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549 |
---|---|
한자 | 下水道 |
영어의미역 | Sewerage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상목 |
[정의]
부산광역시의 하수 처리 설비.
[개설]
하수도는 하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관, 공작물, 시설 등을 총칭하는 말이다.
[하수도 연혁]
1960년대 이전 부산시는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생활 오수와 장마 시 우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수도와 유수지를 설치 유지 관리하는 하수 행정을 실시하였다. 1960년대 이후 인구 집중과 산업 시설 증가로 인해 생활 하수 및 산업 폐수가 급격히 늘어났다. 이에 1972~1974년 독일 부산하수도조사단(planungsgruppe entwaesserung busan)에 의해 우수 배제를 주 과제로 부산 하수도 기본 계획이 수립되었다. 1974년 11월 13일 부산직할시에서 하수도 장기 개발 계획을 발표하였고, 12월 3일 부산직할시 하수도 종합 계획이 수립되었다. 1984년 7월 5일에는 부산직할시 하수도 정비 기본 계획이 수립되었다.
1988년 4월 30일 수영 하수 처리장을 준공, 운영하게 되면서 본격적인 하수 처리 시대로 돌입하였다. 1993년 3월 3일 하수도 정비 기본 계획 수정이 승인되었고[건설부], 1999년 7월 12일 하수도 정비 기본 계획 수정이 승인되었다[환경부]. 2000년 1월 1일 수영·장림·남부 하수 처리장, 위생 처리 사업소 등을 합쳐 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이 발족하여 부산광역시 공공 하수 처리 시설을 관리 운영하게 되었다. 2010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이 부산환경공단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하수도 관련 기관 연혁]
1963년 1월 1일 부산직할시 승격으로 건설국 토목과에서 하수도 업무에 착수하였다. 1970년 6월 4일 건설국 내 하수과가 신설되었고, 1970년 8월 1일 건설국 하수과[하수계], 수도국 업무과[관리계, 요금계, 회계계]에서 하수도 업무를 분리하여 담당하였다. 1985년 8월 1일 건설국 하수과에 하수행정계가 신설되어 하수도 업무를 전담하였다. 1987년 4월 1일 수도국과 건설국 하수과가 상하수국으로 통합 개편되면서 4월 4일 상하수국 하수과가 하수도 업무를 맡게 되었다.
1988년 1월 1일 하수도 공기업 특별 회계를 설치하였다. 1989년 9월 1일 상하수국이 폐지되어 하수과가 건설국으로 이관되면서 상하수도사업본부가 설치되었다. 1992년 11월 2일 건설국 하수관리관, 하수계획담당관실이 설치되었다. 하수과는 하수행정계, 하수시설계, 하수운영계로 운영되었다. 1993년 7월 16일 하수과 하수행정계를 하수계획담당관실 하수행정계로 개편하였다. 1996년 7월 1일 행정 조직 개편에 의해 부산광역시 건설국이 부산광역시 건설하수국으로 개칭되었다. 하수계획담당관실[하수 행정, 하수 계획]을 하수시설과[하수 시설, 하수 운영, 하천 치수]로, 하수과를 하수행정과[하수 행정, 하수 계획]로 확대하였다.
1998년 9월 15일 하수관리관을 폐지하고 환경국에 하수행정과와 청소행정과의 오수관리계를 흡수한 하수관리과[하수 행정, 하수 운영, 오수 관리]와 환경시설과로 개편되었다. 1999년 7월 29일 조직 개편으로 환경국 하수도과로 통합되었다. 2008년 7월 3일 환경국 물관리과로 직제 개편[수질 보전 담당 편입]되었고, 2010년 7월 7일 환경녹지국 물관리과로 직제 개편[수질 보전 담당 제외]되었다. 2011년 7월 13일 부산광역시 환경녹지국 생활하수과로 개칭하였다.
[하수도 사용료 징수]
1985년 7월 1일 수익자 부담 원칙에 의한 하수 처리 비용 충당을 위하여 「하수도 사용 조례」[조례 제2080호]를 제정하고 하수도 사용료를 징수하기 시작하였다. 2013년 현재 2012년 7월 11일 시행된 「부산광역시 하수도 사용 조례」[부산광역시 조례 제4788호]에 의거 하수도 사용료를 징수하고 있다.
[현황]
최근 부산광역시의 인구 및 하수 처리량은 다음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산광역시는 총사업비 2조 4045억 원으로 1990년부터 2020년까지 하수관거 D[지름]=200~1,650㎜, L[길이]=2,984㎞를 계획, 추진해오고 있다. 2009년까지 차집관거 공사 D=200~1,500㎜ L=765.5㎞ 시공을 완료[2007년 분류식 하수관거 사업 기본 및 실시 설계 용역 완료]했고 2010년 현재 차집관거 공사 D=250~500㎜, L=42.1㎞[2009년 분류식 하수관거 사업 기본 및 실시 설계 용역]를 추진 중에 있다. 공공 하수도 보급률 및 하수관거 보급률[%]은 2000년도의 72.5% 및 65.7%에서 2010년 99.1% 및 75.9%로 확대되었다.
2010년 부산광역시의 하수 처리장은 총 12개소이며 2011년 말 기준, 하루 당 192만 4000㎥/일[가동 용량 181만 9000㎥]의 시설 용량과 140만 8000㎥의 처리량을 갖추고 있다. 각 하수 처리장의 처리량은 수영 45만 2000㎥/일, 강변 45만 ㎥/일, 해운대 6만 5000㎥/일, 남부 34만 ㎥/일, 녹산 16만 ㎥/일, 신호 2만 4000㎥/일, 서부 1만 5000㎥/일, 중앙 12만 ㎥/일, 영도 9만 5000㎥/일, 기장 2만 7000㎥/일, 동부 13만 5000㎥/일, 정관 4만 ㎥/일, 문오성 1,000㎥/일이다. 고도 처리는 82만 2000㎥/일이다.
하수 처리장 수질 측정 항목은 총 6개로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생물 화학적 산소 요구량, 호기성 미생물이 물의 유기 오염 물질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산소의 양], COD[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 요구량, 산화제로 물의 유기 오염 물질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산소량], SS[Suspended Solids, 부유성고형물], T-N[Total Nitrogen, 총질소, 물의 질소 전량], T-P[Total Phosphorus, 총인, 물의 인 전량], 대장균 항목이다. 하수 슬러지 발생량은 545톤/일[19만 8794톤/년]이고 이에 대한 처리량은 해양 투기 311톤/일, 소각 28톤/일, 재활용 5톤/일, 고화 후 매립 201톤/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