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지역의 민간에서 옛날부터 믿어 온 신앙 관습 체계. 민간 속신은 부산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미신적인 신앙 관습이다. 민간 신앙의 범주에 드는 속신은 우리 조상이 오랫동안 반복 시행을 거치며 쌓아 온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 구속력을 가지고 생활의 지침 또는 규범 구실을 하는 믿음을 말한다. 속신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예조·점복·금기 등이 있다....
-
부산광역시의 민간에서 현대에 믿고 있는 속신적 사유 체계. 현대의 속신이란 지금의 시대에 일상생활에 구속력을 가지고 있는 민간의 미신적인 신앙 관습을 말한다. 현대의 속신 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주로 예조(豫兆)[조짐이나 징후]·점복(占卜)[미래에 대한 어떤 징조를 주술의 힘을 빌려 미리 판단하는 행위]·금기(禁忌)[어떤 대상에 대한 접촉이나 언급을 금지하는 일] 등에 나...
-
부산 지역에서 새 차를 구입하였을 때 안전 운행을 기원하며 지내는 일종의 현대식 고사. 자동차 고사는 새 차를 구입하거나 운행하게 되었을 때 부산 지역의 자가 운전자 및 영업용 차량 운전자가 가족이나 동료와 함께 무사고와 사업 번창을 기원하며 비는 의식이다. 자동차 고사는 특정 종교를 신봉할 경우 그 종교 의식과 연계하여 지내기도 한다. 자동차 고사는 근대화 이후 새롭게...
-
부산 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좋은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성적을 기원하며 지내는 일종의 현대식 고사. 수능 대박 기원 고사는 대학 수학 능력 시험[수능 고사]을 치기 전에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상당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고3 수험생들이 수능 고사에서 좋은 성적을 얻기를 기원하며 비는 의식이다. 이를 수능 응원제, 수능 기원제, 감사 기원 미사, 고3 수험생을 위한 기도,...
예조·점복
-
부산 지역에서 첫 이송자의 특징에 따라 그날 옮길 환자의 유형과 일진을 예측하는 속신. 구급차 운전자들의 첫 이송자 관련 예조는 처음으로 태운 위급 환자를 보고 그날 주로 옮겨야 할 환자의 유형과 일진을 미리 알아보는 일종의 속신적 점복이다. 예조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되는 사항을 말한다. 즉 고대인들은 어떤 특이한 일이 일어나면, 그것을 통하여 미래에 발생될 것으로 예...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동물과 관련한 경험으로 운세를 예측하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동물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들이 운행 중 동물과 관련된 경험을 바탕으로 ‘재수가 없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그날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豫兆)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되는 사항을 말한다. 즉 옛 사...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사람과 관련한 경험으로 그날의 운세를 예측하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사람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들이 운행 중 사람과 관련된 경험을 바탕으로 추리하여 ‘재수가 좋다[길조]’, ‘재수가 없다[흉조]’ 식으로 그날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豫兆)는 어떤 결과에...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운송 수단이나 교통 신호로 그날의 운세를 예측하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운송 수단·교통 신호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들이 운행 중 운송 수단이나 교통 신호와 관련한 경험으로 ‘운수가 좋다’, ‘재수가 없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그날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豫...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차량과 관련한 경험으로 그날의 운세를 예측하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차량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들이 운행 중 차량과 관련된 경험을 바탕으로 ‘장의차를 보면 재수가 좋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그날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豫兆)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되는 사...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출동과 관련한 경험을 바탕으로 그날의 운세를 예측하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출동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들이 운행 중 출동과 관련된 경험을 바탕으로 ‘~ 하루 종일 출동이 많아진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그날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豫兆)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특정한 물건이나 행동으로 그날의 운세를 예측하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특정 물건·행위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들이 운행 중 물건이나 행위에 관련된 경험을 바탕으로 ‘~ 재수가 없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그날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豫兆)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특정한 경험으로 운세를 예측하는 일.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의 운행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에서 영업용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들이 운행과 관련된 특정 경험을 바탕으로 추리하여 ‘손님이 차 안에서 출산하면 재수가 좋다.’ 식으로 그날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豫兆)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되는 사항을 말한다. 즉...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첫 손님의 유형으로 운세를 예측하는 일.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의 첫 손님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에서 영업용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들이 첫 손님[마수걸이]의 유형에 따라 ‘~ 재수가 없다’, ‘~ 손님이 타면 길하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그날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豫兆)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되는 사항을...