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586
한자 釜山環境公團水營事業所
영어공식명칭 Suyeong Sewage Treatment Plant of Busan Environmental Corporation
이칭/별칭 수영하수처리장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천남로 185[안락동 110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상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하수 처리장
설립자 부산직할시
전화 051-761-2633~5
홈페이지 부산환경공단 수영사업소(http://www.beco.go.kr/net_html/01_corporation/introduce1.asp)
설립 시기/일시 1987년 11월 16일연표보기 - 수영하수처리관리소 설립
개칭 시기/일시 2000년 1월 1일연표보기 - 수영하수처리관리소에서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수영사업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10년 1월 1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수영사업소에서 부산환경공단 수영사업소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8년 4월 30일 - 1단계 시설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3월 31일 - 2단계 시설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12월 31일 - 부지 집약화 시설 준공
최초 설립지 수영하수처리관리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1108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환경공단 수영사업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천남로 185[안락동 1108]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부산환경공단 소속 사업소.

[설립 목적]

부산환경공단 수영사업소[수영 하수 처리장]는 부산광역시 동래구·연제구·금정구 등지의 생활 하수를 처리하여 공공 수역의 수질 보전과 공중위생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87년 11월 16일 수영하수처리관리소로 개소하였다. 1988년 4월 30일 1단계 시설이 준공되었다[건설 기간: 1983. 5~1988. 4]. 총 공사비는 501억 원으로, 시비는 350억 원이고 OECF[해외 경제 협력 기금: 일본이 개발 도상국에 공여하는 차관] 차관이 151억 원이었다. 1998년 3월 31일 2단계 시설이 준공되었다[건설 기간: 1992. 12~1998. 3]. 총 공사비는 시비로 1,246억 원이었다. 2000년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발족 이후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수영사업소로 개칭되었다. 2010년 부산환경공단 수영사업소로 개칭되었다. 2012년 12월 31일 부지 집약화 시설을 준공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광역시 동래구·연제구·금정구 전역과 부산진구·해운대구·수영구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 하수를 처리한다. 슬러지[찌꺼기] 처리 시설을 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병합·처리한다.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활용한 열병합 발전 설비[750㎾]를 운영한다.

[현황]

부산환경공단 수영사업소의 하수 처리 용량은 45만 2000㎥/일[1단계 12만 2000㎥/일, 2단계 23만㎥/일, 부지 집약화 10만㎥/일]이다. 처리 방법은 표준 활성 슬러지법[수처리/ 1단계], MLE공법[순환식 질산화 탈질법/ 2단계], A2O+MBR[혐기조·무산소조·호기조+막분리 활성 슬러지/ 부지 집약화], 중온 혐기성 소화법[슬러지 처리] 등을 이용하고 있다.

부지 면적은 15만 5820㎡으로 1단계 시설 5만 2752㎡, 2단계 시설 8만 5187㎡, 부지 집약화 1만 7881㎡이다. 건물은 22개 동 연면적 2만 7156㎡이며, 1단계 5개 동 4,209㎡, 2단계 12개 동 1만 7549㎡, 부지 집약화 5개 동 5,398㎡이다.

주민 복지 시설은 2만 7185㎡로 중앙 광장[4228㎡], 축구장[7,823㎡, 인조 잔디 1면], 테니스장[3면], 농구장[1면], 족구장[2면], 배드민턴장[2면], 잔디 광장[797㎡], 체력 단련장[11개소], 조깅 및 산책로[490m] 등이 존재한다. 2013년 현재 50여 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다.

[의의와 평가]

부산환경공단 수영사업소는 슬러지 처리 시설을 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으로써 부산 지역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기여하고, 처리 비용을 절감시키고 있다. 또한 열병합 발전기를 설치하여 사업소의 전기료를 절약하고, 발전 폐열을 소화조 가온용으로 재이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