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584
한자 下水處理場
영어의미역 Sewage Disposal Plan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상목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처리, 방류하는 시설

[개설]

부산광역시에 있는 하수 처리장은 각 구역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최적의 상태로 처리, 방류함으로써 부산 지역 하천과 연안의 수질 개선을 도모하고 시민의 생활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한다. 하수는 생활에서 발생되는 배수로 오수와 우수로 구성된다. 오수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 하수, 공장이나 사업장에서의 배수, 지하수 등이 집합된 것이며 우수란 빗물이 도로 등의 배수로를 통하여 모인 것이다. 하수의 주요 원천은 가정 폐수[화장실, 부엌 싱크대, 욕조 등], 도로 배수[빗물, 지하수 등 길거리의 배수 등], 학교 폐수[배수로, 화장실, 하수구 등], 공장 폐수 등이다.

하수 처리장에서는 질소와 인을 제거하는 고도 처리 공법을 적용하고 방류 수질 개선을 위한 첨단 하수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모든 하수 처리장의 방류 수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질 원격 감시 체계를 구축, 운영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내 하수 처리장은 수영, 강변, 남부, 해운대, 녹산, 신호, 서부, 중앙, 영도, 동부, 기장, 정관 하수 처리장 등 12개가 있으며 총 처리 용량은 최대 192만 3,000㎥/일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산환경공단 수영사업소(수영 하수 처리장)]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위치하고 있다. 1987년 11월 16일 수영하수처리관리소로 개소하였다. 1988년 4월 30일 1단계 시설이 준공되었다[건설 기간: 1983년 5월~1988년 4월]. 1998년 3월 31일 2단계 시설이 준공되었다[건설 기간: 1992년 12월~1998년 3월]. 2012년 12월 31일 부지 집약화 시설을 준공하였다.

하수 처리 용량은 45만 2,000㎥/일[1단계 12만 2,000㎥/일, 2단계 23만㎥/일, 부지 집약화 10만㎥/일]이다. 처리 방법은 표준 활성 슬러지법[수 처리/1단계], MLE 공법[Modified Ludjack ettinger, 순환식 질산화 탈질법/2단계], A2O+MBR[Anaerobic Anoxic Aerobic+Membrane Bio Reactor, 혐기조·무산소조·호기조+막분리 활성 슬러지/부지 집약화], 중온 혐기성 소화법[슬러지 처리]이다. 부지 면적은 15만 5820㎡으로 1단계 시설 5만 2,752㎡, 2단계 시설 8만 5187㎡, 부지 집약화 1만 7881㎡이다. 건물은 22개동 연면적 2만 7156㎡이며 1단계 5개동 4,209㎡, 2단계 12개동 1만 7549㎡, 부지 집약화 5개동 5,398㎡이다.

부산광역시 동래구·연제구·금정구 전역과 부산진구·해운대구·수영구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 하수를 처리한다. 슬러지[찌꺼기] 처리 시설을 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병합 처리한다.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활용한 열 병합 발전 설비[750㎾]를 운영한다.

[부산환경공단 강변사업소[강변 하수 처리장]]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위치하고 있다. 1990년 11월 장림 하수 처리장으로 개소하였다. 2000년 10월 장림 하수 처리장 2단계 시설을 준공하였다. 2009년 10월 고도 처리 시설 개선 공사를 완공하였다. 부산광역시 북구·사하구·사상구 전역, 서구 일부 지역의 하수를 처리한다.

2013년 현재, 처리 용량은 45만㎥/일[1단계-27만 1000㎥, 2단계-17만 9000㎥]이며 처리 공법은 A2O[Anaerobic+Anoxic+Aerobic, 혐기조+무산소조+호기조, 고도 처리 공정]+GFF[Gravity Flow Fiber, 중력 여과 장치, 3차 처리 공정]이다. 처리 구역은 47.34㎢[북구·사하구·사상구 전역, 서구 일부]이다. 차집 관로는 총연장 167.483㎞이며 차집거 278개소, 맨홀 2,643개가 있다. 펌프장은 중계 펌프장 11개소, 맨홀 펌프장 7개소가 있다.