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고사장과 그곳에서 받는 시험지로 시험의 결과를 예측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고사장·시험지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을 보러 들어가는 고사장 및 그곳에서 받은 시험지 등에 관련된 경험을 바탕으로, 길조이면 시험을 잘 보고 흉조이면 시험을 잘 못 본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시험의 결과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는 미래를...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 치는 날에 마주친 동물을 길흉으로 판단하여 시험의 결과를 예측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동물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 보는 날에 마주친 동물을 길흉(吉凶)의 징조로 판단한 경험을 바탕으로, 길조이면 시험을 잘 보고 흉조이면 시험을 잘 못 본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시험의 결과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미래를 예측하는...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을 치기 전에 만나는 사람을 통하여 시험의 결과를 예측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사람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을 보러 가는 도중에 만나는 사람과 관련된 경험을 바탕으로, ‘공부 잘하는 사람을 만나 악수하면 시험을 잘 본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시험의 결과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되는 사...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을 치는 날에 발생한 생리 현상으로 시험의 결과를 예측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생리 현상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 보는 날에 경험한 특정한 생리 현상을 바탕으로, ‘코를 풀어 코가 잘 나오면 시험을 잘 본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시험의 결과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되는 사항을 말한다....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사용한 생활용품을 통하여 시험의 결과를 예측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생활용품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생활용품을 사용하면서 생긴 경험을 바탕으로, ‘나무젓가락을 뜯었을 때 잘 갈라지면 시험을 잘 본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시험의 결과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되는 사항을 말한다. 즉 고대인들은...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을 앞두고 마주친 숫자를 통하여 시험의 결과를 예측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수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 전에 마주친 숫자와 관련된 경험을 바탕으로, ‘3이나 7의 숫자가 있으면 시험을 잘 본다.’, ‘44 혹은 66의 숫자를 보면 시험을 못 본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시험의 결과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는...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껌과 엿을 통하여 시험의 운세를 점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껌·엿점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껌이나 엿을 활용하여 ‘껌을 벽에 붙여 잘 붙으면 시험을 잘 친다.’, ‘가래엿을 쪼갰을 때 구멍이 크면 시험을 잘 본다.’는 식으로 시험 결과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점복이란 인간이 주술의 힘을 빌려 예측할 수 없는 미...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동전을 이용하여 시험의 운세를 점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동전점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많은 동전 중에서 무작위로 잡은 동전이 짝수이면 시험을 잘 본다.’는 식으로 시험 결과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점복이란 인간이 주술의 힘을 빌려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일이나 알 수 없는 일을 추리 또는 판단하는 행위이다....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꿈을 이용하여 시험의 운세를 점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몽점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돌아가신 조상을 꿈에 보면 시험을 잘 본다.’는 식으로 꿈을 해석하여 시험 결과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점복이란 인간이 주술의 힘을 빌려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일이나 알 수 없는 일을 추리 또는 판단하는 행위이다. 즉 사전에...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반지를 이용하여 시험의 운세를 점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반지점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실에 매단 반지가 오른쪽으로 돌면 시험을 잘 보고, 왼쪽으로 돌면 시험을 잘 못 본다.’는 식으로 시험 결과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점복이란 인간이 주술의 힘을 빌려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일이나 알 수 없는 일을 추리 또...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쌀을 이용하여 시험의 운세를 점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쌀점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쌀 500개를 던져 책 위에 떨어진 쌀의 개수가 시험 점수다.’라는 식으로 시험 결과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점복이란 인간이 주술의 힘을 빌려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일이나 알 수 없는 일을 추리 또는 판단하는 행위이다. 즉...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주사위나 윷을 이용하여 시험의 운세를 점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주사위·윷점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주사위나 윷을 활용하여 ‘원하는 주사위 숫자가 나오면 시험을 잘 본다.’, ‘모가 3번 나오면 시험을 잘 친다.’는 식으로 시험 결과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점복이란 인간이 주술의 힘을 빌려 예측할 수 없는 미래...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필기구를 이용하여 시험의 운세를 점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필기구점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연필을 세워서 왼쪽으로 넘어지면 시험을 잘 본다.’