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627
한자 釜山廣域市交通情報-
영어공식명칭 Busan Transportation Information Center
이칭/별칭 부산교통정보서비스센터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 221[연산동 243-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세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 기관
설립자 부산광역시
전화 051-600-0200
홈페이지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http://its.busan.go.kr)
설립 시기/일시 2010년 7월 6일연표보기 - 설립
최초 설립지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243-6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 221[연산동 243-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속 교통 정보 서비스 관련 기관.

[설립 목적]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51조]에 의거, 효율적인 교통 운영 체계 구축과 다양한 교통 정보 제공으로 대중교통 활성화 및 저탄소 녹색 교통 정책 추진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변천]

2010년 7월 6일 조례와 직제 규칙이 제정되어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설치되었다. 2010년 10월 제17회 부산 ITS 세계 대회 개최를 계기로 첨단 장비를 기반으로 한 지능형 교통 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를 구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운영·관리, 교통 정보 시스템 구축 및 운영·관리, 교통 정보 수집·가공·제공 및 관리 등을 기본 업무로 하고 있다. 국토관리청, 경찰청, 한국도로공사 등 총 9개 유관 기관이 생산하는 교통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부산광역권 교통 정보 서비스를 위한 핵심 시설이자 교통 허브 센터로서 시민들에게 편리한 교통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교통 정보 수집·가공·분석을 통합하여 실시간[Real Time]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첨단 교통 시스템 시설 및 장비를 구축하여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며 종합 상황실을 운영하는 등 교통 정보 통합 관리의 ‘Control Tower’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센터장[지방 서기관, 지방 기술 서기관 보]을 비롯해 관리팀 4명, 운영팀 7명, 상황실 6명 등 총 18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핵심 시설인 교통상황실은 67" DLP CUBE 50대, 40" LCD 10대의 장비를 통해 부산 전역의 350여 대에 달하는 CCTV를 통합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버스 정보 시스템, 외부 연계 시스템, 교통 정보 전광판, CCTV, 각종 교통 정보 안내기 운영 시스템 등을 통해 도로 소통 정보 및 버스 정보 제공, 유관 기관 교통 정보 연계, 돌발 상황 전파 등을 담당하고 있다. 5명 이상으로 일주일 전에 신청하면 토요일과 공휴일을 제외한 날에 견학도 가능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