[부산환경공단 남부사업소[남부 하수 처리장]]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위치하고 있다. 1980년 5월 19일 용호 하수 처리장으로 개소하였다. 1981년 12월 6일 정상 가동을 개시하였다. 1996년 6월 5일 신규 처리장 준공 및 정상 가동을 개시하였다. 부산광역시 남구 전역, 부산진구·수영구·동구 일부 지역의 하수를 처리한다. 2013년 현재, 처리 용량은 3만 4000㎥/일이며 처리 구역은 38.91㎢이다. 부지 면적은 12만 6623㎡로 12개동의 건물[1만 8493㎡]로 이루어져 있다. 처리 공법은 표준 활성 슬러지법[수 처리], 중온 혐기성 소화법[슬러지 처리]을 사용하고 있다.

[부산환경공단 해운대사업소[해운대 하수 처리장]]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위치하고 있다. 1994년 6월 소각장 및 하수 처리장이 착공되었다. 2005년 1월 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이 인수하였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중동 일부[청사포, 달맞이] 지역 하수를 처리한다. 2013년 현재, 처리 용량은 6만 5,000㎥/일이며 부지 면적은 3만 288㎡, 차집 관로는 33㎞이다. 처리 공법은 표준 활성 슬러지법+급속 모래 여과+자외선 소독 방법이다.

[부산환경공단 녹산사업소[녹산 하수 처리장]]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위치하고 있다. 1996년 6월 5일 녹산 하수 처리장 건설 공사를 착공하여 2001년 8월 18일 준공되었다.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명지 녹산 국가 산업 단지, 부산 과학 일반 산업 단지, 명지 주거 단지, 부산 신항만,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일원의 하수를 처리한다. 2013년 현재, 녹산 하수 처리장의 처리 용량은 16만 ㎥/일이다. 부지 면적은 14만 1,356㎡이고, 15개동의 건물[9,219㎡]로 되어 있다. 처리 공법은 활성 슬러지 변법[MLE]+화학 처리이다.

[부산환경공단 녹산사업소[신호 하수 처리장]]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에 위치하고 있다. 1997년 7월 19일 신호 하수 처리장 건설 공사를 착공하여 2001년 10월 25일 준공되었다. 녹산 하수 처리장과 연계하여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명지 녹산 국가 산업 단지, 부산 과학 일반 산업 단지, 명지 주거 단지의 산업 폐수와 생활 하수를 처리하며 신호 일반 산업 단지, 화전 일반 산업 단지의 산업 폐수와 생활 하수를 처리한다. 2013년 현재, 처리 용량은 2만 4000㎥/일이다. 부지 면적은 2만 541㎡이고 5개동의 건물[2,078㎡]로 이루어져 있다. 처리 공법은 순 산소 포기법, 약품 침전이다.

[부산환경공단 서부사업소[서부 하수 처리장]]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에 위치하고 있다. 1999년 3월 24일 하수 처리장 인가를 받아서 1999년 10월 6일에 착공하였다. 2003년 5월 1일 강동 하수 처리장이 준공 운영되었으며 200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현 부산환경공단]이 인수하였다.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대저동 일원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처리한다. 하수 처리 용량은 1만 5000㎥/일이며 부지 면적은 2만 6220㎡이다. 처리 방법은 SBR 공법[SBR: Sequential Batch Reactor, 연속 회분식 활성 슬러지법]이다.

[영도환경사업소[영도 하수 처리장]]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위치하고 있다. 푸른영도에서 관리한다. 2001년 4월 30일 실시 협약을 체결하고 2001년 7월 19일 푸른영도 법인이 설립되었다. 2001년 11월 착공하여 2005년 12월 31일 준공하였다. 2006년 1월 1일 운영을 개시하였다. 부산광역시 영도구 전역의 하수를 처리한다. 하수 처리 용량은 9만 5000㎥/일이며 부지 면적은 3만 6254㎡이다. 처리 공법은 KSBNRⓜ 공법[Kist Shinwon Biological Nutrient Removal, 2단 교호 간헐 포기식 생물학적 질소·인 고도 처리 공법]이다.