는 식으로 시험 결과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점복이란 인간이 주술의 힘을 빌려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일이나 알 수 없는 일을 추리 또는 판단하는 행위이다. 즉 사전에...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용모를 통하여 시험의 결과를 예측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용모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 보는 날에 발생한 머리, 복장과 관련하여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아침에 신발 끈, 교복 넥타이나 리본 등이 잘 묶이면 시험을 잘 본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시험의 결과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되는 사...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운송 수단을 통하여 시험의 결과를 예측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운송·교통·보행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을 보러 가는 도중에 이용하는 운송 수단과 관련된 경험을 바탕으로, ‘성적 우수생을 만나 악수하면 시험을 잘 본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시험의 결과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되는 사항을 말...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담배를 이용하여 이성 관계의 운세를 점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이성 관계 관련 담배점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담배를 피운 뒤에 남은 담배의 상태를 가지고 ‘사랑이 이루어진다거나 혹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식으로 이성 관계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점복이란 인간이 주술의 힘을 빌려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일이나 알 수 없는...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반지를 이용하여 이성 관계의 운세를 점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이성 관계 관련 반지점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반지를 실에 매달고서 ‘반지가 원을 그리며 돌면 사랑이 이루어지고, 앞뒤로 움직이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식으로 이성 관계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점복이란 인간이 주술의 힘을 빌려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일이나...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실을 이용하여 이성 관계의 운세를 점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이성 관계 관련 실점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실을 묶고서 양쪽에서 잡아당겨 ‘묶은 실이 풀리지 않으면 사랑[남녀의 인연]이 이루어진다.’는 식으로 이성 관계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점복이란 인간이 주술의 힘을 빌려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일이나 알 수 없는 일을...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특정한 징후를 통하여 이성 관계의 운세를 예측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이성 관계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실생활 중에서 겪은 특정한 징후를 바탕으로, ‘봉숭아 꽃물을 들인 손톱이 겨울까지 남아 있으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이성 관계의 길흉을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되는 사항을...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특정한 징조를 통하여 일상생활의 운세를 예측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일상생활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학교생활이나 일상생활 중에서 겪은 특정한 징조를 바탕으로, ‘아침에 영구차나 쓰레기차를 보면 3일간 재수가 좋다.’, ‘아침에 단추가 떨어지거나 지퍼가 고장 나면 재수가 없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길흉을 미리 알아보는 일...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자동차를 통하여 시험의 결과를 예측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자동차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을 보러 가는 도중에 마주치는 자동차와 관련된 경험을 바탕으로, ‘영구차를 보면 시험을 잘 본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시험의 결과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되는 사항을 말한다. 즉 고대인들은 어떤 특이...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학용품을 통하여 시험의 결과를 예측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학용품 관련 예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을 치는 날에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생긴 경험을 바탕으로, ‘샤프 안에 샤프심이 3개 들어 있으면 시험을 잘 본다.’는 식으로 추리하여 시험의 결과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예조는 어떤 결과에 원인이 되는 사항을 말한다. 즉 옛사...
주술·이방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을 잘 치기 위하여 통행 수단을 활용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통행 수단 활용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내려갈 때에는 계단을 이용한다.’, ‘시험 날에는 반드시 정문으로 들어간다.’는 말처럼 좋은 성적을 바라며 특정한 통행 수단을 활용하는 술법을 부리는 일이다. 주술이란 인간이 초자연적인 힘을 빌어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경쟁자가 좋은 성적을 얻지 못하도록 책상을 활용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책상 활용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아침 일찍 저주하며 상대의 자리에 먼저 앉는다.’는 말처럼 경쟁자를 저주하여 재수 없게 나쁜 성적을 얻게끔 책상을 활용하는 술법을 부리는 일이다. 주술이란 인간이 초자연적인 힘을 빌어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취하고자 하...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입시에서 시험을 잘 치기 위하여 입시 주물을 활용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입시 주물 활용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입시에서 좋은 성과를 얻기 위하여 ‘딱 붙어라, 잘 찍어라, 잘 쳐라, 잘 맞춰라, 잘 집어라, 잘 보라, 잘 풀어라, 만점 받아라.’ 등 특별한 힘을 지니고 있다는 입시 주물 상품을 활용하는 술법을 부리는 일이다...