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578 |
---|---|
한자 | 釜山環境資源公園 |
영어의미역 | Busan Environmental Resources Park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한적길 86[생곡동 367-2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상목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봉화산 일대에 있는 쓰레기 매립장.
[건립 경위]
부산광역시에서 발생되는 생활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생곡 매립장(生谷埋立場)이 조성되었다. 1994년 10월 25일에 생곡 매립장 설치 승인 이후, 1994년 12월 14일에 조성 공사를 착공하였다.
[변천]
1996년 4월 1일에 부산광역시 청소시설관리사업소[현 부산광역시 환경자원공원사업소]가 생곡 매립장으로 이전하였다. 1996년 4월부터 1단계 매립이 진행되었다. 2002년 8월 2일에 국제 환경 경영 체제[ISO 14001] 인증을 받았다. 2005년 7월 31일에 1단계 매립 완료 이후, 2005년 8월 1일에 생곡 매립장 2단계 매립이 실시되었다. 2007년 2월에 국제 환경 경영 체제[ISO 14001] 사후 관리 심사를 통과하였다. 2007년에 부산 환경 자원 공원(釜山環境資源公園)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09년 11월 10일에 환경 자원 공원 홍보관이 개관하였다. 2010년 7월 31일에 2단계 매립이 완료되었다. 2010년 8월 1일에 차기 매립이 실시되었다.
[구성]
매립장과 침출수 처리 시설로 구분되며, 폐기물 반입, 위생 매립, 침출수 처리, 폐기물 자원화, 매립지 환경 관리 등의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매립장 전체 면적은 75만 8000㎡이고, 2012년 실제 매립되어 있는 면적은 32만 6000㎡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매립장은 향후 2021년 12월까지 매립이 진행될 예정이다. 매립 방식은 1일 셀 방식[cell method, 폐기물을 비탈지게 셀 모양으로 쌓고 표면에 복토를 실시]에 의한 준호기성 위생 매립이다. 쓰레기 층[2.2m]에 매일 복토[30㎝], 중간 복토[50㎝], 최종 복토[100㎝]로 매립하고 있다.
침출수 처리 시설은 제1처리장과 제2처리장이 있다. 제1처리장의 처리 용량은 1,200㎥/일, 처리 공법은 ‘SEIL-BIO + 응집 침전’이다. 이는 1차로 SEIL-BC 장치[고정상 바실러스종 혼합 균체 부착 장치], 2차로 생물학적 처리, 3차로 화학 응집 처리하는 고도 처리 공법이다. 제2처리장의 처리 용량은 800㎥/일로 처리 공법은 ‘전해부상(電解浮上) + MLE(Modified Ludzack-Ettinger)이다. 이는 1차로 전기 분해 및 생물학적 처리, 2차로 전기 분해하는 고도 처리 공법이다. 이 과정에서 폐기물 자원화 사업을 진행하는데,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사업[시설 용량 200톤/일], 매립 가스[LFG] 처리[발전] 사업[발전 용량 6㎿/h], 재활용품 자원화 사업[처리 용량 200톤/일], 폐비닐 자원화 사업[처리량 60톤/일, 생산량 28kl/일] 등이 있다.
[현황]
2010년에 반입된 폐기물은 일평균 767톤으로 총 27만 9895톤이 반입되었다. 2013년 현재 부산광역시 환경자원공원사업소에서 부산 환경 자원 공원을 관리하고 있다. 매립지 환경 관리를 위해 매립장 및 주변 마을을 방역하고 있다. 매립장 악취 저감 설비로 탈취기 8대를 가동하고 있으며, 탈취 차량을 하루 1~2회 운영한다. 또한 분기 1회 이상 주변 지역의 환경 영향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매립장 및 진입로 환경 정비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2009년 11월 16일에 부산광역시와 부산이앤이[포스코와 태영건설이 공동 출자]가 ‘부산광역시 생활 폐기물 연료화 및 발전 시설 민간 투자 사업’ 실시 협약을 체결하였다[민간 제안사업, BTO]). 가연성 생활 쓰레기를 연료로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2010년 10월 7일에 기공식을 가졌으며, 2013년 3월 준공할 예정이다.
매립 사업의 상세 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매립지의 면적은 32만 1000㎡이고 매립 용량은 1,112만 7000㎡이며 매립 면적은 25만 7000㎡이다. 매립 기간은 1994년 12월 14일부터 2005년 7월 31일까지 10년 7개월이다. 매립 방식은 1일 Cell 방식이다. 총공사비는 1197억 원[공사비 1억 730만 원, 보상 49억 원, 감리 및 부대비 75억 원]이다. 2단계 매립지의 면적은 6만 9000㎡이고, 매립 용량은 499만 3000㎡이며, 매립 면적은 6만 9000㎡이다. 매립 기간은 2005년 8월 1일부터 2010년 7월 31일까지 5년이다. 총공사비는 403억 원[공사비 375억 원, 감리 및 부대비 28억 원]이다.
차기[2단계 이후] 매립지의 면적은 36만 8000㎡이고, 매립 용량은 837만 4000㎡이며 매립 면적은 18만 2000㎡이다. 매립 기간은 2010년 8월부터 2021년 12월까지로 11년 5개월로 예정되어 있다. 총공사비는 2052억 원[공사비 1816억 원, 보상비 120억 원, 감리 및 부대비 28억 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