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293
한자 乙淑島
영어의미역 eulsukdo Island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구간 을숙도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지도보기
해당 지역 소재지 을숙도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섬.

[개설]

을숙도(乙淑島)는 고지도나 일제 강점기 초기 지도에서 섬의 형태가 묘사되고 있으나, 지명은 수록되어 있지 않다. 1950년대 제작된 지형도에서는 하단도(下端島)로 표기되어 섬의 형태가 정확히 그려져 있으며, 1960년대 이후의 지도에서는 을숙도라는 지명이 기재되어 1961년 지명 정비 때 ‘을숙’이 고시된 것으로 보인다.

[명칭 유래]

을숙도는 새[乙]가 많이 살고 물이 맑은[淑] 섬이라 하여 붙은 지명으로 전해지나 확실한 것은 아니다.

[자연 환경]

을숙도는 낙동강 하구를 잇는 하중도(河中島)로 낙동강이 운반해 온 토사의 퇴적에 의하여 형성된 모래섬이다. 낙동강 하구 쪽으로 향하여 길게 형성된 을숙도는 중앙부가 넓고 북단과 남단부가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다. 북단에는 좁은 수로를 사이에 두고 일웅도(日雄島)가 있으며, 남단에는 크고 작은 모래톱인 사주(砂洲)가 형성되어 있고 미세한 토사로 이루어져 있다. 해발 1m 이하의 평지로 수로가 미로처럼 뻗어 있으며, 이 수로를 따라 높이 2~3m의 갈대가 생육한다.

갈대와 수초가 무성하고 어패류가 풍부하여 한때는 동양 제1의 철새 도래지로 알려졌다. 특히 겨울철 철새가 군무를 이루며 비상하는 모습은 일대 장관을 이룬다. 철새는 총 138종에 10만여 마리가 서식한다. 이 중에 천연기념물인 황새, 저어새, 재두루미, 느시 등 희귀종도 있으며, 오리과에 속하는 것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갈매기과, 농병아리과, 아비과, 매과, 수리과, 멧과 등도 개체 수가 많은 편이다. 철새의 대부분은 겨울새이나 여름철에 찾아드는 여름새와 봄·가을철 잠시 쉬다가 떠나는 나그네새도 있다.

1987년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 일대는 매우 빠른 지형·수문·생물 등 자연환경에 변화가 나타났으며, 훼손이 발생하자 2005년에 을숙도 생태 공원이 조성되었다. 생태 공원 조성 후 갈대가 급속하게 확산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갈대의 확산은 육역화(陸域化)를 초래하여 습지 생태계를 훼손할 것으로 우려된다. 을숙도의 동쪽으로는 웅봉[234m]에서 남쪽으로 뻗은 산등성이가 다대만낙동강 하구 만입 사이에 몰운 반도로 돌출하였고 반도 선단에는 사주에 의해 육지와 연결된 육계도인 몰운섬이 보인다. 서쪽으로는 낙동강 삼각주의 최남단인 명지도(鳴旨島)가 보인다.

[현황]

을숙도는 현재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속하는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하중도로 명지도, 일웅도(日雄島) 등 인근의 여러 섬들과 함께 유명한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되어 있다. 을숙도에서는 본래 400여 명의 주민이 파를 비롯한 각종 채소와 땅콩을 재배하고 있었다. 그러나 1987년 4월 을숙도를 동서로 횡단하는 낙동강 하구둑이 완공되면서 육지로 이주하였고, 하구둑 건설로 섬의 일부는 수몰되고 일부는 육지로 연결되며 옛 모습이 사라졌다.

하구둑 건설 이후 발생한 대규모의 환경 변화로 2005년 을숙도 일원의 낙동강 하구를 보전하고 을숙도의 불법 경작지를 복원하고자 을숙도 인공 습지 생태계, 즉 을숙도 생태 공원을 조성하였다. 을숙도 남단은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어서 인위적인 토지 이용과 인공 시설물이 거의 없는 상태로 습지 환경을 유지하고 있으며, 철새 탐방을 위한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남동쪽으로 특정 폐기물 처리를 위한 부두 시설이 축조되어 있다. 을숙도 상단부에는 주차장, 문화 회관, 자동차 전용 극장, 야외 공연장, 인라인 스케이트장, 간이 축구장, 휴게소 등 각종 편의 시설이 갖춰져 있으며, 여러 나라의 작품 20여 점을 전시하고 있는 을숙도 조각 공원이 있다.

을숙도의 북단으로는 낙동강 하구둑 다리가 동서를 연결하며, 남단에는 을숙도 대교가 건설되어 동서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서쪽의 명지도 넘어 멀리로는 한창 공사 중인 부산 신항 건설 현장이 눈에 들어오며 부산~거제 간을 잇고 있는 가덕 대교가 한 폭의 그림처럼 길게 뻗어 있다.

[참고문헌]
  • 『부산 지명 총람』4(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8)
  • 『부산의 자연 마을』5-북구·사상구·사하구(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0)
  • 『한국 지명 유래집』-경상편(국토지리정보원, 2011)
  • 부산광역시 문화 관광(http://tour.busan.go.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 사하구 문화 관광(http://tour.saha.go.kr)
  • 지역 정보 포털(http://www.oneclick.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