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372
한자 釜山鎭海經濟自由區域廳
영어공식명칭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이칭/별칭 부산진해경자청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산단232로 38-26[송정동 1709-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이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 기관
전화 051-979-5000|055-320-5000
홈페이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http://www.bjfez.go.kr)
설립 시기/일시 2004년 3월 30일연표보기 -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12월 30일 - 「경제 자유 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공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9월 23일 - 부산 진해 경제 자유 구역 지정 신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10월 30일 - 부산 진해 경제 자유 구역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8월 14일 - 화전 지구 착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8월 3일 - 남양 지구 착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9월 7일 - 서부산 유통 지구 착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7월 8일 - 문화 지구 착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8월 4일 - 남문 지구 착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2월 31일 - 미음 지구 착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0월 30일 - 남양 지구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2월 31일 - 화전 지구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2월 30일 - 서부산 유통 지구 1단계 준공
최초 설립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산단 232로 38-26[송정동 1709-2]
현 소재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산단 232로 38-26[송정동 1709-2]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 발전을 위해 설립한 지방 자치 단체.

[설립 목적]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釜山鎭海經濟自由區域廳)은 외국인 투자 기업의 경영 환경과 외국인의 생활 여건을 개선함으로써 외국인 투자를 촉진하고 나아가 국가 경쟁력의 강화와 지역 간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2002년 12월 30일 「경제 자유 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었다. 2003년 9월 23일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는 재정경제부에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 지정을 신청하였다. 2003년 10월 30일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을 지정받았다. 2004년 3월 30일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1709-2번지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개청하였다.

2006년 8월 14일 화전 지구 공사, 2007년 8월 3일 남양 지구 공사, 2007년 9월 7일 서부산 유통 지구 공사, 2008년 7월 8일 문화 지구 공사, 2008년 8월 4일 남문 지구 공사, 2008년 12월 31일 미음 지구 공사를 착공하였다. 2009년 10월 30일 남양 지구 개발 사업, 2010년 12월 31일 화전 지구 사업, 2011년 12월 30일 서부산 유통 지구 1단계가 준공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의 주요 사업은 다섯 가지로 나뉜다. 첫째,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에 최적의 기업 정주 환경을 조성한다. 국제 의료 복합 단지, 첨단 연구 센터, 외국인 주거 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둘째,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을 동북아 물류 신거점으로 조성한다. 신항만 및 북측 배후 단지[부산광역시 강서구,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일원], 서부산 유통 단지[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일원], 신항만 남측 배후 단지[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동 일원]를 조성하고 물류 경쟁력 제고 기반 시설을 확충하고 있다.

셋째,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을 미래 첨단 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고 있다. 신호 지방 산업 단지[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 일원]를 준공하였으며 미음 지구 첨단 산업 단지[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 일원], 부산 과학 지방 산업 단지[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일원], 외국인 투자 지역 첨단 산업 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넷째,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에 자연 친화적 관광 레저 단지를 조성한다. 웅동 지구 복합 관광 레저 단지[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수도동, 제덕동 일원], 남산 지구 여가 휴양지[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제덕동 일원]를 조성하고 해양 관광 인프라, 환경 친화적 경관을 조성하고 있다. 다섯째, 지식 기반형 업무 도시를 조성한다. 송정 지구 국제 업무 도시[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일원], 명지 국제 신도시[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가주 지구 국제 해사 업무 도시[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가주동 일원]를 건설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은 청장 아래 행정개발본부와 투자유치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개발본부에는 기획총무부[기획예산과, 총무과], 민원행정부[토지행정과, 건축과, 기업환경과], 개발관리부[개발행정과, 개발1과·2과]가 있으며, 투자유치본부에는 유치지원실[유치기획팀, 항만물류팀, 서울투자유치단], 유치1실[첨단산업1팀, 명지유치팀, 서비스산업팀], 유치2실[첨단산업2팀, 웅동유치팀, 문화교육팀]이 있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의 직원은 행정개발본부 110명, 투자유치본부 42명이다.

[의의와 평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은 개청 이후 지금까지 50건의 본계약 체결과 16건의 MOU 체결 등 66건에 걸쳐 총 사업비 기준 54억 8000달러의 투자 유치를 이끌어 내는 등 괄목할 활동을 해 왔다. 앞으로도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은 외국인 투자 유치를 통하여 물류·유통, 첨단 제조업 및 국제 업무 단지를 조성하여 세계에서 가장 기업하기 좋은 경제 자유 구역을 건설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