공기업. 「산업 재해 보상 보험법」[법률 제11569호, 2012. 12. 18] 제10조에 의거, 근로자의 업무상의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며, 재해 근로자의 재활 및 사회 복귀를 촉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5년 5월 1일 근로복지공단이 설립되면서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근로복지공단 부산지역본부로 설립되어 오늘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부산지방고용노동청의 고용 업무 지원 센터. 부산고용센터는 기술의 급격한 변화와 효율성 추구로 사람과 일자리의 연결이 노동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면서 체계적인 심층 서비스 및 직업 훈련과 연계 등을 통하여 고용을 촉진할 수 있는 ‘고용 지원 서비스 선진화 방안’ 시행과 더불어 고용 지원 서비스 선진화 시범...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부산광역시의 보건 및 환경 분야 관할 연구 기관.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보건·환경에 관한 검사 및 연구 업무의 합리적인 수행을 통하여 국민 보건 증진과 환경 보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보건 환경 연구원법」[제2조]와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제19조]에 의해 설립되었다. 1964년 2월 20일 부산직할시 위생시험소로...
-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환경 자원 관리 사업소. 부산광역시 환경자원공원사업소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39조]에 의거, 생활 쓰레기 등 일반폐기물 처리 시설의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1993년 2월 8일 부산직할시 사하구 하단동의 을숙도 매립지 내 부산직할시 청소시설관리사업소로 설치되...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에 있는 부산지방고용노동청 산하의 지역 지청. 부산동부고용노동지청은 고용 보험 및 취업 알선, 근로 감독 및 산업 안정, 지역 경제 발전 등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4년 10월 2일 명륜동에 노동청 부산동래지방사무소를 신설[대통령령 제7269호]·개소하였다. 1980년 12월 29일 명륜동 529-5번지로 이전하였고, 1981년 4월...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부산동부고용노동지청의 고용 업무 지원 센터. 부산동부고용센터는 구직자에게 실업 급여와 취업 알선,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취업 취약 계층 및 실직자에게 특화된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하여 원활한 취업을 도우며, 사업주에게 채용 지원 및 고용 안정 지원을 비롯한 정기적인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기업 경영에...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부산지방고용노동청 산하의 지역 지청. 부산북부고용노동지청은 고용 보험 및 취업 알선, 근로 감독 및 산업 안정, 지역 경제 발전 등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2년 1월 6일 구포동에 노동부 부산동래지방사무소 북부출장소로 개소[노동부령 제10호]하였다. 1987년 6월 25일 노동부 부산북부사무소로 승격하여 독립하였고, 1987...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부산북부고용노동지청의 고용 업무 지원 센터. 부산북부고용센터는 지역 내 조화로운 고용 시장 형성에 기여하기 위하여 기업에게 필요한 인재를 찾아 주고, 구직자에게는 직업 훈련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실업 급여 수급자에게는 구직 기간 동안 구직 급여 및 다양한 직업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의 고용 지원 업무를 담당...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정책 연구 기관.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설립 및 운영 지원 조례」[조례 제4260호, 2008. 4. 2]에 의거, 양성 평등 사회를 실현하고 건강한 가정을 구현하기 위한 여성·가족의 행복과 발전을 위해 관련 주체들과 여성·가족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실질적인 정책 개발과 체계적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2년 4월 30일 법인 설립...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산하의 지방 노동 행정 기관. 부산지방고용노동청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고용 안정, 직업 훈련, 고용 보험, 근로 조건의 보호, 노사 분쟁 예방·조정, 산업 재해의 예방, 근로자의 복지 증진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근로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균형 있는 국민 경제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에 있는 노동관계의 판정 및 조정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 기관. 노동위원회는 근로자 위원, 사용자 위원, 공익 위원 3자로 구성된 합의제 행정 기구로, 노사 간의 이익 및 권리 분쟁에 대한 조정과 판정을 주 업무로 하는 독립성을 지닌 준사법적 기관이다. 「노동위원회법」[법률 제10339호, 2010. 6. 4]에 의거, 노동관계에 있어서...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환경 시설 관리 운영 기관. 부산환경공단(釜山環境公團)은 부산 지역의 환경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함으로써 시민의 복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9년 10월 28일 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 설치 조례[제3564호]가 제정되고 1999년 11월 5일 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 정관이 제정되었다. 2000년 1월 1...
