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 및 환경 복원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294
한자 下水-廢棄物處理-元料再生-環境復元業
영어의미역 Sewage Waste Disposal and Raw Material Regeneration and Environment Restoration Business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상목

[정의]

부산광역시의 산업 중 하수·폐기물 처리나 원료 재생 및 환경 복원 등과 관련되는 업종.

[개설]

제9차 한국 표준 산업 분류[2008년] 기준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 및 환경 복원업에는 다음과 같은 업종이 포함된다. 첫째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이 있다. 하수 및 산업 폐수를 수집, 처리하는 산업 활동과 분뇨 및 가축 분뇨를 수집 운반, 처리 및 처분하는 업종이다. 둘째,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 재생업이 있다. 가정 및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수집 운반, 처리 및 처분하는 업종과 폐기물, 스크랩, 기타 폐품 등을 처리하여 재생용의 금속 또는 비금속 원료 물질로 전환하는 업종이다. 셋째 환경 정화 및 복원업이 있다. 오염된 건물, 지역, 토양, 지하수, 지표수, 대기 등을 정화하여 복원하는 업종이다.

[부산 지역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 및 환경 복원업]

부산 지역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 및 환경 복원업의 사업체 수는 2006년 299개사에서 2007년 306개사, 2008년 310개사, 2009년 317개사, 2010년 338개사, 2011년 355개사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종사자 수는 2006년 4,839명에서 2007년 4,714명, 2008년 4,493명으로 감소하다가 2009년 4,704명으로 일부 증가하였다. 2010년 4,651명으로 감소했다가 2011년 4,882명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부산 지역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 및 환경 복원업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사업체 수의 경우 2006년 6.36%, 2007년 6,17%, 2008년 6.34%, 2009년 6.29%, 2010년 6.73%, 2011년 6.01%로 6%대에 머물러 왔다. 종사자 수의 비율은 2006년 8.39%, 2007년 7.61%, 2008년 7.14%, 2009년 7.17%, 2010년 6.73%, 2011년 6.89%로 2006년 이후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2012년 10월 현재, 부산광역시에서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 및 환경 복원업에 종사하는 사업체 수는 338개이며 종사자 수는 4,651명으로 집계 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 통계청(http://www.kostat.go.kr)
  • 국가 통계 포털(http://kosis.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