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이성 친구를 얻기 위하여 술법을 부리는 일. 청소년 집단의 이성 관계 관련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이성 친구를 얻는 등 이성 관계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성취하기 위하여 행하는 특정한 행동이다. 주술이란 인간이 초자연적인 힘을 빌어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취하고자 하는 기술이나 수단을 말한다. 주술은 목적에 따라 좋은 결과를...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을 잘 치기 위하여 의복을 활용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의복 활용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이성의 속옷이나 좋은 대학에 진학한 이의 속옷을 입는다.’는 말처럼 좋은 성적을 바라며 특정한 의복을 활용하는 술법을 부리는 일이다. 주술이란 인간이 초자연적인 힘을 빌어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취하고자 하는 기술이나 수단을 말한다...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자기 자신은 좋은 성적을 얻게 하고, 상대방은 나쁜 성적을 얻게끔 특정한 음식을 활용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음식 활용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자신은 시험을 잘 치기 위하여 잘 들러붙는 엿, 찹쌀떡 등만 골라 먹고, 경쟁자는 시험을 못 치게 하기 위하여 미끄럽거나 꼬인 속성을 가진 미역국, 꽈배기 등을 먹게끔 음식을 활용하는...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상대방이 좋은 성적을 얻지 못하도록 특정한 말을 활용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언어 활용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경쟁자가 시험을 잘 못 치게 하려고 ‘떨어진다.’, ‘재수 없다.’ 등의 말의 사용하여 나쁜 성적을 얻게끔 특정한 언어를 활용하는 술법을 부리는 일이다. 주술이란 인간이 초자연적인 힘을 빌어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자신은 시험을 잘 치고, 상대방은 못 치게 하려고 신체를 활용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신체 부위 활용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자기 자신은 좋은 성적을 얻게끔 공부 잘하는 친구의 머리를 만지거나 오른손을 잡고, 경쟁자는 불행한 나쁜 성적을 얻게끔 상대의 머리카락과 손톱을 불에 태우며 저주하는 등 특정한 신체를 활용하는 술법을...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경쟁자가 좋은 성적을 얻지 못하도록 붉은색을 활용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색 활용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붉은색 실을 감아 상대방의 서랍이나 가방에 넣어 둔다.’는 말처럼 경쟁자를 저주하여 재수 없게 나쁜 성적을 얻게끔 특정한 색을 활용하는 술법을 부리는 일이다. 주술이란 인간이 초자연적인 힘을 빌어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경쟁자가 좋은 성적을 얻지 못하도록 사진이나 인형을 활용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사진·인형 활용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저주하며 사진을 태운다.’ 또는 ‘인형을 뾰족한 도구로 찔러 해를 가한다.’는 말처럼 경쟁자를 저주하여 불행한 나쁜 성적을 얻게끔 특정한 사진이나 인형을 활용하는 술법을 부리는 일이다. 주술이란 인간이 초...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을 잘 치기 위하여 부적이나 카드를 활용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부적·카드 활용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을 잘 치기 위해서 절이나 철학관에서 써 온 부적을 지닌다.’는 말처럼 좋은 성적을 바라며 특정한 부적이나 카드를 활용하는 술법을 부리는 일이다. 주술이란 인간이 초자연적인 힘을 빌어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취하고...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을 잘 치기 위하여 방석을 몸에 지니는 일. 청소년 집단의 방석 활용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이성이 사용하던 방석을 몸에 지니고 시험을 보면 좋은 점수를 얻는다고 하여 방석을 깔고 앉거나 지니고 시험을 보는 행위이다. 주술이란 인간이 초자연적인 힘을 빌어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취하고자 하는 기술이나 수단을 말한다. 주술...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을 잘 치기 위하여 동전이나 수를 활용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동전·수 활용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태어난 해에 발행된 동전을 지니면 시험을 잘 본다.’는 말처럼 좋은 성적을 바라며 특정한 동전이나 수를 활용하는 술법을 부리는 일이다. 주술이란 인간이 초자연적인 힘을 빌어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취하고자 하는 기술이나...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교우 관계에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얻기 위하여 술법을 부리는 일. 청소년 집단의 교우 관계 관련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친구 사이에서 인기를 얻으려 하거나, 자신을 괴롭히는 친구를 저주하는 등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성취하기 위하여 행하는 특정한 행동이다. 주술이란 인간이 초자연적인 힘을 빌어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취하고자 하...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을 잘 치기 위하여 교과서나 학용품을 활용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교과서·학용품 활용 주술은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자신이 공부했던 책, 노트, 사전 등을 찢어 먹거나 불에 태워 그 재를 마신다.’는 말처럼 좋은 성적을 바라며 특정한 교과서나 필기구를 활용하는 술법을 부리는 일이다. 주술이란 인간이 초자연적인 힘을 빌어서 자신...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귀신 손님을 태웠을 때 하는 특정한 행위.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귀신 손님 태웠을 때의 이방은 부산 지역에서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귀신 손님을 태웠을 때, 운전자가 귀신이 방문한 집에서 음식을 먹거나 하룻밤을 자고 나오는 등의 특정한 행동으로 불길한 일을 막는 행위이다. 나중에 생길 불길한 일을 미리 막기 위한 대응...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허깨비 차나 보행자’의 유인으로 생긴 위기에 대처하는 방법.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의 허깨비 차·보행자 관련 이방은 부산 지역에서 위기에 봉착한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허깨비 차’나 ‘허깨비 보행자’를 향해 속력을 높여 돌진하여야 하는 등의 특정한 행동으로 불길한 일을 막는 행위이다. 나중에 생길 불길한 일을 미리 막...