-
부산광역시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처리, 방류하는 시설 부산광역시에 있는 하수 처리장은 각 구역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최적의 상태로 처리, 방류함으로써 부산 지역 하천과 연안의 수질 개선을 도모하고 시민의 생활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한다. 하수는 생활에서 발생되는 배수로 오수와 우수로 구성된다. 오수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 하수,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배수, 지...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부산환경공단 산하의 하수 처리장. 부산환경공단 강변사업소[장림 하수 처리장]는 부산광역시 북구·사하구·사상구 등지의 생활 하수를 처리하여 공공 수역의 수질 보전과 공중위생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0년 11월 장림 하수 처리장[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 2동 659-2번지]을 개소하였다. 2000년 1월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신천리와 일광면 신평리에 있는 부산환경공단 산하의 하수 처리장. 부산환경공단 기장사업소의 기장 하수 처리장과 문오 하수 처리장은 부산광역시 기장군·해운대구 등지의 생활 하수를 처리하여 공공 수역의 수질 보전과 공중위생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2년 8월 부산환경공단 기장사업소 기장 하수 처리장[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신천리 2...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부산환경공단 산하의 하수 처리장. 부산환경공단 남부사업소[용호 하수 처리장]는 부산광역시 남구 등지의 생활 하수를 처리하여 공공 수역의 수질 보전과 공중위생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0년 5월 19일 용호 하수 처리장[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85-23번지]을 개소하였다. 1981년 12월 6일 정상 가동을 개시하였다. 19...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부산환경공단 산하의 하수 처리장. 부산환경공단 녹산사업소의 녹산 하수 처리장과 신호 하수 처리장은 주변 지역의 산업 단지와 주거 단지, 부산 신항만 등에서 배출되는 산업 폐수와 생활 하수를 처리하여 공공 수역의 수질을 보전하고 공중위생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6년 6월 5일 녹산 하수 처리장[부산광역시 강서구...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부산환경공단 산하의 소각 처리장. 부산환경공단 다대사업소는 부산광역시 사하구, 서구, 중구 등지의 가연성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소각 처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1년 1월 25일 소각장 건설 계획이 수립되었고, 1993년 8월 31일 소각장 건설을 착공하였다. 1995년 8월 30일 소각장이 준공되어 운영을 개시하였다. 20...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부산환경공단 산하의 소각 처리장. 부산환경공단 명지사업소는 부산광역시 동구를 비롯한 7개 구에서 배출되는 가연성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소각 처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5년 10월 환경부의 폐기물 처리 시설 설치 승인을 받았다. 1998년 2월 부지 조성을 완료하였고, 2003년 6월 종합 시운전을 개시하였다. 2003년 1...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에 있는 부산환경공단 산하의 하수 처리장. 부산환경공단 서부사업소는 부산 지역의 생활 하수를 처리하고, 생태 환경을 조성하여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등 공공 시설물의 효율적 관리 운영과 시민의 복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9년 3월 24일 하수 처리장 인가를 받아서 1999년 10월 6일에 착공하였다. 2003...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부산환경공단 산하의 하수 처리장. 부산환경공단 수영사업소[수영 하수 처리장]는 부산광역시 동래구·연제구·금정구 등지의 생활 하수를 처리하여 공공 수역의 수질 보전과 공중위생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7년 11월 16일 수영하수처리관리소로 개소하였다. 1988년 4월 30일 1단계 시설이 준공되었다[건설 기간: 1983....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있는 부산환경공단 산하의 분뇨 처리장. 부산환경공단 위생사업소는 부산광역시 전역의 분뇨를 종합 처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3년 4월 위생처리장관리소로 개소하였다. 1993년 6월 전량 해양 투기를 실시하였다. 1996년 7월 해양 투기를 위한 이송 관로를 설치하였다. 2000년 1월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발족 이후 부산광역시환경...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에 있는 부산환경공단 산하의 하수·소각 처리장 부산환경공단 정관사업소는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생활 쓰레기와 하수를 처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5년 8월 23일 하수 처리장을, 2006년 10월 30일 소각 처리장을 각각 착공하였다. 2008년 3월 31일 하수 처리장을, 2008년 9월 30일 소각 처리장을 각각 준공하였다. 2009...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부산환경공단 산하의 하수 처리장. 부산환경공단 중앙사업소는 부산광역시 중구·서구 등지에서 배출되는 생활 하수를 처리하여 공공 수역의 수질을 보전하고 공중위생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1년 6월 4일 중앙 하수 처리장 건설 공사를 착공하였다. 2005년 12월 31일에 준공되었다. 2006년 1월 1일 부산광역시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부산환경공단 산하의 소각·하수 처리장. 부산환경공단 해운대사업소는 부산광역시 6개 구·군 지역의 생활 쓰레기와 해운대구 일부의 하수를 종합 처리하는 처리장으로 소각 폐열을 이용하여 지역 난방열을 공급하고, 생태 환경을 조성하여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4년 6월 해운대 소각장 및 해운대 하수 처리...
