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 낙동강관리본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611
한자 釜山廣域市洛東江管理本部
영어의미역 Busan Metropolitan City Nakdonggang Management Agency
이칭/별칭 부산광역시 낙동강사업본부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낙동대로1739번길 7[구포동 1157-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세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 기관
설립자 부산광역시
전화 051-310-6011
홈페이지 부산광역시 낙동강관리본부(http://nakdong.busan.go.kr)
설립 시기/일시 2011년 1월 5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낙동강사업본부로 설치
개칭 시기/일시 2012년 12월 26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낙동강사업본부에서 부산광역시 낙동강관리본부로 개칭
최초 설립지 부산광역시 낙동강사업본부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134-8 보생 빌딩 A동 3층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낙동강관리본부 - 부산광역시 북구 낙동대로1739번길 7[구포동 1157-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소속 기관.

[설립 목적]

부산광역시 낙동강관리본부는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조례」[조례 제4828호 제23조의 2]에 의거, 을숙도 생태 공원과 낙동강의 체계적·종합적 관리를 위하여 설치되었다.

[변천]

2011년 1월 5일 부산광역시 낙동강사업본부로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설치되었고, 2012년 12월 26일 부산광역시 낙동강관리본부로 변경하였다. 2014년 7월 북구 구포동으로 청사를 이전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낙동강 유역의 점용 허가 등 각종 처분, 낙동강 둔치 생태 공원의 정비 및 유지·관리, 낙동강권 일원의 정비·자연 생태계 복원·수변 정비·수해 방지 사업 추진 및 조경, 낙동강 하구 일원의 자연환경의 보전과 이용, 을숙도 철새 공원의 운영·관리, 낙동강 하구 자연 생태 전시·교육·관광·조사 및 연구 등의 기본 업무와 낙동강 살리기 1·2·3·4·41·42·43공구 사업, 낙동강 대저 지구 생태 하천 조성 사업, 화명 야외 수영장 테마 물놀이 시설 설치 공사, 을숙도 새섬매자기 군락 복원 공사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황]

2012년 12월 현재 본부장[지방 부이사관 보] 아래 공원관리부[총무기획팀, 공원관리팀], 공원사업부[사업계획팀, 사업시설팀, 생태경관팀], 낙동강하구에코센터[운영팀, 전시교육팀, 야생동물보호팀] 등 2부, 1센터, 8팀으로 조직이 편성되어 있으며 공원관리부 24명, 공원사업부 22명, 낙동강하구에코센터 32명 등 총 80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5.10.02 주소 수정 사상구 감전동->북구 구포동으로 수정(2015.10.2)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