금기
-
부산광역시 기장군·가덕도·두구동·산성 마을 일대에서 민간 신앙과 관련하여 특정한 행동을 꺼리는 일. 민간 사이에서 형성, 전승되어 온 금기 중 상당 부분은 민간 신앙과 관련된 금기들이다. 민간 신앙은 초자연적인 존재나 힘에 대한 경외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금기는 민간 신앙의 신성성을 드러내고 지켜 나가기 위한 문화적 장치라 할 수 있다. 이들 금기는 부산 전역에 널리 전...
-
부산광역시 기장군·가덕도·두구동·산성 마을 일대에서 세시 풍속과 관련하여 특정한 행동을 꺼리는 일. 세시 풍속이란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되풀이되는 의례적, 관습적 생활 행위를 말한다. 각 시기에 행하는 세시 풍속 속에는 특정한 행위를 금하는 금기(禁忌)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세시 풍속과 관련된 금기는 정월 초하루[설날]에서 정월 대보름, 그 사이 그 해 첫 12간지에...
-
부산광역시 기장군·가덕도·두구동·산성 마을 일대에서 여성과 관련하여 행해지고 있는 금기. 전통적 사회에서는 상대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특정 행위를 기피하여 금기시하는 속신이 널리 퍼져 있다. 일반적으로 꺼리는 여성 행위는 주로 여성들이 전담하였던 살림살이와 연관된 금기에 속하며, 이 외 남성을 상대할 때 제한하는 금기도 있다. 여성과 관련된 금기는 여성들에 대한 지역적...
-
부산광역시 기장군·가덕도·두구동·산성 마을 일대에서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특정한 행동을 꺼리는 일. 일상생활과 관련된 금기는 대체적으로 주술적 금기로 특정 대상이나 사물 등에 내재되어 있는 주술적인 힘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불길하고 위험한 사태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그것을 기피하는 방어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부산광역시 일대에서는 특정 시간과 관련하여 행위를 규제하는 금...
-
부산광역시 기장군·가덕도·두구동·산성 마을 일대에서 통과 의례와 관련하여 특정한 행동을 꺼리는 일. 통과 의례란 인생의 전환점에서 행해지는 의례로 출산 의례, 성인 의례, 혼인 의례, 죽음 의례로 나뉜다. 통과 의례에서는 이전의 상태에서 이후의 상태로 변화하는 과도기에서 행하는 의례를 가장 중요시 한다. 따라서 통과 의례와 관련된 금기는 주로 과도기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동물과 관련된 특정한 행동을 꺼리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안전 관련 동물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안전 운행을 위하여 동물과 연관된 행위를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행위 등이 신성시되거나, 또는 두렵다고 신봉함으로써 그 대상을 보거나,...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특정한 언어를 꺼리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안전 관련 언어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안전 운행을 위하여 일상적인 말을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언어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행위 등이 신성시되거나, 또는 두렵다고 신봉함으로써 그 대상을 보거나, 말하거나, 만지거나...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특정한 음식을 꺼리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안전 관련 음식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안전에 해를 끼칠 것을 두려워하여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특정한 음식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행위 등이 신성시되거나, 또는 두렵다고 신봉함으로써 그 대상을 보거나, 말하거나,...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옷을 입을 때에 꺼리는 행위.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안전 관련 착복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안전에 해를 끼칠 것을 두려워하여 옷, 양말 따위를 착용할 때 피하거나 꺼리는 옷 입는 방법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행위 등이 신성시되거나, 또는 두렵다고 신봉함으로써 그 대상...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안전과 관련된 특정한 행동을 꺼리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안전 관련 행위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안전 운행을 위하여 일상적인 행위를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행위 등이 신성시되거나, 또는 두렵다고 신봉함으로써 그 대상을 보거나, 말하...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자동차 고사를 지낼 때에 특정한 사람을 꺼리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자동차 고사 관련 대인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들이 무사고와 안전 운행을 기원하는 자동차 고사를 지낼 때에 불길한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여 문상 다녀온 사람, 혼사를 앞둔 사람 등을 꺼리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자동차 고사를 지낼 때에 특정한 언어를 꺼리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자동차 고사 관련 언어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들이 무사고와 안전 운행을 기원하는 자동차 고사를 지낼 때에 불길한 말을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언어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행위 등이 신성...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자동차 고사를 지낼 때에 특정한 음식을 꺼리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자동차 고사 관련 음식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들이 무사고와 안전 운행을 기원하는 자동차 고사를 지낼 때에 제사 음식으로 개고기나 술 등의 음식을 꺼리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자들이 자동차 고사를 지낼 때에 특정한 행동을 꺼리는 일. 소방차·구급차 운전자들의 자동차 고사 관련 행위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소방차나 구급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들이 무사고와 안전 운행을 기원하는 자동차 고사를 지낼 때에 부부 합방, 문상 등의 행위를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특정한 언어를 꺼리는 일.