-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봉화산 일대에 있는 쓰레기 매립장. 부산광역시에서 발생되는 생활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생곡 매립장(生谷埋立場)이 조성되었다. 1994년 10월 25일에 생곡 매립장 설치 승인 이후, 1994년 12월 14일에 조성 공사를 착공하였다. 1996년 4월 1일에 부산광역시 청소시설관리사업소[현 부산광역시 환경자원공원사업소]가 생...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쓰레기 매립장. 국가 지정 문화재 보호 구역[천연기념물 제179호]으로 매립 전 산화 분지[酸化糞池, 분뇨 처리장] 등으로 훼손된 지역을 쓰레기 매립 후에 자연 복원하는 조건으로 문화재관리국으로부터 허가를 받아 을숙도 매립장(乙淑島埋立場)이 조성되었다. 부산광역시에서 발생되는 생활 쓰레기를 을숙도 매립장에서 처리하고 있다. 1993년 2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사립 학교 교직원 연금 제도를 관리, 운영하는 공공 기관. 「사립 학교 교직원 연금법」[법률 제11215호, 2012. 1. 26] 제4조에 의거, 사립 학교 교원 및 사무 직원의 퇴직·사망 및 직무로 인한 질병·부상·장애에 대하여 적절한 급여 제도를 확립함으로써 교직원 및 그 유족의 경제적 생활 안정과 복리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마련...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익 의료 기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법률 제11439호, 2012. 5. 23] 제8조에 따라 ‘제5군 감염병[기생충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서 정기적인 조사를 통한 감시가 필요하여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감염병]’ 예방 사업을 지원하며, 비전염성 만성 질환과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민 보건 의료 시책상 필요로 하는...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노인 일자리 개발, 보급 등을 담당하는 공공 기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2005년 7월 개정된 「노인 복지법」[법률 제7585호, 2005. 7. 13]에 따라, 정부의 위탁을 받아 노인 일자리의 개발·보급과 교육 훈련 및 평가 등을 담당하는 중앙 노인 일자리 전담 기관으로 2005년 12월 설립되었다. 노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산하의 사회 복무 관련 교육 훈련 기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법」[법률 제11523호, 2012. 10. 22]에 의거, 보건 복지에 관한 교육·훈련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보건복지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자 등에게 전문성을 높이는 기회를 제공하고 보건 복지 분야의 발전을 도모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지사. 「장애인 고용 촉진 및 직업 재활법」[법률 제11240호, 2012. 1. 26] 제43조에 의거, 장애인이 직업 생활을 통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업주의 장애인 고용을 전문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3년 4월 1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부산사무소로 개소하였다. 1997년 9월 1일 직업...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에 있는 장애인 직업 교육 훈련 기관. 장애인을 기능인으로 육성해 장애인의 직업 재활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1996년 7월 8일 노동부로부터 공공 직업 훈련 시설의 설치 승인을 받아, 1998년 12월 12일 기공식을 가지고 1999년 3월 9일 착공하였다. 2000년 5월 31일 준공하여, 2002년 9월 27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환경 관련 준정부 기관의 지역 본부. 한국환경공단 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韓國環境公團 釜山蔚山慶南地域本部)는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를 주 관할구역으로 굴뚝관제센터의 설치 및 운영, 환경소음측정 및 층간소음이웃사이센터 운영, 토양오염도 및 유증기회수설비 검사, 올바로시스템 및 재활용 종합정보시스템 관리, 사업장폐기물 감량화제...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6가에 있는 해양 환경의 보전, 관리를 담당하는 공공 기관. 「해양환경관리법」[법률 제11597호, 2012. 12. 18] 제96조에 의거, 해양 환경의 보전·관리·개선을 위한 사업, 해양 오염 방제 사업, 해양 환경과 해양 오염 관련 기술 개발 및 교육 훈련을 위한 사업 등을 시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7년 11월 14일 한국해양오염방제...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지방 공무원 복지 기관. 대한지방행정공제회의 전신인 대한지방행정협회는 1952년 4월 임시 수도였던 부산에서 당시 내무부 지방국장과 경상남도 내무국장 등의 발기에 의해 창립되었다. 「대한지방행정공제회법」[법률 제11491호, 2012. 10. 22]에 의거, 지방 자치 단체의 공무원 또는 지방 행정 사무에 종사하거나 종사하였던...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경제산업본부 산하 행정 기관. 「소비자 기본법」[법률 제10678호, 2011. 5. 19] 제16조와 「소비자 기본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4076호, 2012. 8. 31] 제7조에 의거, 소비자의 불만이나 피해를 신속·공정하게 처리하기 위한 소비자 피해 구제 기구로 설립되었다. 2002년 7월 30일 부산광역시 소비생활센터...