[부산환경공단 중앙사업소[중앙 하수 처리장]]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위치하고 있다. 2001년 6월 4일 중앙 하수 처리장 건설 공사를 착공하여 2005년 12월 31일에 준공하였다. 부산광역시 중구·서구 전역과 동구 일부 지역[8.58㎢]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처리, 방류한다. 하수 처리장의 처리 용량은 12만㎥/일이며 처리 공법은 BIOFOR[고정상 생물막] 공법이다. 부지 면적은 본 처리장 2만 9316㎡, 중계 펌프장 2,279㎡이다. 본 처리장의 건물은 6개동으로 연면적 8,502.82㎡이며 중계 펌프장의 건물은 2개동으로 연면적 531.36㎡이다.

[부산환경공단 기장사업소[기장 하수 처리장]]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 위치하고 있다. 2002년 8월 부산환경공단 기장사업소 기장 하수 처리장 건설 공사를 착공하였고, 2006년 3월부터 종합 시운전을 시작하였다. 2006년 7월 부산환경공단 기장사업소 문오성 하수 처리장 건설 공사를 착공하였다. 2006년 12월 부산환경공단 기장사업소 기장 하수 처리장이 준공되었다. 2011년 12월 31일 부산환경공단 기장사업소 문오성 하수 처리장의 종합 시운전을 시작하였고 2012년 1월 31일 준공되었다. 부산환경공단 기장사업소[기장 하수 처리장]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일광면, 해운대구 송정 일원[7.97㎢]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처리한다. 부산환경공단 기장사업소 문오성 하수 처리장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신평·칠암·문중·문동리의 하수를 처리한다.

2013년 현재 부산환경공단 기장사업소 기장 하수 처리장의 처리 용량은 2만 7000㎥/일이며 부지 면적은 3만 1,601㎡이다[본 처리장 3만 359㎡, 중계 펌프장 1개동 272㎡]. 처리 공법은 표준 활성 슬러지 변법[P/L-Ⅱ]이며 차집 관거는 47.5㎞이다. 부산환경공단 기장사업소 문오성 하수 처리장의 처리 용량은 1,100㎥/일이며 처리 구역은 0.33㎢이다. 처리 공법은 ASA 공법[Advanced Step Aeration, 무내부 순환 2단 질소, 인 제거 기술]이다. 부지 면적은 1만 307㎡이다.

[동부환경사업소[동부 하수 처리장]]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부환경에서 관리한다. 2002년 12월 26일 민간 투자 사업으로 착공했으며, 2006년 10월 27일 준공하여 가동 중에 있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일원에서 발생하는 생활 하수, 공장 폐수를 처리하여 방류하고 처리수 중 일부를 석대천(石坮川) 유지 관리 용수로 공급한다. 2013년 현재 처리 용량은 13만 5000㎥/일이며 부지 면적은 2만 8900㎡이다. 중계 펌프장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우동 2개소가 있다. 차집 관로는 24㎞이다. 처리 공법은 BIO-FOR[Biological Filtration Oxygenate Reactor, 경사판 침전지 생물막 여과 공법] 공법이다.

[부산환경공단 정관사업소[정관 하수 처리장]]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에 위치하고 있다. 2005년 8월 23일 하수 처리장을 착공하고 2008년 3월 31일 하수 처리장을 준공하였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정관 신도시, 정관 일반 산업 단지 포함]의 하수를 처리한다. 하수 처리장의 처리 용량은 4만㎥/일이며 처리 형식은 DNR 공법[Daewoo Nutrient Removal: 하수 질소·인 고도 처리 공법, 대우건설 개발]+섬유사 여과+자외선 소독이다. 부지 면적은 3만 3561㎡이다.

[참고문헌]
  • 『2012 환경 백서』(부산광역시, 2012)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 부산환경공단(http://www.beco.go.kr)
  • 푸른영도(http://www.ydhasu.co.kr)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가환경정보센터(http://www.konetic.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