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579
한자 乙淑島埋立場
영어의미역 Ulsuk Island Reclaimed Land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12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상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쓰레기 매립장
면적 489,394㎡
전화 051-309-7171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2월 8일 - 부산광역시 청소시설관리사업소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6월 - 1차 매립 시작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10월 31일 - 1차 매립 종료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11월 - 2차 매립 시작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12월 31일 - 2차 매립 종료
최초 설립지 을숙도 매립장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1211
현 소재지 을숙도 매립장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121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쓰레기 매립장.

[건립 경위]

국가 지정 문화재 보호 구역[천연기념물 제179호]으로 매립 전 산화 분지[酸化糞池, 분뇨 처리장] 등으로 훼손된 지역을 쓰레기 매립 후에 자연 복원하는 조건으로 문화재관리국으로부터 허가를 받아 을숙도 매립장(乙淑島埋立場)이 조성되었다. 부산광역시에서 발생되는 생활 쓰레기를 을숙도 매립장에서 처리하고 있다.

[변천]

1993년 2월 8일에 을숙도 매립장 내에 부산광역시 청소시설관리사업소가 설치되었다. 1993년 6월부터 1995년 10월까지 1차 매립장에 부산 지역 생활 쓰레기를 매립하였다. 1995년 11월부터 2차 매립장에서 매립을 시작하여 1996년 3월까지 생활 쓰레기를 매립하였다. 1996년 4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김해 국제공항 활주로 공사 부산물과 화명 매립장에서 분리한 쓰레기를 매립하였다.

[구성]

총면적은 48만 9394㎡이며, 1차 매립장은 29만 7654㎡, 2차 매립장은 19만 1740㎡이다. 총매립량은 407만 ㎥로 1차 매립장이 280만 ㎥, 2차 매립장이 127만 ㎥이다. 매립 방식은 혐기성 개량형 위생 매립[嫌氣性改良型衛生埋立, 샌드위치 복토를 한 구조에 침출수 배제 기능을 추가]이다. 바닥을 소일 시멘트[Soil-Cement, 흙에 시멘트를 첨가한 안정 처리토]로 연약 지반을 개량한 후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1.5㎜×1겹]을 시공하고, 국내 최초로 압축 매립 방식을 도입·운영하였다.

[현황]

생태계 복원 사업이 진행되어 2005년 12월에 을숙도 철새 공원이 조성되었다. 2007년 6월에 낙동강 하구 에코 센터가 건립되어 을숙도 철새 공원을 보전·관리하고 생태에 대한 전시·교육·체험 학습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2013년 현재 부산광역시 환경자원공원사업소의 운영 담당 부서에서 을숙도 쓰레기 매립장 사후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광역시 낙동강 하구 에코 센터(http://wetland.busan.go.kr)
  • 부산광역시 환경자원공원사업소(http://landfill.busan.go.kr/00_main)
  • 한국환경산업기술원(http://www.keiti.re.kr/action.do)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