정보 교통 기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국토해양부 산하 정부 기관. 「국토해양부와 그 소속 기관 직제」[대통령령 제23930호, 2012. 7. 4] 제31조의 2에 의거, 공항 관리 및 민간 항공기 관제와 안전 운항 관리 등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1년 10월 2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수영 비행장에 부산지방항공관리국[부산(수영)·제주·광주 비행장 관할]으로 개청하였...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해양수산부 산하 정부 기관. 부산지방해양수산청(釜山地方海洋水産廳)은 부산광역시 지역 내 제1종 항만의 운영·관리 및 해양 환경 보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6년 1월 1일 부산항무청으로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1116-1번지에 개청하였다. 1955년 12월 12일 상공부의 외청으로 해무청[1955년 2월 신설] 신설로 부산항무...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경찰청 산하 위탁 집행형 준정부 기관. 「도로 교통법」[법률 제11402호, 2012. 3. 21] 제120조에 의거, 도로에서의 교통안전에 관한 교육·홍보·연구·기술 개발과 운전면허 시험의 관리 등을 통하여 교통 질서를 확립하고 교통의 안전성을 높임으로써 도로에서 일어나는 교통상의 위험과 장해를 예방하는 데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국토해양부 설립 준정부 기관. 「한국교통안전공단법」[법률 제9388호, 2009. 1. 30]에 의거,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교통안전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의 보호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5년 10월 2일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한국교통안전공단 부산직할시경상남도지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도시 철도를 중심으로 교통 시설 건설과 유지 관리를 수행하는 공사. 부산교통공사는 부산 교통권 역내에 대중교통 시설의 건설을 추진하고 운영의 합리화를 기함으로써, 도시 교통의 발전과 시민 생활의 편익 및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설립 근거는 부산교통공사 설치 조례[부산광역시 조례 제4024호]이다. 1981년...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 운수 종사자 교육 기관. 「부산광역시 교통 문화 연수원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조례 제3728호, 2012. 7. 11)에 의거, 교통 문화 발전과 운수 종사자의 자질 향상을 위한 교육 및 교통질서와 사고 예방에 관한 교육과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2년 7월 교통부로부터 연수원 설립 지침이 내려와, 1984년...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교통 허브 센터.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51조]에 의거, 효율적인 교통 운영 체계 구축과 다양한 교통 정보 제공으로 대중교통 활성화 및 저탄소 녹색 교통 정책 추진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2010년 7월 6일 조례와 직제 규칙이 제정되어 부산광역시...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 자동차 등록 및 관리 사무 담당 사업소. 부산광역시 차량등록사업소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31조]에 의거, 자동차·건설 기계 등록 및 건설 기계 검사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1979년 5월 1일 조례 제1336호에 의거, 차량등록사업소가 발족하였다. 1984년 11월...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부산 남항 관리 사업소. 부산광역시 항만관리사업소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47조]에 의거, 남항의 종합 개발 계획과 시설의 합리적 유지·관리를 위하여 설치되었다. 1974년 12월 21일 「항만법 시행령」 및 「개항 질서법」의 개정으로 부산 남항이 부산항에서 분리[2종 지정항,...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06년 1월 10일 부산광역시 중구 창선동 1가 부산우편국 내에 부산우편국 감독과[경상남북도와 전라...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부산 지역의 우편물을 최첨단 기계 및 자동화 시스템에 의하여 분류·운반하는 현대적 우편 물류 센터로, 전국에 있는 25개 우편 집중국 중 하나이다. 지역 물류 센터로서 각 우체국에서 분산하여 수작업으로 처리하던 우편물을 한 곳에서 자동으로 구분·처리하여 지역 주민에게 보다 나은 우편 서비스를 제공...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10년 9월 1일 기장우편소로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에 개소하였다. 1979년 7월 1...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6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11911호에 따라 남부산우체국으로 남천동에 개국하였다. 1992년 11월...