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의 안전 운행 관련 언어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안전 운행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하여 불길한 말을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언어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행위 등이 신성시되거나, 또는 두렵다고 신봉함으로써 그 대상을 보거나, 말하거나,...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특정한 음식을 꺼리는 일.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의 안전 운행 관련 음식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안전 운행에 불길한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여 개고기나 노루 고기 등의 음식을 꺼리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행위 등이 신성시되거나, 또는 두렵다고 신봉함으로써 그 대상을 보거나...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특정한 행동을 꺼리는 일.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의 안전 운행 관련 행위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안전 운행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여 ‘~휘파람을 불지 않는다.’는 식으로 불길한 행동을 꺼리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행위 등이 신성시되거나, 또는 두렵다고 신봉함으로써...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자동차 고사를 지낼 때 특정한 사람을 꺼리는 일.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의 자동차 고사 관련 대인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무사고와 안전 운행을 기원하는 자동차 고사를 지낼 때에 불길한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여 초상난 사람, 우환이 있는 사람 등을 꺼리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자동차 고사를 지낼 때 특정한 음식을 꺼리는 일.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의 자동차 고사 관련 음식 금기는 부산 지역에서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이 무사고와 안전 운행을 기원하는 자동차 고사를 지낼 때에 불길한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여 개고기, 복숭아 등의 음식을 꺼리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행위...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디데이(D-Day)에 특정한 술을 꺼리는 일. 청소년 집단의 디데이 관련 금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디데이[주로 수능 시험일을 기준하여 끼리끼리 약속한 날] 술 마시기 의례를 행할 때에 거품이 낀 맥주 등을 꺼리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신성한 것에 대한 경계, 부정(不淨)과 오예(汚穢) 등에 대한 기피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과 관련하여 특정한 사람을 꺼리는 일.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대인 금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을 볼 때에 꼴등하는 학생 등을 꺼리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신성한 것에 대한 경계, 부정(不淨)과 오예(汚穢) 등에 대한 기피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금기는 종교적 금기와 주술적 금기로 나눌 수 있다. 종교적 금기는...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 결과에 관련하여 특정한 말을 꺼리는 일.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언어 금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의 결과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두려워하여 ‘떨어졌다.’라는 등의 말을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언어이다. 금기는 신성한 것에 대한 경계, 부정(不淨)과 오예(汚穢) 등에 대한 기피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금기는...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과 관련하여 특정한 음식을 꺼리는 일.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음식 금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을 염려하여 미끄럽거나 꼬인 속성을 가진 특정한 음식을 꺼리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신성한 것에 대한 경계, 부정(不淨)과 오예(汚穢) 등에 대한 기피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금기는 종교적 금기...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과 관련하여 특정한 복장을 꺼리는 일.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착복 금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의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을 두려워하여 젖은 옷, 검은색 옷이나 양말 등을 기피하여 옷 입는 방법이다. 금기는 신성한 것에 대한 경계, 부정(不淨)과 오예(汚穢) 등에 대한 기피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청소년들의...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과 관련하여 특정한 행동을 기피하는 일.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행위 금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 결과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하여 머리카락, 손톱[발톱], 수염 등을 깎는 일상적인 행위를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신성한 것에 대한 경계, 부정(不淨)과 오예(汚穢)에 대한 기피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일상생활 중에서 특정한 행동을 꺼리는 일. 청소년 집단의 일상생활 관련 금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어떤 특정한 일이나 물건이 불길한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여 이와 연관된 행위를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특정한 인물·사물·현상·언어·행위 등이 신성시되거나 또는 두렵다고 신봉함으로써 그 대상을 보거나,...