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593 |
---|---|
한자 | 民主平和統一諮問會議釜山地域會議 |
영어공식명칭 | Busan Provincial Assembly, The National Unification Advisory Council |
이칭/별칭 | 민주평통 부산지역회의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955[양정동 273-2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성훈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소속 단체.
[설립 목적]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부산지역회의는 「대한민국 헌법」 제92조와 「민주 평화 통일 자문 회의법」[법률 제10309호, 2010. 5. 20]에 의거, 조국의 민주적 평화 통일을 위한 정책의 수립 및 추진에 관하여 대통령에게 건의하고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81년 3월 14일 「평화 통일 정책 자문 회의법」이 공포되고, 6월 5일 제1기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부산지역회의로 설립되었다. 1987년 10월 29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부산지역회의로 변경되었고, 2006년 4월 17일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의 시청 청사 24층에 최초로 사무실을 개소하였다. 2009년 7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의 상수도 종합 청사 6층으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평화 통일 논의의 선도적인 역할 수행[통일 문제 강연회, 세미나, 토론회, 남북 관계 현안 및 통일 환경 변화에 관한 정세 보고회 등 개최], 지역 주민의 통일에 대한 여론 수렴[읍·면·동, 기업체, 사회단체 순회 통일 간담회 개최], 지역 사회의 통일 기반 조성[지역 협의회 상호간 자매결연 및 교류 행사와 통일 관련 체육·문화 행사 등의 특화 사업 실시, 소외된 사회 계층 돕기와 청소년 선도 등의 봉사 활동 전개], 통일 후계 세대 육성을 위한 청소년 통일 교육 전개[대학생 대상 토론회·간담회 개최, 중·고등학생 대상 학교 순회 통일 교실 운영, 평화 통일 염원 글짓기, 웅변, 그림 그리기 등 대회 개최]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부의장, 간사, 행정실장 등과 16개 구·군에 지역 협의회가 있으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부산지역회의에 소속된 제15기[2011년 7월 1일~2013년 6월 30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은 총 991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