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04년 3월 16일 동래우체국우편수취소로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현 부산수안동우체국 청사]에 개소하였...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7년 12월 30일 부산가야동우체국으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개국[6급국]하였다. 1979년 1...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0년 9월 29일 부산강서우체국으로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에 개국하였다. 2001년 3월 2일 부...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9년 1월 30일 부산금정우체국으로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개국하였다. 1994년 6월 25일 본...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7년 12월 1일 부산체신청 산하 북부산우체국으로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개국하였다. 1987년...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8년 11월 30일 부산괴정동우체국[6급국]으로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개국하였다. 1980년 1...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5년 3월 27일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청사 건물을 준공하여 2005년 5월 23일 부산연제우체...
-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교동 2가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07년 2월 1일 절영도우편취급소로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교동 1가[현 기업은행 영도지점 부근]에...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3가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895년 12월 7일 동래부 부산포[현 창선동 2가 광복로 부근]에 전신부[전달부] 22명, 배달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0년 7월 1일 북부산우체국으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개국하였다. 1979년 10월 1일 가...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7월 25일 북부산우체국으로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개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국내외 우편...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에 있는 우정사업본부 산하의 정부 기관.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17년 3월 21일 해운대우편소로 개소하였다. 1963년 1월 30일 해운대우체국으로 변경하였고, 9...
국제 교류 기관
-
부산 지역에 있는 영사관, 총영사관, 사무소 등의 외국 공관. 외국 공관은 우리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나, 우리나라가 가입한 국제단체 등이 우리나라에서 외교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부가 설치하여 임대하는 건물을 의미한다. 주로 대사관, 영사관 등이 사용하는 건축물이다. 2013년 현재, 우리나라에는 총 190개의 외국 공관이 있으며, 부산에는 6개의 공...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일본국 총영사가 주재하는 지역 외국 공관. 재부산일본국총영사관은 부산광역시에 있는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등 4개국 외국 공관 중 하나이다. 한국에 있는 일본의 재외 공관은 재부산일본국총영사관 외에 서울의 주한일본대사관, 제주의 주제주일본국총영사관 등이 있다. 1966년 1월 16일 영사 업무를 개시하였고, 3월 17일 동광...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에 있는 러시아의 총영사가 주재하는 지역 외국 공관. 주부산러시아총영사관은 부산광역시에 있는 미국, 러시아, 일본, 중국 등 4개 외국 공관 중 하나로, 러시아연방의 재외 공관이다. 한국에 있는 러시아연방의 재외 공관은 부산총영사관 외에 서울의 주한러시아대사관이 있다. 1992년 3월 18일 체결된 대한민국과 러시아연방 간의 영사 협...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미합중국의 영사가 주재하는 지역 외국 공관. 주부산미국영사관은 부산광역시에 있는 중국, 러시아, 일본, 미국 등 4개국 외국 공관 중 하나이다. 한국에 있는 미합중국의 재외 공관은 주부산미국영사관 외에 서울의 주한미국대사관이 있다. 주부산미국영사관은 1983년 11월 한미 정상 회담에서 발표된 공동 성명에 따라 미합...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총영사가 주재하는 지역 외국 공관. 중화인민공화국 주부산총영사관은 부산광역시에 있는 미국, 러시아, 일본, 중국 등 4개국 외국 공관 중 하나이다. 한국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공관은 주부산총영사관 외에 서울의 주한중화인민공화국대사관, 주광주총영사관[2007년 8월 개관], 주제주총영사관[2012년 7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